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훈은 김훈이고 싸이는 싸이다 - 이 시대 가장 매혹적인 단독자들과의 인터뷰
김경 지음 / 생각의나무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김경의 글은 한마디로 깬다. 그의 글을 읽는 것은 매우 아찔하고 아슬아슬하다. 고상무쌍과 유치찬란이, 명품과 싸구려가, 고양된 정신과 범속함이, 탄탄한 내공과 즉흥적인 가벼움이, 김경속에 있고 그의 글속에 있다. 보통의 사람들은 그런 자신에 대해 자책하고 고통스러워 하지만 그는 그것을 지극히 당연하고 즐겁게 이야기한다. 부럽다. 그래서 항상 흥미롭다. 김경의 인터뷰집을 단숨에 읽었다. 나긋나긋하고 사근사근하게 상대를 무장 해제시킨 다음 인터뷰 대상의 구석구석을 발겨내는 솜씨는 앙상하게 남을 때까지 물고기가 아픔을 못 느끼도록 회를 뜨는 일급 요리사의 수준이다. - 김선주(한겨레 전 논설주간, 칼럼니스트)
책 뒤표지의 이 추천 글이 너무 지나치지 않나 싶었다. 그런데 첫 인터뷰 김훈편을 다 읽기도 전에 제대로 표현해주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김경은 당돌하다. 그리고 영악하기 이를 데 없다. 그런데 솔직히 말하면 이럴 수 있는 영악한 당돌함이 부럽다.
<김훈은 김훈이고 싸이는 싸이다>는 김경의 인터뷰집이다. 이 당돌한(당돌함도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다니) 인터뷰어에 걸려든(?) 사람들은 제목에서 보는 것처럼 작가 김훈부터 가수 싸이까지, 작가가 말하기를 '이 시대 가장 매혹적인 단독자'들이다.
첫 대화자 김훈과 마지막 싸이까지, 이런 텍스트를 통하여 다시 만나보는 사람들은 의외이면서 저마다 독특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함민복, 주현, DJ DOC, 노무현, 한대수, 양혜규, 김윤진 등 특별한 공통점이라곤 전혀 보이지 않는다. 아니 나로서는 그다지 더 알고 싶은 사람들이 아니었다. 그런데 책을 읽으면서 사람들이 저마다 가지고 있는 매력을 느낄 수 있었고 내가 가지고 있던 편견이 부끄러워졌다.
그렇다. 사람을 알려면 그 사람에게 최대한 밀착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그 사람의 작품을 읽고 그 사람이 부르는 노래를 듣는다. 그리고 그 사람의 연기를 통하여 눈빛을 보고 그 사람의 가슴을 읽고 싶어 한다. 그런데 이런 방식으로 얼마만큼 알고 싶은 사람의 그 속내를 들여다 보고 이해할 수 있으며, 또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으로서 함께할 수 있을까?
김훈이나 함민복은 글로 만나서 이미 알고 있었지만 이들이 그간 보여주었던 그 어떤 작품보다 깊이 있고 매력 있게 다가왔다. '그러고 보니 이 가난한 시인의 시집 한권 사두지 않았구나!' 이런 사소한 생각부터 시인이 살고 있는 겨울바다의 풍경이 궁금하기도 했다. 다른 작품으로 그들을 만났던 것과는 분명 달랐다. 이런 만남이 좋다.
싸이나 크라잉 넛, DJ DOC은 아이들과 채널싸움까지 해대며 더 이상 알아지기를 내 스스로 거부하던 사람들이었는데 '아! 이런! 내가 그간 지나쳤구나! 잘 알지도 못하면서 똘똘 뭉친 편견으로 바라보던 나의 허물이라니...' 이 부럽도록 당돌한 인터뷰어가 사람을 참 부끄럽게 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다른 사람들은? 어렴풋이 알고 있던 사람들이 김경에 의해 저마다 독특하게 읽혀지고 있었다.
