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08 #시라는별 66
나의 떨켜
- 이산하
나무는 잎을 떨어뜨리며 죽음을 연습하고
잎은 떨어지는 힘으로 삶을 연습한다.
헝클어진 뿌리들도 자세히 보면
그 얼마나 질서정연한가.
그 어느 잔뿌리 하나 쓸모없는 게 있던가.
사람이 죽으면 가장 깊은 정으로 맺힌 부위가
가장 먼저 썩는다지만 썩어서 나무들의 떨켜처럼
제 목숨의 무게만큼만 돋아나지 않더냐.
나는 내 몸에 돋은 떨켜를 모두 떼어내
나를 멸종시켜버린다.
‘떨켜‘는 낙엽이 질 무렵 잎자루와 가지가 붙은 곳에 생기는 특수한 세포층을 말한다. 주말에 관악산을 다시 찾았더니 알록달록 예쁘게 산을 물들여놓았던 나뭇잎들이 일주일만에 거의 지고 없었다. 이산하 시인의 『존재의 놀이』에 수록된 이 시가 떠올랐다.
나무는 잎을 떨어뜨리며 죽음을 연습하고
잎은 떨어지는 힘으로 삶을 연습한다
인생의 가을에 접어든 나도 한 그루 가을 나무. 몸의 어떤 부위가 삐거덕거릴 때면 잎이 투두투둑 떨어지는 가을 나무 같다. 죽음 또한 이전과 사뭇 다르게 성큼 다가온 듯한 느낌에 사시나무 떨듯 몸과 맘이 부르르 떨리기도 한다. 그러나 나는 아직 ˝떨어지는 힘으로˝ 살고 싶은 나무에 가깝다. 우리네 삶은 한 번 가면 다시 오지 않기에 사실 연습이 불가하지만, 잎을 떨어뜨리듯 악착 같이 부여잡고 있는 무언가를 하나씩 내려놓으며 살 수는 있을 것이다.
잎이 떨어진 자리, 잎자루와 가지가 붙은 지점에 돋아나는 ‘떨켜‘. ˝떨어지는 힘˝으로 생겨난 세포층. 이산하 시인은 자신의 ˝몸에 돋은 떨켜를 모두 떼어내 / 나를 멸종시켜˝ 버리겠다 말하지만, 나는 아직 나를 멸종시켜 버릴 수가 없다. 추락을 사는 힘으로 전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평지의 꽃
느긋하게 피고
벼랑의 꽃
쫓기듯 늘 먼저 핀다.
어느 생이든
내 마음은
늘 먼저 베인다.
베인 자리 아물면
내가 다시 벤다. (<생은 아물지 않는다> 전문)
![](https://image.aladin.co.kr/product/27648/28/cover150/8954680046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8162/52/cover150/e652539082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5100/51/cover150/k032632954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8648/23/cover150/8965703433_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108/pimg_740298103318263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108/pimg_740298103318263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108/pimg_740298103318263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108/pimg_740298103318263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108/pimg_740298103318263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