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내용은 대학에서 영어 교육을 강화하겠다는 내용인데.. 여러분의 생각은?

과연 이렇게 청소부 아줌마들까지 영어 사용자를 고용하면 영어 실력이 늘까... 그리고 궁극적으로 대학이 영어학원인지 학문의 전당인지 헷갈리네요..

영어가 중요하다지만, 이렇게까지 중요한건인지 의문이네요.

대학들 영어에 ‘올인’


[한겨레] “우리 대학은 기숙사 청소하는 아줌마도 영어를 쓰는 필리핀 등 지역 사람을 쓰기로 했습니다.”

서강대 손병두 총장은 최근 취임 100일 기자회견장에서 새로운 영어 교육 계획을 꺼내놓았다. 새로 짓는 제2기숙사 청소인력까지 영어 사용자를 뽑는다는 것이다. 서강대는 새 기숙사에 영미권 유학생들을 많이 받아들여 아예 기숙사 학생들이 영어를 안 쓰면 생활하지 못하게 만들 계획이다.

대학들의 영어화·국제화 바람이 실로 치열하다. 최근 들어 극심한 취업난까지 더해지면서 온 대학 캠퍼스가 커다란 영어학원처럼 바뀌고 있다.

서강대 신축 기숙사 영어 상용화
연대 ‘언더우드학부’ 영어만 사용
캠퍼스 거대한 영어학원화
학생들 “지나치다” 의견속
“긴장감 유도” 긍정 반응도


서강대는 2006학년도 1학기부터 새로 임용되는 교수들은 반드시 1과목 이상은 영어 전용 강의를 하도록 정했다. 또한 최근 몇년 사이 대학들에 유행처럼 퍼진 영어 졸업인증제를 크게 강화해 도입하기로 했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인문사회 계열은 토익 점수 900점, 자연 계열은 800점 이상을 받아야 졸업할 수 있게 된다.

연세대는 지난 9월 ‘미국 대학을 한국에 그대로 옮겨놓는다’는 개념으로 언더우드 학부를 출범시켰다. 언더우드 학부는 기존 국제학부처럼 국제학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학, 정치학 등 개별 전공을 100% 영어로만 진행한다. 연세대는 장기적으로 캠퍼스 전체를 영어 상용 가능 지역으로 바꾼다는 구상이다.

한양대도 2001학년도부터 단과대별로 600~900점의 기준 토익 점수 이상을 받아야 졸업장을 주는 영어 졸업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에 걸려 올해 8월 졸업자 가운데 25명이 졸업장 대신 수료증을 받아야 했다.

토익 시험이 ‘요령 위주’라는 지적이 많아지면서 자체 영어평가를 도입한 대학도 있다. 숙명여대는 말하기와 쓰기 능력 시험을 포함한 자체 영어시험 ‘메이트’(MATE)를 통과하지 못하면 졸업장을 주지 않는다.

아무리 영어가 중요하다고 해도 도를 넘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만만찮으나, 학생들은 예전과는 달리 ‘영어는 필수’라는 명제 자체에 대해 쉽게 이의를 제기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오히려 의무적인 강제규정이 영어를 공부하게 만들어 준다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학생들도 있다.

한 서강대생은 학교 인터넷사이트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토익 900점 이상을 받아야 졸업을 시켜주겠다는 학교 쪽의 생각은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넣어준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평하고, “졸업인증제 이전에 외국인 교수 비율을 높이고, 교환학생도 늘리는 등 영어 공부를 할 분위기를 먼저 조성해 달라”고 요구했다.

한양대 ㅎ아무개(29)씨는 “토익점수를 요구하는 것만으로 학생들의 영어가 늘겠냐”고 반문하고, “요식행위에 지나지 않지만 그렇게라도 해서 영어 공부를 시키려는 현실이 씁쓸하다”고 말했다. 서강대 ㅇ아무개(24)씨는 “현실적으로 한국인이 다니는 한국 대학에서 캠퍼스 전체가 영어를 상용하는 것 자체가 가능한 일인지 의문스럽다”며 “영어 교육을 강화한다는 것 자체는 반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이 기사 내용 보면서 든 생각은 아예 초등학교 때 아이를 미국이나 영어권 나라에서 3~5년 정도 유학시키면 대학은 거저 가겠구나 하는 생각이었습니다. 참고로 제 아이는 이제 만5세입니다.

영어, 물론 국제어로써 중요하죠. 하지만, 영어 하나만 가지고 그 사람 전체를 평가할 수는 없는 노릇일테고, 만약 10년 후에 정말 동시통역 기계라도 나온다면 영어 공부 하나에 목숨 건 사람들은 얼마나 허탈할까 하는 좀 우수운 생각이 들었습니다.