그렇다. 우리들은 사람 때문에 울고 웃는다. 분노하기도 하고 한번씩은 "사람들이 정말 싫단 말이야!"라고 말하기도 한다. 또 나와 살아가는 방식이나 가치관이 다르다고 욕하기도 하는가 하면 친해지기를 거부하고 전혀 알고 싶어 하지도 않는다. 일상에서 이미 겪어 볼만큼 겪어 보아서 거부하거나 욕하기도 하지만 전혀 만난 적도 없음에도 언뜻 보여지는 것으로만 존재를 간주해버리고 더 알아지기를 거부하며 채널을 돌려 버린다. 싸이, 크라잉 넛, DJ DOC에게 내가 그랬다.
그런데 이들에게서 참 아름다운 공감의 속살을 보았다. 이제 다시는 알아지기를 거부하며 채널을 돌리지 않으리라. 이제는 그들이 부르는 노래를 들어주고 그들이 말하고 싶어 하는 것들을 들어 주리라. 인터뷰어를 통하여 편견을 깨부수고 다시 알아가는 사람들의 가슴이 참 아름답다. 그렇다, 사람만큼 흥미롭고 매혹적인 텍스트는 없다.
매혹적인 인터뷰어를 꿈꾼다면 텍스트로 김경을 인터뷰 해보면 어떨까?
김경이 인터뷰한 사람들은 작가에서부터 건축가, 정치가, 가수 등 직업도 다양하다. 22명의 사람들에게서 공통점이란 찾기 힘들다. 그럼에도 한사람 한사람의 대화를 읽어 나가다 보면 '이 여자는 인터뷰 후에 이 사람과 연애에 빠지지 않았을까?'란 속물스런 생각까지 들만큼 사람들과 밀착되어 이야기를 나누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인터뷰어도 사람이다. 그러다보니 자신의 생각에서 한 사람을 바라보고, 물어 볼 수 있는 질문도 자신의 시선이나 생각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런데 이 당돌한 인터뷰어는 그야말로 카멜레온이다. 저마다 사람에게 맞는 색깔로 착착 감겨들어 묻고 속내를 털어 보일 수밖에 없게 만든다. 아마도 대부분의 대화자들이 김경과 헤어지고 유쾌하게 "속았다!"라고 빙긋 웃을 것만 같다. 인터뷰어는 정작 이래야 하지 않을까?
사람에게 거리를 좁혀 달려드는 마음 씀씀이(?)도 보통이 아니다. 정치인 노무현에겐 마포의 허름한 대폿집에서 삼겹살에 소주와 함께 하자고 하고 제멋대로 꼴통 뮤지션인 싸이, DJ DOC에게는 "우리 놀아본 선수끼리 청담동에서 같이 한번 제대로 놀아보자"고 덤벼든다. 그리고 술 마시느라 바쁘다며 냉정하게 전화를 끊어버리며 인터뷰를 거절해버리는 주현에게는 과실주 한 박스 들고 찾아가 "만만한 후배와 술 한 잔 마신다고 생각하며"를 제안하여 그의 속내를 기어코 후벼 파낸다.
이렇게 김경은 천연덕스럽고 영악한 카멜레온이다. 인터뷰어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김경의 텍스트를 통하여 그 누구도 알려주지 않는 힌트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사람과의 거리를 좁히는 것부터 상대방이 눈치채지 못하도록 속내를 모두 털어내게 하는 것까지. 그리고 나서도 인터뷰이를 전혀 불쾌하지 않게 만드는 것까지 말이다.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매혹적이며 재밌다. 추천의 표현들이 딱 맞다.
'인터뷰!' 꼭 유명한 사람들에게만 적용되는 만남의 방법이랴. 우리들 평범한 사람들이 차 한 잔을 앞에 두고 나누는 이야기 자체가, 만남 자체가 인터뷰 아닐까?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우리는 누구나 또 다른 누군가에게 인터뷰어이다. 누군가의 가슴을 열고 그 속내를 듣고 함께 나누는 만남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김경은 생각보다 많은 것을 들려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