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종이로 된 사전 사보는 사람이 많이 줄었다지요 ...
불어 독어 이태리어 같은 제2외국어는 더하겠죠.
최초의 프랑스어 사전들은 천주교 신부들의 노력으로 만들어졌더군요.
근래에 당시 사전들의 연구서가 몇 종 나왔습니다.
하지만 이런 걸로 프랑스어 공부할 수는 없겠죠 ...
제가 가지고 있는 불한사전은 1984년 초판, 1987년 재판의 이휘영 편저 엣센스 불한사전입니다.
사전류를 전문적으로 펴내던 민중서림에서 나왔습니다만, 출간연도도 오래되고 해서 약간 기울어가던 느낌이었지요. 이 고색창연한 사전이 요즘은 어떻게 바뀌었을지 모르겠네요.
에튀드 불한사전은 쪽수로 봐서는 아마도 1960년에 나왔던 소사전의 후속작인가 봅니다.
1988년에 나온 모델 불한중사전은 한국불어불문학회에서 편집하여 펴낸 1971년의 최신불한사전의 개정판으로, 위의 엣센스보다 좀더 최근 자료가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독일어와 불어 관련 전공자들도 어지간하면 모델 사전을 많이 보던 기억이 나네요.


불어불문학회의 권위에 힘입어 모델 불한중사전이 사계를 평정하려 할 즈음, 프랑스의 유명 사전 출판사인 로베르와 제휴하였다는 프라임 불한사전이 나왔지요. 1998년의 일입니다. 당시에 살짝 비교해 볼 때는, 과문한 탓인지 별다른 차이를 모르겠던 ...
한때는 제2외국어라 하면 독어 아니면 불어였던 시절도 있었습니다만,
요즘은 고교 교육 현장에서 갈수록 불어의 인기는 사그라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초급 학습자들을 위한 사전은 꾸준히 나오네요.
외외로 괜찮은 사전들을 꾸준히 펴내는 금성출판사에서 나온 콘사이스 사전은 한국프랑스어교사협회에서 편집했군요.
대놓고 입문사전을 표방한 문예림의 사전도 언젠가 한 번 보고프네요.
하지만, 아마도 요즘은 다들 네이버 프랑스어 사전이나 보겠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