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아직 안 봤고 앞으로도 볼 일이 없을 듯한-왜냐하면 난 드라마를 거의 안 보므로-하얀 거탑의 원작자인 야마자키 도요코 책 한 권을 방에서 찾아 읽었다. 파파쿠라 도서관이 정기적으로 헌 책을 한 권 20쎈트, 여섯 권 1달러 팔 때 집어들고 온 책인데 야마자키 도요코의 본치다. 본치를 사전에서 찾아보니 오사까 사투리로 주인님, 도련님 뭐 그런 뜻인 거 같다. 쓰기는 60년대에 쓰여지고 80년대 초반에 영어로 번역된 소설이다. 작가의 초기 소설 가운데 하나라고 한다.

조사를 좀 해 보니 야마자키 도요코 여사는 신문기자 출신으로 현실감 넘치는 대중소설의 대가라고 한다. 벌써 여든이 넘은 고령인데도 아직도 글을 쓴다고 하며 작품들이 일본에선 많이 드라마나 영화로도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만큼 실력 있고 사물을 꿰뚫어 보는 솜씨가 좋은 작가라는 뜻이겠지. 대벌이라는 대하소설로 70년대말 80년대초부터 우리나라에 알려졌다 한다. 근데 대벌이 일본이름인지는 모르겠다. 야마오카 소하치의 도쿠가와 이에야스도 한국에선 대망이란 이름으로 첨 알려졌으니까 일본 진짜 이름은 대벌이 아닐지도 모른다.

본치는 오사까에서 타비-일본 전통 버선-만드는 준재벌 집안 독자로 태어난 키쿠지를 중심으로 그의 어머니인 세이와 할머니인 키노, 그리고 다 성격이 다른 키쿠지의 다섯 정부情婦들이 빚어내는 이야기다. 아내였던 히로코와 그 사이에서 얻은 아들 얘기랑 다섯 정부 가운데 이쿠코 사이에서 낳은 아들 이쿠로, 폰타 사이에서 낳은 아들 타로 얘기도 나오고 사업 동료들 얘기도 나온다.

남자보다 여자가 드센 집안의 원치 않는 독자 아들로 태어나 할머니와 어머니의 등살에 시달리며 자란 마마보이 키쿠지가 오사까 상인 가문의 전통을 받아들이라고 강요하는 할머니와 어머니에 대한 반항 겸 타고난 바람기에 대한 굴복으로 이 여자 저 여자 집적대며 삶의 단맛 쓴맛을 맛보다가 마지막엔 팔자를 받아들여서 할머니와 어머니가 바라던 오사까 상인이 돼 간다는 줄거리다.

약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비슷한 거 같다. 특히 끝맺음 부분이. 애쉴리와 레트와 사랑열병을 앓는 단계를 지난 스칼렛이 타라로 돌아가듯 2차 대전 막 끝나고 나서 무너진 집안을 다시 새우려고 키쿠지가 애쓰며 마음을 단단히 먹으려는 결심 때문인지 네 여자들에게 작별을 고하는 대목에서 끝난다.

뭐 크게 감동적이거나 하진 않았지만 1920년대 초에서 45년까지 오사까 지방 상인과 화류계 풍습과 일본 속담 같은 게 많이 소개돼서 그럭저럭 재밌게 읽었다. 작가의 다른 작품들은 어떨까 호기심을 갖게 하는 입문서로서 괜찮았다. 별점은 다섯 개 만점에 네 개 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심술 2007-12-15 2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끝부분에 키쿠지가 다섯 여인이 아니라 네 여인에게 작별하는 까닭은 이쿠코는 이쿠로를 낳은 지 얼마 안 돼 죽기 때문이다.
 

내부고발자. 영어로는 whistle-blower다.

호세 칸세코는 1988년 메이저리그 사상 최초로 40-40클럽(홈런-도루)을 작성, 아메리칸리그 MVP를 수상했다. 한 때는 호타준족의 상징이었다. 그런 그가 2005년 8월 미국 야구계를 발칵 뒤집어 놓는 책을 발간했다. '약물에 취해(Juiced)'였다. 칸세코는 책 발간에 앞서 이 해 2월 자신과 마크 맥과이어가 오클랜드 '배시 브라더스' 시절에 금지약물을 복용했고 엉덩이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았다고 털어 놓아 충격을 던졌다.