토익 점수 900점 이하면 졸업 안시키겠다는 대학도 있는데.... 그럼, 그 대학의 교수진들은 과연 전부 토익 900점 이상일까요.. 아닐꺼라고 봅니다.

청출어람 청어람이라지만, 너무 무리한 생각인 듯 합니다.

제 짧은 소견으로는 앞으로의 사회가 마스터 아니면 르네상스맨을 필요로 할꺼라 생각되는데... 영어 잘하는 사람이 인정받는 세상이 될꺼라고 생각하는 건지...

영어가 절실히 필요한 사람들은 대학 졸업과 관계없이 영어 공부 합니다. 그리고 대학에서 영어 공부 열심히 해서 토익 점수 높은 사람도 10년 이상 영어 공부 안하면 다 까먹구요.

전문분야나 자기 분야와 관련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과정을 거쳐 최고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그러한 성공이 이루어져야 사회가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은 것 아닐까요.

토익 900점 이상을 받아야만 졸업할 수 있는 대학의 졸업장이 인생의 보증수표가 아닌바에는 말입니다.

대학에서 영어에 대해 너무 오버하는게 아닌가 합니다.

속된 말로 아인슈타인이 우리나라에서였다면 결코 천재 과학자가 되지 못했을꺼라는 우스개 소리가 이런 교육 환경 때문에 나오는거 아닐까요.

골고루 균형있게 잘 하는 학생도 있지만, 다른건 다 꽝이여도 어느 한분야에서만큼은 경쟁력을 갖춘 학생들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영어를 잘 못한다는 이유로 그런 학생들이 배움의 기회마저 박탈당한다면 과연 그것이 옳은 것일까요.

대학들이 뭔가 크게 착각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영어 잘 하면 플러스인 것은 분명합니다. 기회도 더 많구요. 하지만, 영어를 잘 한다는 것과 자기 전공분야에서 뛰어나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연관이 있더라도 아주 적은 부분이구요.

오히려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라면 대학에서 이렇게까지 오버하지 않아도 필요에 의해 영어를 익히고, 더 발전하기 위한 노력들을 할 꺼라고 봅니다.

대학 전체를 거대한 영어 학원으로 만들기 위한 이러한 정책보다는 오히려 학생들이 창의적인 사고를 가지고 한 분야에서 전문 인력이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그에 걸맞는 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앞으로의 대학의 모습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 제 의견입니다.

끝으로 앞에서 마스터와 르네상스맨을 언급했는데.. 뭐 대단한 개념은 아니구요.

마스터는 한 분야의 장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1급 기능사나 기능사처럼 한가지 분야에 특화된 기술이나 지식을 가진 사람요... 엔지니어와 같은 전문직 종사자쯤 되는 개념이라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또, 르네상스맨은 다양한 분야에 박학다식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을 의미합니다.

주로 관리자나 경영자쪽이 여기에 해당되겠죠.

물론 이 두가지를 다 잘하면 가장 좋겠지만, 어느 하나라도 제대로만 한다면 자기 스스로 벌어서 먹고 사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까 하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ㅎㅎ.. 기사 내용 보구 괜히 흥분해서 여기까지 장황하게 써놨네요... 며칠 지나서 읽어보면 또 얼마나 무안할지...

좋은 밤 되시길....

p.s: 참, 저도 영어라면 잼병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흥분한 것 같기도 하네요..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매지 2005-11-06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오늘 그런 문제로 남자친구와 둘이 핏대를 세웠다는. (둘 다 영어에는 젬병이라서..^-^;;) 영어가 꼭 필요한 분야라면 물론, 영어는 필수적인 조건이 되겠지만, 과연 모든 분야에서 영어가 필수가 될 필요가 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제 전공 자체가 국문학이라서 그런지도 모르겠지만요..^-^;

아르미안 2005-11-07 0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쩝.. 외국에 출장 다니다 보면 사실 영어 잘 하는 사람이 부럽기도 하구... 이눔의 영어 어떻게 좀 속전속결로 안되나 하구... 한숨을 쉴 때도 있지만... 토익점수만 높은 멍청이들이랑 일할 때는... 이 친구는 대체 영어 몇마디 할 줄 아는 걸로 입사는 어떻게 했나본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까 걱정 아닌 걱정이 될 때도 많거든요...
제 결론은 이거죠.. 영어를 열심히 공부해서 외국에서 살다온 친구들과 비슷한 수준을 만들던가... 그게 아니라면.. 차라리 한가지 전문분야에서 확실한 실력을 쌓으라는 겁니다. 물론 두가지 다 잘하면 좋구요...
이도 저도 아닌 어중간한 상태가 딱 백수의 지름길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