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홀
편혜영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6년 3월
평점 :
제
집 마당에 있는 구멍에 40대
남자가 빠졌다. 말을 할 수도 없고 다리도 움직일 수 없는 마비 상태에 가까우므로 곧 이
남자는 죽음 속으로 흘러들게 될 것이다.
중산층
지식인 오기의 이야기다.
어쩌다
이 남자는 구멍으로 빠져든 걸까?
왜
집 마당에 사람이 들어갈만한 구멍이 있는 걸까?
이
질문은 곧 누가 구멍을 누가 팠을까? 로 이어진다.
그
답이 재밌다. 장모다.
이
소설의 백미다.
이
정도의 내용을 지인에게 듣고 흥미로워 책을 봤다.
사지 불구가 된
남자에게 유일하게 남은 가족이 장모라는 이 설정만으로도
이야기는
솔솔 피어오른다.
주인공
오기는 바람도 더러 피고 아내와의 사이는 어느 정도 서먹하지만 그렇다고 결정적인 어떤 거대한 문제를 가진 인물도 아니다.
이
가정에 유일하게 눈에 띄는 점이라면 아이가 없다는 것 즈음, 이것은 이야기의 설정을 위해 필수적이다. 아무
혈연도 없는 남자가 사지불구가 돼 의사 표현을 거의 할 수 없음에도 생각은 가지고서
제
장모와 단 둘이 집에 남겨진다는 이 설정을 위해 오기는 고립되어야 한다.
이외에는 그럭저럭 사는
지리학
대학 교수로 때로 기회주의적으로 굴기도 했으나 딱히 악할 것도 선할 것도 없는 남자는 어쩌다 그 구멍 속에서 혼자 하늘을 바라보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위해 준비된 이야기들이다.
소설
얘기를 하다 보면 결국 내 얘기를 하게 된다.
꼭
소설이 아니라 영화나 전시회, 가게 등등 결국 무슨 얘기를 해도 내 얘기를 하게 되는데
결국
나와 연결된 지점을 짚어나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이태준의 '달밤'이라는 소설을 참 좋아한다.
약간은 모자라다 할
수도 있는 황수건의 이야기를 담담히 적어내는데 참외 장사라도 해보라는 돈도 다 날려먹고 아내도 떠나버린 뒤 달을 보며 서툰 노래를 부르는
황수건의 모습 속에 담긴
어떤
아득함 같은 것 때문이다.
내게 '홀'을
얘기한 이는 이 소설을 보면
인간이라는 것의
하염없는 비루함에 몸서리치게 된다 하였으나
나는
아주 그렇지는 않았다.
아마
어떤 성향 차이가 아닐까 싶다.
그렇다고 이 소설이
나빴다는 말은 아니지만
같은
하늘을 바라보는 남자라면 아내가 떠나고 달을 보며 노래를 부르는 황수건에게서 더 하염없는 비애감을 느꼈다.
달밤이
덜 극적이어서인지도 모르겠다.
대부분
인생은 덜 극적인 채로도 충분히 비애에 젖어 하늘을 바라보게 되므로…
2016. 12. 27. 1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