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 ㅣ 놀 청소년문학 28
바바라 오코너 지음, 신선해 옮김 / 다산책방 / 200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풍경화에 대한 욕망을 자극하는 것은 풍경이 아니라 풍경화라던가.
잘 그려진 그림이 그림에 대한 욕망을 자극하듯
어떤 책은 나도 한번 쓰고 싶다는 도전욕을 자극한다.
바바라 오코너의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이 그것.
몇 장 읽다보니 왠지 오코너에게 소재를 뺐긴 느낌이다.
딴 건 몰라도 개 이야기라면 나도 해 볼만한 소재 아닌가.
아빠의 가출로 차에서 자고 맥도널드 화장실에서 몸을 닦아야 하는 11살 소녀
이 아이가 집을 구할 수 있는 길은 하나.
주인에게 듬뿍 사랑 받는 개를 훔치는 길이다.
주인은 개를 찾아주는 대가로 거액의 사례금을 내놓는다.
완벽한 설정이다.
더할 나위 없다.
더구나 아이 유괴보다는 개도둑질이 훨씬 도덕적(?)일뿐더러 안전하고
우화적이며 심지어는 유머스럽기까지 하다.
개에게 실종의 전후사정을 묻는 주인의 표정을 상상해보자.
-너를 찾아준 아저씨가 혹시 너를 납치한 건 아니니?
..........................
-내가 너에게 한눈을 파는 사이에 그 아저씨가 너를 데려간 건 아니냐구?
..........................
그럼 대체 어떻게 된 거냐구?
...........................
개로서도 주인에게 진실을 이야기하고 싶겠지만 기껏 나온다는 소리는
낑낑깽깽, 더해봤자 멍멍왈왈 정도일 것이 분명하다.
(신은 개도둑편이다. 개에게 언어를 허락하지 않았으니까.)
세상의 개들의 언어실력이 이 정도라면
두 발 쭉 뻗고 개를 찾아준 사례금으로 지중해 여행을 꿈꾸어도 좋을 것이다,
단지 CCTV를 조심할 일이다.
꼬리가 길면 잡히는 법이니까.
(하여튼 기술은 모든 이들에게 친절한 건 아니다.
개를 훔치려는 인간들에게는 더더욱 불친절하다.
개 몸에 이식해놓은 전자장치는 개도둑에게는 최악의 기술이다.
기술은 개도둑놈의 서사와 신화를 깡그리 망쳐놓는다.
개같다.)
P.S 애견협회에서 다는 악플에 난리가 날지도 모르겠다.
Barking dog seldom bites 짖는 개는 좀처럼 물지 않는다,라는 속담이 부디 틀리지 말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