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수생활백서 - 2006 제30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박주영 지음 / 민음사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낙이라곤 책읽기밖에 없는 이 소설의 화자가 맘에 든다.
무엇인가에 몰두하게 되면 다른 것에는 심드렁해지기 마련.
이 여자는 책읽기에 빠져 연애고 생활이곤 관심이 없다.
야망도 없다.
여자는 말한다.
<누군가를 만나고 돌아오는 길, 나는 늘 안도한다. 뭔가가 빠져 있는 듯한 삶이지만 그걸 굳이 채우려고 발버둥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그럴듯한 애인도 없이 자랑할 만한 직업도 없이 살고 있지만 나에게는 책이 있다.......내가 진심으로 원하는 걸 알고 있으므로 나머지는 의미 없다고 여긴다. 가질 수 있을 때까지 미루거나 참는 것이 아니라 그런 것들은 내게 없어도 되는 것이다.>


이 여자는 하다못해 내가 꿈꾸는 프로방스나 지중해에도 관심이 없다.
책 이외엔 무감동이다.
박애주의, 그런 것은 모른다.
<내 몫만이라도 제대로 챙기면서 내 인생만이라도 제대로 누리면서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 여자의 소박한 이기주의는 격려받아야 할 것이 아닌지.
열정으로 채운 삶, 싸우고 분투하여 얻는 삶만이 고무되고 찬양받아야 하는 걸까.


주유원으로 일하는 이 여자는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내가 검소하거나 가난하다고 생각한다. 검소하거나 가난하거나 사실 그게 그거이긴 하지만. 그러나 나는 그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가난하지 않다. 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풍족하다. 그렇다고 무슨 위로가 되겠느냐마는 아무튼 그렇다는 얘기다.>
애써 폼 잡지 않고 설렁설렁 할 말 다하는 그 평이한 문체도 좋다.


<나는 가볍고 의미 없고 비생산적이다. 그리고 나는 그런 내가 맘에 든다.>라고 말했을 때의 비생산도 나는 좋다. 생산, 효율...이제 이 지긋지긋한 단어들과 작별을 좀 하자. 거리를 두자는 이야기다.


내겐 이 책이 독서가들에 대한 권리선언쯤으로 보인다.
말해 놓고 보니 너무 거창하다.
그저 사랑스런 백수에 대한 이야기다.


돌발 질문하나: 책 읽는 사람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너무 뻔한 답: 책과 시간과 구석이다.
시간 나면 책 하나 달랑 들고 구석만 잘 찾으면 된다.
(안경 하나 추가해도 무방)

밑의 글은 예전에 쓴 파스칼 키냐르의 소설 <은밀한 생>의 리뷰의 한 대목.


<모든 독서는 출애급이다.>라는 키냐르의 말에 나는 동감한다. 독서는 끊임없이 ‘이곳’을 벗어나는 행위다. 지금 이곳에 만족하는 자는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지 않는다. 어떤 결핍이 끊임없이 새로운 세상을 꿈꾸게 한다. 결핍이 없으면 독서도 없다. 키냐르는 <책읽기는 이 세상과 어긋나고 알 수 없으며 그 자체로 좋은 다른 세계에 두뇌를 집중함으로써 또 하나의 세계에 접속되는 일이다. 그 세계가 나의 구석진 장소였다.>라고 고백한다. 지금 이곳이 충분하다면 왜 다른 세상과의 접속을 꿈꾸겠는가. 독서는 <사회의 그리고 시간의 사각지대에서 살아가기. 이 세계의 모퉁이에서 살아가기>다. 그것은 <자신 밖으로 떨어져 나가기>이다. <결코 자신의 밖으로 떨어져 나오지 못하는 사람은 사랑을 체험하지 못한다. >라고 키냐르는 말한다. 사랑은 나를 벗어나 너로 귀환하겠다는 망아와 몰아의 체험이다. 독서 역시 나를 벗어나는 망아의 체험이다. <독서하다. 사고하다. 독서의 기쁨은 사랑의 기쁨과 마찬가지로 타인의 사고와의 만남이라는 경험에서 오는데, 거기에는 일체의 경쟁관계나 정신의 기능을 종속시킬 일체의 의도가 배제되어 있다. 타인이 파악한 것을 함께 나눌 뿐이다. 독서는 죽은 자들과 더불어 사고하는 기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