이 책이 발간됐을 때 반응은 한마디로 '동료들을 팔아 돈을 벌자는 속셈이다'고 폄하했다. 실제 그런 소지가 있었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칸세코는 메이저리그 16년 동안 통산 타율 0.266 홈런 462, 타점 1407개를 남겼다. 당시 ESPN 라디오의 '댄 패트릭 쇼'를 진행했던 댄 패트릭은 " 호세 칸세코가 만약 500호 홈런 이상을 때렸다면 이 책을 발간했을까 " 라며 순수성에 의문을 달았다.

500호 홈런은 그 때까지 만 해도 명예의 전당을 예약하는 보증수표였다. 금지약물복용이 드러나고 90년대와 현재를 '스테로이드 시대'로 구분지으면서 500호 홈런은 명함도 내밀지 못하는 실정이다. 예전 500호 이상 홈런을 때린 슬러거들은 전부 뉴욕 쿠파스타운 명예의 전당에 가입했다.

13일(현지시간) 금지약물 조사위원회(위원장 조지 미첼 전 상원의)이 발표한 '미첼 보고서'에는 전·현직 메이저리거 86명이 금지약물을 복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MVP를 7차례 수상한 타자 배리 본즈, 사영상을 7차례 받은 투수 로저 클레멘스의 이름이 나란히 포함되면서 현 메이저리그가 '스테로이드 시대' 한복판에 있음을 생생히 보여줬다.

패이 빈센트 전 커미셔너는 " 이번 약물 스캔들은 미국인들에게 1919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블랙삭스 도박스캔들보다 더 충격을 줬다 " 고 개탄했다.

선수들 면면을 보게 되면 그동안 칸세코가 주장한 것과 크게 다를 게 없었다. 메이저리그에서 내로라하는 선수들이 총망라 돼 있었다. AP는 금지약물복용자들로 올스타를 구성했을 정도로 메이저리그의 내로라하는 선수들이 포함됐다.

이쯤되면 칸세코를 동료나 팔아먹는 치사한 선수로 볼 수가 없다. 동기 자체는 불순했다고 할 수 있지만 그의 폭로로 메이저리그 스캔들을 만천하에 드러나게 한 원인제공자가 된 셈이다. 요즘 칸세코의 주가는 한껏 올라가고 있다. '미첼 보고서'가 발표된 이날도 CNN 래리 킹 라이브쇼에 출연해 약물 관련 인터뷰로 메이저리그의 추악함을 폭로했다.

돈벌이를 하려고 했다는 단순 고자질쟁이에서 이제는 Whistle-blower가 된 칸세코다.

삼성의 비자금을 폭로한 김용철 변호사. 조중동과 삼성에 매달려 있는 경제신문들은 처음부터 엉뚱한데 초점을 맞추며 김 변호사를 깎아 내렸다.

삼성의 법무팀에 몸담았던 김 변호사의 폭로도 애초에 순수성을 담보했다고는 볼 수 없다. 하지만 김 변호사가 천주교 정의구현 사제단에 안겨 삼성 비자금에서 촉발된 수많은 차명계좌, 내부 비밀등이 잇달아 폭로되면서 내부고발의 파괴력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현재 김 변호사는 외롭게 싸우고 있다. 김 변호사의 폭로는 거의 사실에 가깝다.
대한민국은 실제 '삼성공화국'이다. 정계, 재계, 법조계, 언론계 등 어느 부문이건 삼성의 힘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아는 사람은 다 안다.삼성의 로비는 대한민국을 흔든다. 그러나 불의와 싸우고 정의를 지켜야 할 위치에 있는 자들은 삼성의 당근에 익숙해졌고, 막강한 힘을 갖고 있는 공룡 삼성과 싸우려고 하지 않는다. 사회 전반이 '좋은 게 좋은 거다'로 만연돼 있다.

노무현 대통영 역시 국회에서 '삼성 특검법'이 발의됐을 때 사회정의 실현에 무게를 두지 않고 '대통령 흔들기'라고 깎아 내렸다. 물론 삼성 특검법이 '대통령 흔들기'를 겨냥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대의는 그게 아니잖는가.

그동안 대한민국에서 이른바 양심선언으로 터진 내부고발은 당시에는 전혀 힘을 얻지 못했다. 되짚어보라. 이문옥 감사관, 현준희 주사, 이지문 중위 등이 그렇다. 내부고발이 터지면 해당기관의 방해공작은 치졸하기 짝이 없다. 대부분의 신상과 관련된 헐뜯기로 맞서 내부고발의 동기를 불순하게 만든다. '성격이 문제가 있다' '동료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독불장군이다' '사생활이 복잡하다'등을 문제삼는다. 내부고발을 하고 불의와 싸우는 그들의 개인적인 물질적, 금전적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다. 생을 담보하는 고발이다.

