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13 #시라는별 36
쓸데없는 게 어딨어
- 김상순
니는 남의 아아들한테 씰데없는 넘, 이런 소리 함부로 하지 마라이.
그 말 않고 살기 어렵소.
세상에 씰데없는 말은 있어도 씰데없는 사람은 없는 기라. 하매(하물며), 나뭇가지를 봐라. 곧은 건 괭이자루, 휘어진 건 톱자루, 갈라진 건 멍에, 벌어진 건 지게, 약한 건 빗자루, 곧은 건 울타리로 쓴다. 나무도 큰 넘이 있고 작은 넘이 있는 것이나, 여문 넘이나 무른 기 다 이유가 있는 기다.
그래도 쓸데없는 사람은 있소.
아이다. 니 눈에 그리 보여도 안 그렇다. 사람도 한 가지다. 생각해 봐라. 다 글로 잘나면 농사는 누가 짓고, 변소는 누가 푸노? 밥 하는 놈 있고 묵는 놈 있듯이, 말 잘 하는 놈 있고 힘 잘 쓰는 놈 있고, 헛간 짓는 사람 있고 큰 집 짓는 사람 다 따로 있고, 돼지 잡는 사람, 장사 지낼 때 앞소리 하는 사람 다 있어야 하는 기다. 하나라도 없어 봐라. 그 동네가 잘 되겠나.
요새 세상은 그런 사람 없어도 잘만 돌아가요.
내사 잘 모르지만 사람 사는 기 별 다르지 않다. 지 눈에 안 찬다고 괄시하는 기 아이라. 내사 살아 보니 짜다라 잘난 넘 없고, 못 볼 듯 못난 넘도 없더라.
허수경을 시들이 무거워 팝콘처럼 가볍게 통통 튀는 김상순의 입말 시로 돌아왔다. 게다가 곧 스승의 날이지 않은가.
초등학교 교사 홍정욱은 학교 문턱도 넘지 못한 어머니 김상순에게 언제나 타박을 듣는다. 비가 많이 오겠나? 라는 질문에 내가 우찌 아오? 라고 답하면 김상순은 ˝선생이 배운 게 짧네. 하루 일기도 못 봐서. 그래가 크는 아이들 똑띠 갈치겠나.˝ 라고 핀잔을 주고, 힘드니 뭘 자꾸 하지 말라는 아들의 염려 섞인 말에는 ˝안 힘든 일이 있으며 갖고 와 봐라. / 다 그리 산다. 니는 사는 게 수월하냐?˝ 라고 도로 묻는다.
살아 보니 나이를 먹는다고 지혜까지 먹는 건 아니라는 걸 알겠다. 가방끈이 길다고 지헤의 끈까지 길어지는 건 아니라는 걸 알겠다. 김상순이 책보다 흙을 만지고 살면서 몸과 마음에 익힌 세상 사는 지혜를 꿀꺽꿀꺽 삼켜야지.
세상에 씰데없는 사람은 없다. 세상에 난 데는 다 이유가 있는 거다. 그러니 누구도 함부로 대하지 말라. 이런 말을 아무렇지 않게 툭툭 내뱉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스승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김상순은 흙이 길러낸 스승이다.
˝배우긴 어디서 배워? 날마다 뭘 해 봐라. 일머리가 보이고 길이 보이지. 손이 일을 하면 머리는 또 제대로 일을 찾는다 아이가. 그기 일머리다.˝
사진은 이팝나무.
![](https://image.aladin.co.kr/product/20648/35/cover150/8961570986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6989/83/cover150/k952730614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12481/61/cover150/k442532169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1745/51/cover150/8980406789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93/30/cover150/8988996763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97/57/cover150/8988996771_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513/pimg_740298103294603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