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할 때를 알아채는 것은 너무 힘들어
1
친구가 출근하고 비어 있는 방을 열고 들어가 토스터를 켰다. 식빵 네 쪽이 익는 동안 여행 에세이 몇 쪽을 읽었다. “대학교를 자퇴한 이후로 줄곧 여행과 밥벌이 사이를 오가며 1,000일 이상을 해외에서 떠돌았다”고 스스로를 소개하는 지은이는 지금도 늘 다 때려치우고 떠나고 싶다고. 게다가 이 호기로움이라니.
어떤 사람의 이루지 못한 꿈은 다른 사람의 꿈을 이루어준다고 한다. 삶과 여행을 일치시키고자 한 나의 꿈이 또다른 누군가의 꿈을 완성시켜 줄 것이라고 나는 믿는다. (7)
_ 박 로드리고 세희, 『나는 평생 여행하며 살고 싶다』
아삭거리는 식빵을 씹으며 생각했다. 나는 무엇이 무거워/무서워 이 자리에 목줄 매어 있는가를. 바싹 익은 부분이 맛있었다. 떠나기 위해 버리는 것과 버리기 위해 떠나는 것 사이에 발이 묶여 버리지도 가지도 못하고 나는 바스라지고 있는 것 같다. 바싹 익은 부분은 맛있지만 어쩔 수 없이 부스러기를 남긴다. 이곳에 남으면, 나는 부스러기 같다. 부스러기는 나 같다.
여행을 떠나 가장 서글퍼질 때는 저녁 무렵 공원 벤치에 앉아서 사람들이 집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지켜볼 때다. 그때 거울로 내 얼굴을 비춰 보면 유형지를 떠도는 죄수나 갈 데 없는 노숙자처럼 지치고 비참해 보였다. (...) 그럼에도 나는 여행에서 돌아오자마자 다시 다음 여행을 계획했다. 나는 대체 왜 그렇게 떠나고 싶어 했던 걸까?
_ 한수희, 『우리는 나선으로 걷는다』
2
방에 돌아와 차를 끓였다. 찻물이 다는 동안 종아리를 긁었는데 살펴보니 피가 난다. 같은 자리를 계속 긁었던지 이미 한 차례 앉은 딱지가 다시 떨어지고 있었다. 딸깍, 하고 포트 스위치가 내려갔다. 종아리를 오래 내려다보다가 한 번 만져주었다. 말을 걸었다. 미안해. 내가 그간 너무 신경을 못 썼지? 종아리가 대답했다. “종아리가 대답을 하겠냐?” 잉글리시 브렉퍼스트는 참 빨리, 그리고 예쁘게 우러난다. 한 모금 호로록 들이켜며 창밖을 내다보았다. 어제는 시원해서 참 달릴 만했는데 오늘은 어떠려나. 에어컨이 상쾌하게 날숨을 내뱉는다. 바나나 하나가 그 바람을 맞으며 거무튀튀해지는 중이다. 달리지 않으면, 나는 바나나 같다. 바나나는 나 같다.


삶은 목적 없이, 예측할 수 있는 규칙 없이, 그러나 경쾌하게 흘러간다. 우연과 기쁨은 사이가 좋다. 말과 침묵이 그렇듯이. 혹은 걷기와 절뚝거림처럼. 걷기, 살기, 말하기, 생각하기는 모두 하나다. 그러나 그 무엇도 직각이 아니고, 곧지도 않고, 고정된 것도 아니다. 그리고 그러는 편이 낫다. 우리가 춤추기 때문이다. 그렇다. 우리는 춤춘다. 이 최초의 괴리 때문에, 계속되는 어긋남 때문에 춤춘다.
_ 로제 폴 드루아, 『걷기, 철학자의 생각법』
걷기'도 태도이고 '요리하기'도 태도인 것이다. 어떤 사람을 말해주는 것은 결국 그 사람의 말과 행동이다. 어떤 말을 하고 어떤 행동을 하는지. 어떤 행동을 반복해서, 생각해서 하다보면 결국 하나의 태도, 삶에 임하는 태도가 되는 것이다. 땅을 밟는 것이, 길을 걸으며 들꽃을 꺾는 것이 좋은 사람은 많이 걸을 것이다. 많이 걷다 보면 걷는 것은 그가 삶을 살아가는 하나의 태도요, 방법론이 된다. 자동차는 조금 덜 타고 조금 더 걷는 삶, 두 다리를 써서 생각하는 삶. 그가 말한 실수하기, 신뢰하기, 실패하기...... 모두 같은 맥락이다. 성자의 숭고함도, 인생 선배의 귀띔도, 바르게 사는 사람의 도덕률도 아니다. 작업을 하며 살아가는 한 작가의 '태도들'인 것이다. 실수에 열려 있고, 믿음을 잃지 않고, 실패에서 배우는.
_ 박상미, 『나의 사적인 도시』
3
공간이 솔다보니 샤워를 하고 나면 잠깐 사이에 방에 습기가 찬다. 방문을 활짝 열어놓고 침대에 가부좌를 틀고 앉았다. 괜히 폼 잡아봤다. 눈 감고 속으로 반야심경도 왰다. 아제 아제 바라아제 하는데 속세에서 부른다. “저기요.” 슬며시 눈을 떴더니 복도에서 복스럽게 생긴 시주님께서 반쯤은 웃고 반쯤은 무서워하는 표정으로 내려다보고 있다. “말씀하시지요.” “제가 오늘 처음 들어와서요. 여기 복도에 있는 이 건조대, 주인 있는 건가요?” “(시주님, 주인이라니요. 색즉시공 공즉시색일진대 소유가 다 무슨 소용 있겠습니까, 라고 말하고 싶었지만) 전 잘 모르겠는데요. 어떤 건 주인이 있고 어떤 건 공용이지요.” “아, 그렇구나. 그 작은 선풍기는 어디서 사셨어요?” “(허허, 바람이 있건 없건 흔들리는 것은 오직 시주님의 마음이거늘, 굳이 바람을 사려 하시는구려, 라고 말할 수도 있었겠지만) 인터넷이요.” “아, 고맙습니다.” “별 말씀을요. (성불하시기를)”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syo는 불교학교 나왔습니다. 옴마니반메훔. 이러고 나니, 나는 궁예 같다. 궁예는 나 같다.


천진과 유머를 잃지 않으면 각자가 알맞은 형태로 살아갈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가 겪는 삶은 훼손을 통해 훼손될 수 없는 고유 영역이 내재함을 알려 주려 한다. 그러므로 천진과 유머를 잃어버릴 자격이 우리에게는 없다. 오늘도 햇빛이 알맞다. 알맞다는 '최소'의 적정함이 존재한다는 것. 그러므로 오늘은 심장을 유머러스하게 옮겨 보는 것. 인간이라는 생물이 사랑을 탄생시키는 최소의 방식.
_ 이원, 『최소의 발견』
듣기 싫었지만 어렸을 때부터 나는 '독특하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 이 말은 논리적이지 않다. 그것은 말하는 사람 입장이지, 내가 보기엔 그렇게 말하는 사람도 나랑 다른 독특한 사람이다. 즉, 누가 차이를 규정하느냐의 문제이지, 사람은 누구나 개별적이고 독특하다. 자신을 자명하게 일반, 보편, 정상의 범주로 생각하는 사람이 자신과 다른 타인을 '독특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_ 정희진, 『정희진처럼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