-

-
28일 후... - 할인행사
대니 보일 감독, 나오미 해리스 외 출연 / 20세기폭스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대니 보일의 28일 후는 재밌지만
후안 카를로스 프레스나딜로의 28주 후는 재미가 없다.
왜일까?
물론 나는 대니 보일 스타일의 영화를 좋아하니까.
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대니 보일의 무엇이 먹히는 걸까?
대니 보일은 적절하게 사람 마음을 가지고 놀 줄 안다.
좀비라고 ‘우아’하면서 피를 쏟고 마구 뜯어먹으려 들고(물론 진짜로 내 앞에 나타나서 그럼 무진장 무섭겠지만) 그런다고 무서운 건 아니다.
인간 속에 내재한 공포란 무엇인가.
짐을 통해 나타나듯 진정한 공포는 혼자 남겨진다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이것을 좀 더 유식하게 말하자면 모든 타자화된 이들 속에 갇혀 온전한 고립감(전혀 공통감이 없는 상태)을 느낄 때. (나는 종종 이런 꿈을 꾸는데 가장 최근에 내가 무서워서 새벽에 일어난 꿈도 이거였다. 어딘지 전혀 알 수 없는 곳에 혼자 남겨졌다. 왜 그곳에 있게 된지도 알지 못한 채.)
또 대니 보일의 이야기는 한 주인공을 끊임없이 쫓아간다. 그는 그닥 영웅심이 있는 인간도 아니고 용감하지도 않다. 단지 잘생겼을 따름(킬리언 머피, 보는 내내 집중하게 되는 건 그 때문인가?) 그러나 차츰 그가 자신의 내면에서 소중하달까 하는 가치에 눈 뜨고 이 사이사이 좀비가 끼어든다. 그래서 와구와구 잡아먹으려 든다. 그러나 더 무서운 건 인간이나 좀비나 마찬가지란 사실인데, 결국 소령과 군인들이 여자들을 어떻게 해보려 하는 건 좀비랑 별로 다를 것도 없는 짓이다. 하지만 사실 짐이 여자들을 지키기 위해 눈알을 파는 장면(사실 이 장면이 영화 내내 가장 잔인하다)을 보면 모든 인간에 내재한 좀비성, 뭐 이런 것을 대니 보일은 슬쩍 슬쩍 비춰준다.
이에 비해 28주후는 영화에서 끌어달 쓸 만한 것은 다 끌어다 쓴다. 좀비, 폭파, 코드 레드(무조건 저격), 가족 간 살해, 영웅적인 남녀(도일, 스칼렛) 등등. 하지만 그래 돈 많이 썼구나 그런 기분이다. 그러니까 잔인하고 끔찍한 것들의 나열품이지만, 그래서 뭐 어쩌라고 이런 기분으로 몇 번이나 끌까 하다가 그래도 끝까지 다 봤다.
다행이다. 28개월 후는 대니 보일이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