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의 존중 - 문명의 충돌을 넘어서
조너선 색스 지음, 임재서 옮김 / 말글빛냄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종교는 해답의 일부가 되지 않으면 문제의 일부가 될 수밖에 없다.”

영연방 최고의 랍비(유대교 성직자)로 꼽히는 철학자이며 신학자인 조너선 색스의 발언이다. “하느님의 유일성은 창조의 다양성에서 찾을 수 있다.”라는 발언은 이렇게도 변주된다.

“우리가 진심으로 경이를 느껴야할 대상은 잎사귀의 (플라톤적) 형상이 아니라 현실에 존재하는 25만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잎사귀이며, 본질적인 새가 아니라 지금 이 땅에 존재하는 9천종의 새이고, 다른 모든 언어를 포괄하는 초언어가 아니라 전 세계에서 실제로 통용되는 6천개의 언어이다.”

밑줄을 그으며 나는 그에게 별 네개를 준다. 때로는 시적이고 때로는 과학적 논문처럼 엄정하다.

“하늘의 통일성이 지상의 다양성을 창조한다.” 그는 줄기차게 다양성의 가치, 차이의 소중함을 역설한다.

“우리는 특정한 사람을 사랑하는 것으로 인류 전체를 사랑하는 법을 배운다. 지름길은 없다.” 단호하고 명쾌하다. 강아지를 학대하고, 제 자식을 학대하는 휴머니스트는 위선일 뿐이다. 옳다.

“우리가 친구를 믿는 것은 우정에 대해 대가를 지불하지 않기 때문이다.” 뭣에든 돈이 관련되면 관계는 혼탁해지지 않던가.

“도덕은 우리를 경제 체제의 대체가능한 부속품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것은 우리를 타인들의 변덕과 덧없는 이해관계로부터 독립된 존재로 바라본다.” 대체 할 수 없는 것, 유일무이한 것, 그것이다. 바로 그것,

이사야 벌린이 한 말을 그는 재인용한다. “자기 신념의 상대적 타당성을 깨닫는 동시에 자기 신념을 포기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야만인과 구별되는 문명인의 태도이다.” 내 믿음이 틀릴 수도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것을 지키는 것, 이 이율배반을 감당할 능력이 과연 우리에겐 있을까. 종교인들은 어떨까. 정통유대교인이 인용한 이사야 벌린의 말은 두고두고 곱씹을 말이다.


“교환과 거래를 통해서 차이는 저주가 아니라 축복이 된다는 대단히 심오한 정신적 메시지를 전해주는 것은 시장이다.” 시장을 100프로 부인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러나 시장의 원칙이 제 울타리를 넘어 공적인 영역의 모든 부분을 제패하는 것은 문제다.


“우리는 남을 희생하여 이득을 취하고 무지를 이용하고 피고용자를 냉담하게 대하게 하는 시장의 끊임없는 유혹에 맞서 싸울 필요가 있다.” 더 이상 덧붙일 말이 없다. 단순명쾌하다.

일체의 균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박멸의 의지를 가진 곳보다는 차라리 쓰레기터가 더 살만한 곳이다.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개미Z>>에서 벌레들의 천국, 인섹토피아는 다름아닌 쓰레기터였다.
쓰레기터에 산업폐기물 버리는 녀석들은 쓰레기터의 룰을 지키지 않는 자들이다.  


버릴 만한 것을 버린다면 쓰레기터라고 해서 나쁠 것이 없다.
인터넷도 그런 곳은 아닐지.
잘 쓴 랍비의 책을 읽고서는 동문서답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