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가 마음에 남고 머리에 남았을 땐 분명히 이유가 있다. 딱 한 군데의 접점에서만 만나고 잊혀지기에는 파고든 흔적이 생각보다 깊게 남았던 것들, 그냥 그런 게 있었지, 왜그랬는지는 모르겠어도 그 책이(영화가) 한참 잊혀지지가 않았어. 그렇게 말하고 덮어두었다가 또 어느날 문득 다른 뭔가를 끄집어낼때 딸려 나온 그것을 보고 "아 맞아 이거 그 때 참 인상깊었었는데" 말하고 또 한참 잊어버리고... 그런 일들을 많이 하지 않을까, 나도 그렇고 다른 사람들도. 이 책에도 (바로 그 순간 그 일에 대해 생각하고 이유를 밝혀내거나 감정을 표현하고 정리해야 할 일들에 대해 게으름을 부리는...) 정확히 그런 습성을 짚어낸 대목이 나온다. 


"송우영, 들었지? 잘했다잖아. 네가 꾸물거리다가 편지 줄 타이밍을 놓쳤어 봐. 분명히 너는 다락 깊숙한 곳에다 편지를 넣어 뒀을 거야. 그러곤 시대에 뒤떨어진 뇌를 달고 있는 덕분에, 금방 잊어버렸겠지? 한 10년쯤 지나고 다락 정리를 하다가 편지를 발견하고는 "어, 이게 뭐지? 어머니가 쓴 편지네?" 하고 열어 보면서 펑펑 울 거야. 그러곤 또 넣어 두겠지, 다락 깊숙한 곳에다가. 그때쯤이면 더욱더 시대에 뒤떨어진 뇌가 되어 있을 테니까. 10년 후에 또 그러고, 10년 후에 또 그러고... 그러다가 끝나는 거야. 내가 몇 번이나 말했어. 감정이나 편지는 다락에 넣어 두는 게 아니야. 무조건 표현하고 전달해야 해. 아무리 표현하려고 애써도 30퍼센트밖에 전달 못 한다니까. 아, 내가 말이 너무 많죠, 미안, 차연 씨."


불과 며칠 전에 인용문으로 한 번 썼던 대목인데 그만큼 확 치고 들어오는 말이어서.

나의 뒤떨어진 뇌는... 글쎄, 아마도 내가 이런 책을 읽었었던가? 이 책의 어디가 그렇게 좋았어서 여기다 베껴적어놓기까지 했던거지? 이러다가 결국 또 까먹어버리고, 까먹어버리고... 그럴 게 뻔하다. 지금까지 그래왔고, 이런 식으로라도 적어놓지 않으면 분명히 또 까먹을 거다. 그러니까 이것은 내 식의 책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인 것이다. 어떤 책과 만날 때, 사람마다 그 책과 만나는 부분은 다 다르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리뷰를 읽어보면 즐겁기도 하고, 가끔은 뒤통수가 얼얼해진다. 내가 몰랐던 길로 걸어가 그 책을 만났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어보면 완전히 새로운 눈으로 그 책을 보게 된다. 백 사람이 읽었으면 백 가지의 길이 생겨나는 것이 아닐까 그렇게 혼자 공상한다. 


엉겅퀴 가시 같은 게 토도도독 뻗어나와 손바닥을 찔러대기도 하고 손바닥이 튀어나와 냅다 머리통을 후려갈기기도 한다. 혹은 그냥 하드커버로 둘러싸인 종이묶음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 같은 한 권의 책이 몽실몽실한 털뭉치처럼 뭉글거리며 무릎에 오래 머물러 있기도 한다. 물론 그냥 망상에 지나지 않지만 그래도 책이라는 게 어떤 감각을 강하게 환기시킬 때면 조금 충격을 받는다. 그저 텍스트인데 그냥 문자열은 아니구나. 작가들은 다 천재같다.


