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 창비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낡은 이야기란 게 있을까


힘들지만 손을 뗄 수가 없다


선의를 믿는 인간들은 때로 그 선의에 완전히 반하는 행위를 하고


나는 한동안 이해할 수가 없었다


왜 세상은 선과 도덕을 얘기하지만


실제 세상은 그러지 않는가


 


  


한강 작가가 쓴 '채식주의자'가 맨부커상을 받았다. 한국인 최초다.


그리고 내일은 5월 18일. (이 글은 2016년 5월 17일에 썼다)


그날로부터 36년이 지난.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는 내가 올해 읽은 작품 중 최고였다. 어쩌면 한국 문학 중 가장 뛰어난 작품이 될 수도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미 낡아버린 이야기


라고 생각했던 그 실화 속 아픔과 잔인함, 안타까움


그 감정의 결을 그대로 살려낸 작품이다.


 

소설 '봄날'을 읽고 분개한 것이 1980년도 아니고 2000년대 였지만 어느새 5.18은 내게 낡은 이야기였다. 시절이 하수상하긴 하지만 그렇게까지 인권을 탄압하던 시기는 지나갔으므로 그 시대에 대한 이야기는 낡았다고 생각했다. 내게 그것은 옛날이야기였다.


그러나


그때의 피해자들과 관계된 사람들 혹은 생존자들 여전히


삶을 살고 있다


그 기억을 안고서


또한 인류는 때로 쳇바퀴 굴리듯 그런 학살, 고문을 반복하고


그 안에서 사람은 죽어간다.


 

소설 자체도

한번 펼치면 눈을 뗄 수가 없었다


빠르게, 거의 하루만에 소설을 읽었다.


한 인간 속에 숨겨진 잔인함

한 인간 속에 숨겨진 숭고함

그것은 무엇일까


아마 소설가 한강도 그것을 묻기 위해 소설을 썼을 것이다


에필로그에 따르자면 동호라는 소년과 이어진 줄을 쫓은 것이지만


각 장마다 시점과 화자, 주인공을 달리해가며


그녀가 묻고 있는 것은 한 사람 속에 숨겨진 무엇


때로 드러나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는 그것은 무엇일까


같은 인간종인데도 전혀 다른 것도 같은


 

잠깐 세월호를 떠올려본다

전혀 낡을 수 없는 이야기

인간 속에 숨어있는 것

그것은 무엇일까

누군가 아무렇지 않게 고문을 하고

누군가 죽음을 무릎쓰고 도청에 남고

누군가 도망치고 누군가는 다른 누군가를 구하는 그 무엇

과연 무엇일까


소설가 한강은

인간성에 대한 질문을 통해 소년 동호를 절대 갈 수 없는 소년

언제나 와서 옆에 서있을 수밖에 없는 소년으로 만들었다.


5.18이라는 사건이 이 나라에서 갖는 의미를 넘어서

전인류적인 의미를 질문함으로써.



제목이 시사하는 바도 크다.

전두환은 발포 지시를 자기가 하지 않았다고 또 망언을 했고



2025년이 되자 그는 죽었고

한강 작가는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금세 9년이 흘러 

그녀가 노벨문학상을 받았음에도 다시 계엄령이 나고

다행히 계엄이 해제되고 계엄을 발표한 자는 탄핵되었으며

그들에게 계엄이 무엇인지 그 단어가 그 단어가 지닌 무게가 이 나라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다시는 그 단어를 쉽사리 자기만을 위해 쓸 수 없도록 죗값을 치르게 할 수 있을 만한 분이 대통령이 되었으므로 

앞으로를 그래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지만

불행하게도 여전히 계엄 운운하던 자는 버젓이 세상을 아무렇지 않게 활보하고 다니는 듯 하고 

나는

이전에 읽은 책을 정리하고 있는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