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05 #시라는별 46
부러짐에 대하여
- 정호승
나뭇가지가 바람에 뚝뚝 부러지는 것은
나뭇가지를 물고 가 집을 짓는 새들을 위해서다
만일 나뭇가지가 부러지지 않고 그대로 나뭇가지로 살아남는다면
새들이 무엇으로 집을 지을 수 있겠는가
만일 내가 부러지지 않고 계속 살아남기만을 원한다면
누가 나를 사랑할 수 있겠는가
오늘도 거리에 유난히 작고 가는 나뭇가지가 부러져 나뒹구는 것은
새들로 하여금 그 나뭇가지를 물고 가 집을 집게 하기 위해서다
만일 나뭇가지가 작고 가늘게 부러지지 않고 마냥 크고 굵게만 부러진다면
어찌 어린 새들이 부리로 그 나뭇가지를 물고 가
하늘 높이 집을 지을 수 있겠는가
만일 내가 부러지지 않고 계속 살아남기만을 원한다면
누가 나를 인간의 집을 짓는 데 쓸 수 있겠는가
2007년에 출간된 정호승 시집 <<포옹>>은 시인의 아홉번 째 시집이다. 시인의 말에서 정호승 시인은 흙으로 사발을 만드는 도공처럼 언어로 ˝시집이라는 사발˝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그릇은 비어 있음으로 그 쓸모를 완성하듯, 시집이라는 사발 또한 아무것도 없는 빈 공간에 말로 지은 음식을 채워 그 쓸모를 다하리라.
<부러짐에 대하여>도 그와 비슷하게 빈틈의 유용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꼿꼿하지 말고 유연하기, 고집부리지 말고 고개 숙이기, 욕심부리지 말고 내려놓기. 빡빡하게 굴지 말고 허허실실 웃기. 그렇게 허점이 있어야, 공터가 있어야 내 안에 다른 사람을 들일 수 있는 법이다. 그래야 새들이 작고 가는 나뭇가지로 집을 짓듯 그 사람도 가벼운 나로 ˝인간의 집˝을 지을 수 있지 않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