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가 구미를 당겨서. [우리에게 도착한 말] 이라고 한다.
내가 이런 걸 들여다본다고 해서 그들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진 않지만, 적어도 어떤 종류한 사소한 계기들이 무엇과 만나 화학반응을 일으켰을 때 큰 비극을 만들기도 했다더라는 것을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게 좋을 것 같다.
열 아홉이 된 이후 생일날만 되면 원치도 않은 타임리프를 해서 생뚱맞은 시간대의 인생을 살아야만 하는 주인공이 있다. 아는 사람도 없고, 이 나이의 인생에 대해 갖고 있는 정보도 아무것도 없는 주인공의 삶이 어떨지는 상상조차 되지 않는다. 제목 그대로 고장나버린 시간 속에서 우나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내가 20대때만 해도 디자이너란 직업 앞에는 반드시 수식어가 따라붙었다. 자동차 디자이너, 그래픽 디자이너, 편집 디자이너, 기타 등등. 세월이 지나니 이젠 디자이너의 영역분계선이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지더라. 디자이너는 이제 디자이너보다 크리에이터로 불리는 일이 더 흔해졌고 비전공자 크리에이터가 훨씬 더 많이 배출되는 세상이 되었다. 그럼 크리에이터가 대체 뭐 하는 사람이냐, 그게 궁금하다면 이런 책을 보면 되지 않을까?
상실의 고통과 후회를 끌어안고 사는 것이 곧 인생일까. 그 흔적들을 보듬는 글들을 읽는 것으로 어쩌면 후회를 덜할 일들을 계획할 수도 있겠다.
이 책의 테마를 한마디로 정리하면 미디어 리터러시인 듯하다. 참고로 내가 이 책의 소개글을 자세히 살펴보게 된 건 순전히 최근 읽었던, 공용 컴퓨터에서 로그아웃을 제대로 하지 않아 본인의 비밀을 동급생에게 털린 탓에 인생에 광풍이 휘몰아쳤던 한 소년의 이야기 때문이다.
솔직히, 내가 방점을 찍고 싶은 건 메타버스보다는 가상경제 쪽이지만.
맞다. 금리와 환율 공부 많이 해야 하더라. 금융업계에 관심이 많은 큰아이의 질문에 점점 대답을 못 하고 헤매는 엄마는 이제 그만두고 싶다. ㅠ.ㅠ
이것은 뇌 실용서인가요? 내용 살펴보다 대폭소.
그러니까 어쩐지 게을러터진 뇌를 빠릿빠릿하게 만드는 비법서... 처럼 보이는데... 음... 아직은 모르겠습니다. ㅎㅎ
그냥 추측이다. 굉장히 내밀한 사유이거나, 너무 몽상적인 관찰이거나. 좋아할 사람은 몹시 좋아하고, 싫어할 사람은 엄청나게 싫어할 것 같은 인상이 강하게 풍긴다.
요것도 아주 관심있게 보고 있는 시리즈.
살림경력 10+x년이지만 여전히 살림력 빵점의 아줌마. 도움받을 내용이 있을까 목차를 살펴보니 저보다는 혼자 생활을 막 꾸리기 시작한 살림초년병들에게 더 유용하겠어요.
'인문학'은 야망이 과하신 것 아닐까 지레짐작만 해보지만.... 아무튼 제목이야 그렇다치고 내용은 굉장히 재미있어 보입니다. 여기엔 사견 없...
일단 목차 한 번 봐보시길. 아이들 철학 입문서로 굉장히 적절해 보이는데요. 목차만 봐도 재미있음.
• 짤과 밈 : 네트워크의 예술 장르
(feat. 리처드 도킨스 - 이기적 유전자)
• 모에, 본체 없이 걷는 그림자
(feat. 장 보드리야르 - 시뮬라시옹)
예를 들면 저렇더라고요 ㅎㅎ 한때 소피의 세계가 철학 입문서일 때가 있었는데... 이게 도대체 언제적 얘기?
이토록 세상을 아름답게 바라보는 우리 시대의 위대한 과학자의 자녀교육의 결실이랄까. 그가 딸에게 가르친 것이 무엇이 되어 남았는지 이렇게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하기 짝이 없는 집청소의 과정... 만 있다면 그냥 그런가보다 하겠지만, 끄트머리에 멋진 한 방이 기다리고 있을 듯. 청소에 관한 한 끝내주는 펀치라인이 들어가 있는 그림책이 또 있지만, 절판인 관계로... -_-;
교육의 틀과 관점을 잡고 많이들 흔들고 있는(물론 흔들거나 부수어야 할 필요는 있지만) 요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잊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책.
올가는 키오스크에서 일한다. 키오스크는 올가의 세상 전부다. 올가는 그럭저럭, 괜찮게 지낸다. 어느 날 올가의 세상이 뒤집히는 일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이제 올가는 어떻게 할까?
이 시리즈에 관심이 많다. 타겟 독자층을 보면 너무 어렵지 않을 것 같고, 최신 연구 동향도 많이 반영되어 있어 보이고, 무엇보다 미래지향적인 실용적 기술과 학문적 이론을 잘 접목한 책처럼 보인다(뚜껑은 열어봐야 알지만)
다시 나온 건지 예전에 번역이 나왔었던 건지 분간은 잘 안 가는데, 아무튼 루이스 새커니까!
내가 우치다 햣켄의 이 어려운 이름을 머릿속에 새겨넣는데 일조한 작가는 교토명랑작가 모리미 도미히코다. 그의 에세이에서 읽었던가 인터뷰에서 봤던가 여하간, 그는 우치다 햣켄을 어지간히도 좋아한다는 게 머릿속에 남아 있다. 이름 한 번 어렵네, 그러면서 머릿속에 밀어넣고는 수 년간 잊고 있었던 이름인데 신간목록에서 보고 순식간에 기억 소환.
시대 변화에 맞게 새롭게 옷을 입은 (그것도 무려 리베카 솔닛이...) 신데렐라 이야기. 드라마도 영화도 리메이크하는 판국에 옛이야기라고 비껴갈 수 없는거죠.
+
한 번은 말씀드려야 할 것 같아서,
매번 쏟아지는 신간 중에서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에서 고른 책들만 추려두고 후에 다시 검토해 볼 생각으로 만들기 시작한 리스트인데 어쩐지 가끔 이걸 제가 다 '사서 읽어보고 간단한 평을 쓰는 것'으로 오해하는 분들이 계십니다(처음에는 제가 오버센스했나 했는데 비슷한 뉘앙스로 물어보시는 분들이 가끔 계셔서 식겁했습니다). 절대 아니고요, 뭣보다도 제가 무슨 엄청난 감각이 있는 사람이 아닌 관계로 여기에 올려두고 구입해 봤다가 기대 이하였던 책들도 없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그냥 뭐 이런 책들을 좋게 보는 사람도 있구나 정도로 여겨 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