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읽은 질문하게 만들라

대학시절 배워 이제까지 내게 남아있는 가장 깊은 가르침이다. 누군가를 질문하게 만드는 글을 쓰라고 나는 배웠다.


서사는 결국 길을 내서 질문으로 이끌어내는 것이라는 면에서 버닝은 훌륭하다. 물론 베테랑 감독은 나보다 훨씬 서사의 법칙을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요소마다 적절하게 장치를 만들어 질문을 새긴다.

처음 만난 해미가 마임을 배우며 귤이 있지 않은 아니라 귤이 없는 것을 잊으라는 오묘한 대사부터 비닐하우스를 태운다는 벤과 아무리 봐도 타지 않은 비닐하우스, 해미가 빠졌다는 우물은 정말 있었던 걸까 라는 몇몇 메타포를 

'버닝' 감아 돌며 이야기를 질문을 짜낸다.


정말 벤은 해미를 죽였을까

여자들을 죽였을까

비닐하우스를 태운다는 비유는 정말 사람을 죽인다는 이야기였을까

해미가 빠진 우물은 정말 있었을까

종수는 정의를 실현할 걸까 죄를 지은 걸까


하다 보면 문득 '죄와 ' 떠오르기도 한다. 그러니까 쓸모없다 생각한 노파를 죽인 청년 라스꼴리니프는 죄를 지은 걸까 라는 그 질문과도 같이

그렇다면 사라지고 싶어한 여자들을 죽인 벤은 죄를 지은 걸까

대해서는 왠지 명확하게 그렇다 라는 생각이 들고 말지만(정말 그가 그렇게 했다면)

실제로는 욕망을 실현시켜준 것인데, 그에게는 그럴 능력이 있었고 감출 만한 능력까지 모두 갖추고 있는 그는 죄를 지은 걸까 그는 벌을 받아야 하나 그를 사회 시스템이 없으므로 종수가 벌을 주는 맞나

 

여기 사회라는 시스템이 끼어든다. 대한민국의 파주에서 대남방송을 매일 들으며 사는 종수의 현실과 대비되는 반포에 사는 . 드넓은 깔끔한 빌라에서 파스타를 만들어주는 남자, 종수가 먹는 된장찌개와 대비되는. 이런 대비는 벤의 포르쉐와 종수의 낡은 트럭 여러 차례 진하게 대조를 이루며 둘의 계급격차가 얼마나 심한가를 극명하게 드러낸다.

 

종수가 시스템에 반발하기 시작한 지점은 그가 마트에서 일하려다 뛰쳐나온 순간 정확히 드러난다. 노예처럼 일하며 있는 돈이 얼마나 적은지 벤의 인생을 들여다본 순간 회의감은 종수를 사회로부터 뛰쳐나오게 만든다. 그리고 종수의 아버지가 공무원의 엄지 손가락에 상해를 입혀 1 6개월 형을 받은 장면이 나온다. 종수가 짐작하기로, 훨씬 더한 범죄를 2개월에 한번씩 저지르는 남자가 어떤 벌도 받지 않고 유유히 살아가는 것을 결코 납득할 수 없도록…

 

찾아보니 버닝에 대해 이창동 감독인지 유아인 배우인지는 버닝할 없는 청춘, 이미 소진돼버린 청춘에 대해 이야기한듯 한데, 나는 서로가 서로를 버닝시킨다는 , 어떤 의미에서 서로가 가진 욕망을 직시하게 만들어준 존재들, 욕망이 아니라면 감추어진 무언가를 서로를 불태우게 만드는, 그런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지 않을까. 사라지고 싶던 여자를 사라지게 만들어주는 남자, 남자가 너무 진지하다며 심장에 페이스를 느끼며 살라고 말하면서도 자기 인생에 처음으로 질투를 느꼈다는 순박한 청년, 그리고 분노조절장애를 가진 아버지의 아들인 종수까지, 서로가 가지고자 혹은 가질 없는 어떤 것들을 드러내게 하는 만남이 아니었을까. (때로 점점 사람들을 만나다보면 내가 보지 못한 욕망을 사람이 현시해주거나 내가 전혀 납득할 수도 없는 어떤 욕망을 가진 이들을 보기도 한다. 저것을 욕망하는지 없으나 욕망하고 안에서 살아내고 있다. 어떻게 보면 우리 안에는 누구나 그런 욕망이 잠재하고 있으므로 그잠자던 불씨를 일깨워내 불타게 하는). 그리고 정말 영화는 주인공 종수가 벌거벗은 불을 내고 끝난다. 불이 나고 나면 아무것도 남지 않고 재만 남고 말지만, ...

