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와의 증인들 두 분이 방문하여 함께 토론을 했다. 우리의 주제는 두 가지였다. 하나는 원죄에 대한 것, 다른 하나는 완전성에 대한 것.

나의 문제 제기 1: 아담의 원죄가 유전된다는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겠다. 죄란 도덕적으로 성숙한 인격체가 행한 어떤 행위의 결과다. 아담은 신의 명령을 어겼고 그 결과로 죽음을 피하지 못할 존재가 되었다. 이제 막 태어난 아이는 원죄를 갖고 태어나는가? 그렇다. 그러면 이 아이의 원죄는 어떤 행위의 결과인가?   

그분들의 설명 1: 원판에 흠이 있을 경우 그걸 복사하면 복사본에 계속 흠이 남는다. (그분들은 다양한 버전으로 이러한 논리를 주장했고 나는 계속 불만족스러움을 표시했다.)

나의 문제 제기 2: 아담이 완전한 인간이었는가? 그렇다. 그러면 어떻게 아담이 신의 명령을 어길 수 있는가? 이 볼펜이 완전하다는 것은 언제 어디서고 망가지지 않고 잘 기능한다는 의미 아닌가? 공장에서 막 나왔을 때는 완전했다고 말하고 싶은가?

그분들의 설명 2: 아담은 자유 의지를 갖고 있다. 아담은 선택할 수 있다. (역시 불만족스럽다. 게다가 나는 스피노자주의자이다.) 

토론은 치열했지만 합의점을 찾기가 힘들었다. 그러다가...

나: 말했듯이 나는 죄나 완전성을 어떤 행위의 결과들, 혹은 총체들로 이해한다. 완전성에 대한 당신의 정의는 무엇인가?

그분들: 신이 보기에 좋으면 그것이 완전한 것이다. 신이 만들어 놓은 규칙들을 잘 지키면 완전한 것이고 어기면 죄인 것이다. 

토론에서 최악은 무엇일까? 독설, 인신 공격, 고성, 비꼼 등등인가? 전혀 그렇지 않다. 이런 것들은 토론의 규칙 안에서 토론 기술로 포용될 수 있는 것들이다. 그러면 어떤 것이 토론의 규칙에 위배되는 것일까? 아이디어를 제공하지 않는 것! 아이디어가 오고 갈 때에만 토론은 가치를 가진다. 결론이나 합의점에 도달하는 것, 서로 예의를 지키는 것 등등은 토론의 본질에 속하지 않는다. 

나는 그분들의 완전성에 대한 정의를 듣고 잠시 생각에 빠졌다. "내 말 이해하겠는가?" "이해한다. 솔직히 좋아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에 대해 생각을 하고 있다. 나는 이걸 생각해봐야만 한다." (영어 대화를 그대로 옮김)

그분들의 완전성에 대한 정의는 신선했다. 이 정의로 원죄가 어떻게 유전될 수 있는가라는 의문은 해소된다. 완전한 인간이 어떻게 타락할 수 있는가라는 의문도 해소된다. 

신이 제정한 규칙을 인지하고 그것을 잘 지켜나갈 수 있다면 그 사람은 완전한 사람일 수 있을 것이다. 말하자면 그 사람은 신의 테스트를 받고 항상 그것을 통과하는 사람일 테다. 이러한 맥락에서 구약의 욥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나는 욥기를 읽어 보겠다고 약속했다. 우리는 다음에 만나 욥에 대해 이야기하자는 것으로 토론을 마무리했다.

"느꼈겠지만 나는 굉장히 회의적이다." "나도 그랬다." 우리는 호탕하게 웃으며 악수를 나누고 헤어졌다.

방으로 돌아와 보니 탁자 위에는 머리가 하얗게 센 영국 신사 할아버지가 놓고 간 팜플렛이 놓여 있었다. 표지의 그림이 3단으로 되어 있다. 맨 위는 죽그릇을 들고 있는 굶주린 아이, 그 아래는 한창 전쟁 중인 군인, 그 아래는 시커먼 매연을 내뿜는 공장, 그리고 "Will our world ever change?"라는 카피. 종교에 대한 토론에서 잇점을 갖고 출발하는 사람은 언제나 무종교자다. "처녀가 애기를 낳고, 죽은 자가 살아났다고? 그걸 믿어?"라고 공격할 수 있으니까. 반면, 기아, 폭력, 환경 오염 등에 대해 무종교자들은 어떤 전망을 갖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받으면 참으로 할 말이 없게 된다. 더구나 나는 스피노자주의자다.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인간적 재앙들은, 마치 늑대가 양을 잡아먹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자연사의 일부이다. 스피노자 등의 철학자들이 한 일이라고는 낙타가 바늘 구멍 통과하는 것처럼 힘들고 희소한 전망을 찾아내어 일말의 낙관적 세계관으로 제시하는 것이었다. 냉정하게 말하자면 자기 만족이자 자기 위안이다. 인류의 진보는 의심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나도 그렇게 생각하지만(나도 그 방향이 옳은 방향이라고 믿고 있으므로), "진보적"이라는 말은 "다른"이라는 말을 오용한 것이라는 지적에도 동의할 수 밖에 없다. 진보라는 것이 양적으로든 질적으로든 인류에게 더 풍요로운 행복을 가져다 주었는가에 대해 회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이 아무리 척박하다 한들 현실 대신 환상을 바라보는 일은, 적어도 내게는 가능하지 않다. 그것은 일종의 퇴행이다. 그것은 현실을 외면하는 또다른 방법이다. 여기서 사르트르의 역설이 진리가 된다. 나치 치하에서보다 프랑스가 더 자유로웠던 적은 없었다. 자유의, 진리의, 진보의 바늘 구멍은 언제나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나"라는 공간이다. 그 공간 안에 우리의 이상을 풀어놓아야 한다. 이러한 깨달음을 실천하기엔 너무 너무 늙었는가? 이런 변명을 무작정 비난할 수는 없다. 그게 현실일 경우가 많으니까!(나도 너무 너무 늙었다.) 그렇다면 우리의 아이들이 이러한 깨달음을 더 일찍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우리의 행복의 일부를 구성하게 될 것이다. 체계는 "나"에게 나의 자유를 증명하도록 강요한다. "나"는 체계를 자유의, 진리의, 진보의 체계로 전환시키려는 노력에 일부로 참여함으로써 그 자유를 증명한다. -이것이 내가 생각하는 운동의 정의이다. 물론, 스피노자에게 배운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Forgettable. 2012-05-31 0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블랙북스라는 영국 시트콤 생각이 나네요. 회계 업무를 너무 하기 싫은 주인공이 온갖 다른 일(그동안 무척 하기 싫어했던)을 찾아서 하다가 결국은 교회인들의 방문까지 환호하며 접대하는 ㅋㅋㅋㅋㅋ 선교하는 신자들도 이런 반응은 처음이라며 의아해 하고 종교적인 토론을 열심히 하고 돌아갑니다. 집에 혼자 남은 주인공은 회계 업무를 떠올리곤 다시 한숨을.... 그닥 관련은 없지만 영국에서의 종교에 대한 토론이라니 이 에피소드가 생각나서요^^

weekly 2012-05-31 04:20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 저도 종교에 딱히 관심이 있어서가 아니라 영어도 익힐 겸, 영국 사람들 속내도 알 겸 해서 오겠다는 사람 막지 말자는 마음으로 시작한 거라서... 찔리는 것이 있는지라 그분들 올 때는 영어 학습 서적들을 죄다 책상에서 치워놓는답니다.^^ (이러다 제 꾀에 제가 넘어간다고 제가 신자가 되어 버릴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