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렉산더 CE - 화보집 + 엽서 포함 디지팩 양장케이스
올리버 스톤 감독, 콜린 파렐 외 출연 / 아트서비스 / 2005년 5월
평점 :
품절
죽음만이 욕망을 잠재운다 -영화<알렉산더>에 대한 단상 가난한 부부는 꿈꾼다. 사글세 방 한 칸이라도 좋으니 우리에게 작은 보금자리 하나라도 있으면 좋으련만. 그러나 방 한 칸에 만족하는 부부가 있을까. 조금이라도 안락한 보금자리를 가지려고 하는 것이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이고 보면, 사글세방이 생기면 전세방을 꿈꾸고, 전세방이 생기면 번듯한 아파트 한 채를 꿈꾸게 되는 것이 인지상정이라 하겠다. 먹음이 없으면 인체의 활동은 그대로 stop이니, 식욕은 개체보존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짝짓기가 없으면 생물의 종(種)은 단절되고 마니, 성욕은 종족보존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개체보존과 종족보존을 위해 욕망은 반드시 필요하다. 좀더 빨리 달리고 싶다는 욕망이 자동차를 만들어 냈고, 하늘을 새처럼 훨훨 날고 싶다는 욕망이 비행기를 만들어 냈다. 욕망은 기술 발전의 원동력이라 할 수 있다. 욕망이 없는 삶은 불가능하다. 욕망은 나와 내 종족을 지탱해주는 힘이요, 이 세계를 움직이는 에너지다. 이 욕망의 에너지가 없으면 인간도 세상도 더 이상 존속할 수가 없다. 사랑의 욕망으로 불타오르는 가슴을 지닌 사람은 평범하게 생긴 자신의 연인을 이 세상 그 누구보다도 아름다운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욕망은 이렇게 하나의 대상을 실제보다 아름답게 바라보게 만들기도 한다. 하나의 사과를 바라볼 때 배고픈 자가 배부른 자보다 그 사과를 더 탐스럽게 바라보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렇듯 욕망은 우리의 삶을 미적으로 풍요롭게 해주기도 한다. 소유를 욕망으로 나눈 몫이 행복이라는 것이 소위 '행복 공식'이다. 아무리 소유가 많아지더라도 욕망이 커지면 행복은 기대할 수 없다. 반대로 아무리 소유가 작더라도 욕망이 작으면 행복은 커지게 된다.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중의 하나인 방글라데시 국민들의 삶의 만족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다는 사실도 이런 사정을 반영한다. 평범한 사람도 가지면 가질수록 더 많은 것을 가지고 싶어하는 황제의 욕망을 닮아간다. 가지면 가질수록 더 가지고 싶은 황제의 욕망. 바로 그것이 영화 <알렉산더>에 등장하는 알렉산더의 욕망이다. 페르샤를 정복한 알렉산더는, 이쯤에서 정복 전쟁을 멈추라는 주위의 충고를 무시하고 그는 말한다. '인도로 가자' 혹독한 더위, 끊임없이 생명을 노리는 풍토병, 해충과 뱀들의 위협, 알렉산더 앞에는 예측할 수 없는 시련이 놓여있다. 그러나 어떤 시련도 알렉산더의 욕망을 잠재우지는 못했다. 그를 기다리던 죽음만이 그의 욕망을 잠재운다. 그는 33세의 젊은 나이로 눈을 감는다. 그의 죽음과 함께 그의 욕망도 눈을 감는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던가. 남는 것은 '알렉산더'라는 이름뿐이다. 그러나 죽은 자에게는 사후의 영광이란 대체 무엇이란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