 

그리고 다시 질문한다.

정말 벤은 혜미를 죽였을까

벤이 혜미를 죽였다면 종수는 죄를 지은 아닐까 그래도 죄를 지은 걸까 (그렇지 않았다면 턱없이 부조리한 사회에서 그렇다면 종수는 뭘할 있지)

정말 살아있는 것은 벤일까 종수일까

 

칸에서 극찬을 받은 이유는 나에게는 너무도 낯익은 시골 풍경이며 서울의 풍경이 외국 사람들의 시선에는 훨씬 다르게 보일 같다는 생각이 들면서다. 폐허가 비닐하우스나 시골길, 빽빽한 옥상밖에 보이지 않는 아주 좁은 방이 훨씬 이국적으로 보일 있다는 . 그래, 결국 여기도 어느 작은 나라, 누군가에게는 모든 내게는 뻔한 시스템조차도 이국의 것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레퓨지 - The Refug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절망할 때도 누군가 곁에 있어야 한다. 인간이란 그런 동물이다. 영화는 초지일관하며 말을 전한다. 절망할 때도 누군가 보다듬어주거나 지켜봐주거나 그도 아니면 맴돌거나 한다. 그러니까 주변 샅샅이 관계란 원을 그리고 있는 셈이다. 다른 말로 하자면 나도 누군가의 세계에서 원을 그리며 돌고 있다. 여기서 간단히 한마디 하자면 우리는 그래서 모두 하나의 행성이다. 우주의 법칙이란 인간을 벗어나지 않는다.

다른 말로 하자면, 영화 제목대로 우리는 은신처, 피난처가 필요한데 은신처, 피난처는 어떤 공간일 수도 있지만 어떤 사람일 수도 있다. 주변에서 원을 그리던 누군가. 또한 역시 누군가에게.

그렇다면 최초의 등장인물 므네와 루이는 마약 때문에 절망한 걸까, 아니 절망이 약을 부른다 하는 편이 옳은지도. 준비돼지 않은 채로 살아야 하니까. 그러다가 그만 누군가 미끄러져 버리고 누군가 살아남는다. 미끄러진 이의 자취 속에서 , 다른 절망이 찾아와 어느새 원을 그린다. 절망의 순환 궤도라 해도 좋지만, 희망의 순환 궤도라 해도 좋다.

우리는 계속 아이를 낳아 종족 보존을 하고 있는 중이니까 진정한 절망이나 고통 같은 것은 아직 찾아오지 않은 아닐까.

(어제 꿈에서 엄청난 문장들을 봤던 한데, 고통에 대한 문장이었다. 나는 영화를 보는 내내 문장을 떠올리려 애썼는데 떠오르지 않았다. 결국 꿈은 현실 속에 잠복한다, 그런 식으로 실재한다는 결론밖에 얻지 못했다.)

소품 같은 영화다. 프랑스와 오종이 만든 프랑스 영화고 불어란 섹시해 라고 영화가 끝나고 음악이 나올 말하게 만든다. 물론 선남선녀도 나온다.

절망 속을 허덕이는 같아도, 거리를 두고 보면 인생은 아름답단다. 행성을 찍어놓은 사진이 아름답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00일의 썸머 - (500) Days of Summe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편집이 좋다.

우연인가 필연인가의 문제에서 결국 주체의 선택이 중요하다. 결국 행동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없다. 언젠가는 그것이 우연인 듯 싶지만 실은 다 선택이 깃든 일이야. 그만큼 무의식이 필요로 했던 것이지. 연애를. 혹은 사랑을.

그런데 왜 썸머는 그렇지 못했을까?

글쎄. 그것이 바로 시간차. 스텝을 잘 밟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를 보내는 숲 - The Forest Of Mogari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밭이 보고 싶어서  

무슨 내용인 줄도 모르고 봤다.  

그러니까 아는 것은 오직 포스터뿐인 상태 

 

결국 애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그것이 얼마나 길지는 아무도 모른다.

서로가 서로를 도우며 애도의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