약자에 강하고 강자에 약한 한국 언론은 목숨을 걸고 불의와 싸우려는 내부고발자의 편을 들지 않는다. 오히려, 정부, 지금은 삼성 편이다. 지엽말단적이고, 본질과는 전혀 다른 기사로 물타기를 해버리는 게 한국 언론의 추악한 몰골이다.

호세 칸세코와 김용철 변호사. 동기는 불순했지만 내부고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여전히 하고 있다. 칸세코는 또 하나의 책을 발간할 예정이다. 그의 발언에 무게가 실려 있다. 하지만 김용철 변호사는 여전히 외롭고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며 삼성과 검찰에 맞서고 있다. LA|문상열
http://sports.media.daum.net/nms/worldbaseball/news/general/view.do?cate=23790&type=&newsid=2424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또래, 참고로 나는 이른 78년생이다, 더하기 빼기 5,6년 범위 안 알라디너들 가운데 기동전사 건담을 추억하는 분들이 이따금 눈에 띈다. 근데 건담을 어떻게 보게 된 것인지 궁금해진다. 나는 명성만 듣고 아직까지 못 보고 있는데 이 분들은 언제쯤 건담을 만났을까? 내 기억으로는 한국 텔레비전에서 해 준 적은 없는 거 같은데. 비디오로 접했을 확률이 크긴 한데 우리 동네 비디오 가게에선 한 번도 못 봤는데. 철인 28호나 쿵후소녀 칭미는 나도 80년대말 90년대초 비디오로 봤는데 아무리 생각해 봐도 건담은 비디오가게에도 없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심술 2007-12-15 01: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철인 28호, 쿵후소년 칭미를 비롯한 텔레비전에서는 볼 수 없는 일본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게 해 준 회사 이름이 대영 팬더였다고 기억한다. 검색해 보니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오픈 유어 아이즈 (CD + DVD) - [초특가판], Movie & Classic, Claudio Monteverdi - Excerpts from Madrigali Libro Vlll B + Vlll A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감독, 페넬로페 크루즈 외 출연 / (주)다우리 엔터테인먼트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김기덕 감독의 봄,여름,가을,겨울 그리고 봄과 함께 내가 올해 본 영화 가운데 가장 독특하고 또 인상깊었다.
1)인간관계에서 외모와 돈이 갖는 힘이 얼마나 센지
2)삼각관계에서 우정이 설 자리가 있는지
3)짝사랑하는 사람의 질투가 얼마나 섬뜩할 수 있는지
4)냉동기술과 가상현실 같은 과학기술의 열매가 사람들에게 폐해를 줄 수 있는 건 아닌지
5)남들이 내 마음을 몰라줄 때 다시 말하면 말이 안 통하고 고립될 때 사람이 얼마나 미쳐버리는지
여러 가지 생각할 거리를 주는 좋은 영화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조기후 2007-12-22 19: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 저도 이 영화 아주 매우 굉장히; 좋아합니다. 떼시스도 디 아더스도 정말 열광하며 봤던 기억이 나네요.. 언제라도 다시 보고싶은 영화들입니다. 제 리뷰에 댓글 남겨주신 거 보고 몇번 슬쩍 들렀다가 오늘은 댓글도 남겨봅니다.^^:

심술 2007-12-23 14:36   좋아요 0 | URL
찾아주셔서 고맙습니다.
 
게이샤의 추억 (1disc) - [할인행사]
롭 마샬 감독, 양자경 외 출연 / 소니픽쳐스 / 2008년 2월
평점 :
품절


아써 골든의 원작소설을 03년 무렵인가 꽤 재밌게 읽었다.

영화는 어떨까 해서 디비디를 빌려 봤는데 대실망이다.

일본 사람인 사유리, 하쯔모모, 마메하를 모두 중국 배우들이 맡은 것도 거북했고 대사는 또 다 영어로 돼 있다.

뭔가 뒤죽박죽 엉망이 돼 버린 듯한 느낌.

앞서 말한 주요 등장인물 기생 셋 말고도 사유리의 또래 '호박'의 어린 시절을 연기한 배우도 너무 똘똘해 보여서 약간 둔하고 맹한 느낌을 줘야 하는 '호박' 역에는 안 맞았다고 본다.

공들여 만든 기모노옷과 쎄트도 내 눈엔 그냥 그랬다.

실망스런 관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