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5
조세희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11월
평점 :
절판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프롤로그 형식을 취한 「뫼비우스의 띠」에서 그 상징성을 확보하며 시작된다. 안과 겉을 구별할 수 없는 곡면인 뫼비우스의 띠는 선조대부터 가난과 함께하는 비참한 삶이 계속되어온 난쟁이 일가와 부유층의 삶의 대비 구조가 선명히 드러난 작품을 통해 작자가 바라는 사랑이 있는 사회를 제시한다. 그러나 뫼비우스의 띠, 혹은 안이 곧 밖이고 밖이 곧 안인 클라인씨의 병은 과학적으로 있지 않다는 논리 역시 제시함으로써 사랑이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없어 자살을 택한 난쟁이 김불이씨의 모습도 보여준다. 그의 아들인 영수 역시 살인죄로 사형을 당한다는 세습되는 가난과 불행의 모습 뒤에는 사랑의 마음이 있다. 영수가 이상주의자로 불릴 수밖에 없는 모순성이 작품 전체를 통해 드러나는 것이다.

작품은 문체에서 다시 한 번 그 특이성을 보인다. 처음 작품을 대하게 되면 그 이질감이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만큼 건조하며 진술은 과거를 넘나든다. 이 역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사이를 오고 가는 작품의 전체적 구조와 상관관계를 갖는다. 난쟁이가 진정 원했던 사랑으로 살아가는 사회, 그리하여 사랑이 없는 사람은 아무런 혜택도 받을 수 없는 사회에 반하는 현실, 진정한 가치가 상실된 사회 모습이 문체의 차갑고 건조함을 낫게 된 것이다.

난쟁이는 결국 달나라에 세워질 천문대에서 일할 사람이 되기를 소망하는데 이처럼 난쟁이의 의식은 점차 현실을 떠날 수밖에 없는 벽에 부딪히는 것이다. 벽에 부딪힌 난쟁이가 선택한 자살은 작가의 절망적 인식을 담고 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따라서 작가의 문체는 짧고 건조해진다. 그러나 이 건조함은 결코 독자를 건조하게 하지 않는다. 작가의 의식 구조를 따라가게 되는 독자는 모순을 다시 한 번 깨우치게 되고 그 모순을 통해 난쟁이의 바램이 독자에게로 전이되는 경험을 한다.

난쟁이가 바랬던 '그 세상 사람들은 사랑으로 일하고, 사랑으로 자식을 키운다. 비도 사랑으로 내리게 하고, 사랑으로 평형을 이루고, 사랑으로 바람을 불러 작은 미나리아재비꽃줄기에까지 머물게 하'는 불가능의 세계를 꿈꿀 수 있게 하는 것이다.『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여기에서 그 의의를 갖게 된다. 잊어버리고 말았던 것, 잃어버린 것의 가치를 다시 되새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작품의 독자층을 굳이 소설 속 인물 중 분류하자면 「궤도 회전」의 '경애'쯤이 되지 않을까 싶다. 물론 많은 사람들은 '경애'와 같은 부유층보다는 중산층의 삶을 살거나 그보다 못한 삶을 살며 그 고통을 숨기는데 자신의 에너지를 소비하지만 작품에 나타난 '경애'의 사고방식의 일면에는 분명 많은 자신들의 모습이 숨어있지 않을까 싶다. 작가는 단지 피해 받는 사람들의 모습만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의 모습을 그림으로 해서 작품이 자신의 모습을 비춰줄 수 있는 거울의 역할을 해주는 장치를 한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비극적 인식이 그 바탕이라 할 수 있다. 난쟁이 일가가 살던 '낙원구 행복동'이라는 지명의 아이러니는 이를 뒷받침해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난쟁이가 바라던 낙원에는 사회 전체의 의식 속에 영생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또한 낙원, 난쟁이가 진정 살고자 했던 곳에서 난쟁이가 자살함으로 해서 이 사회에서의 행복과 죽음의 상관 관계는 설명된다. 이러한 절망적 현실 인식은 '낙원구 행복동'이라는 지명을 단순한 아이러니의 차원을 넘어서게 하며 그 복합적 의미를 이해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절망적 현실 인식은 단순한 절망으로 끝맺지 않는다. 인식은 행동의 체계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빼앗겨버린 한 차원을 생각하게 하고 그 차원으로 들어서기 위한 발판의 기회를 얻는 것이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은 극적인 대립을 작품 전체적으로 내세워 그 대립의 이완작용을 이용한 감동을 맛보게 하며 현실을 되돌아보는 성찰 의지가 중심으로 서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