이 책의 뭐가 그렇게 기억에 오래 머무르게 했는지는 한참 나중에 알았다. 나만 그랬는지 몰라도 이 책을 보다가 굉장히 유명한 어떤 책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작가도 생각했을 것 같다. 분명히 소재면에서의 유사성을 마음에 두지 않을 수 없었을 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난이라든가 비아냥(안 좋은 쪽으로만 생각했나)... 이런 것들이 분명히 튀어나올 수도 있다는 것을 감수하고서도 '유사한 재료를 썼을지언정 맛은 다르다'라는 확신을 갖고 써내려갈 수 있는 마음, 스스로에 대한 믿음. 그럴 수 있는 저력. 마음 속에 갖고 있는 어떤 뿌리, 끈기, 바탕, 인내심, 힘, 뭐라고 부르든, 그런 것들의 근원을 어떻게 만들었을까. 

내가 하고 있는 일들이 항상 좋은 말만 들을 수 있는 일이 아니라도 그냥 계속할 수 있는 힘. 지금 그런 게 필요해서 그런가, 


김중혁 작가에게 계속 쓰게 하는 원동력은 뭘까... 그냥 좋다, 하고 싶다, 좋아하고 잘 하는 일이라서... 이런 거 말고, 어떤 사람들은 어떻게 그것을 견디고 참아내서 결국 무엇을 해내고야 마는 걸까. 잘 안 되는 것 같고, 뭘 해도 안 풀리는 것 같고, 다 집어치우고 싶을 때 말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사실 안다. 그 어떤 순간에도 그냥, 계속한다는 것. 될 때에도 안 될 때에도 그저 계속하는 것밖에는 답이 없다는 것. 


하루가 열리고 닫히는 걸 멍하니 바라보면서 제3자마냥 관조하고 있는 순간을 갑자기 제대로 바라보는 순간 발 밑에서 뚫리는 구멍, 그런 것들이 던져오는 흐리멍덩한 회색의 감정들. 항상 뭔가를 하고 있지만 동시에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다는 우울감. 그런 무의미해 보이는 시간 속에서 심지어 그 무의미한 일상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어쨌거나 시간을 쪼개 빠듯하게 일상을 유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있어야 한다는 사실, 이게 앞뒤가 맞는 말이기는 한 건가 제대로 한 번 생각해 보지도 않고 일단 자판을 쳐서 머릿속을 비워내야 좀 살 것 같다는 기분이 드는 지금이 어쩐지 다락에 쑤셔넣는대신 감정을 쏟아내고 있구나... 라는 기분이 드는데 이게 뭔가, 도대체 나는 무슨 말이 하고 싶었던 건가 전혀 모르겠지만 장맛비속에 양팔을 펄럭이면서 신나게 비 맞은 기분이어서 일단은 좀 상쾌하다. 


덧. 물론 이것도 별로 감정을 '잘' 쏟아내는 방식이라고는 못 하겠지만 그래도 덜 유해한 방식이지 싶다. 남에게 피해가 안 가는 방식으로 감정을 표현하고, 간혹 뱉어내고, 토해내는 방법도... 잘 가르치고 잘 배우면, 좀 낫지 않을까? 뭐가 나은 거냐고 묻는다면... 그냥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일들에 좀 힘이 덜 든다는 뜻으로 낫다고 하고 싶다.


덧2. 그리고 또 생각난건데, 

우주에서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고 그러더라).

그런데도 이일영은 계속해서 말한다.

우주에서 소리가 들리지 않는데도 송우영과 강차연과 세미(성이 기억 안난다)는 어머니의 편지를 읽은 소리를 우주로 날려 보내기로 한다. 아마도 이 소리들은 만날 수 없을 것이고 그들도 그 사실을 이미 알고 있을 것이지만, 그래도 그 마음을 그대로 행동에 옮긴다. 실제로는 무의미한 행위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믿으며 실행에 옮기는 인간의, 대부분의 우리의 마음이란 도대체 어떤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ust Because (Hardcover) - 『왜냐면 말이지...』원서
맥 바넷 / Candlewick Pr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 글 작가인 맥 바넷이 이런 적이 있지 않았을까요

자라고 몇 번을 얘기했어도 아이는 잘 생각을 않고 아빠 이건 왜 그래? 저건 왜 그래? 왜 때문인데? 라고 지치지도 않고 질문공세를 퍼부어대서, 그건 원래 그냥 그런 거라고! 원래 그런거야!! 라고 고함치듯 대답한 적이, 아마도 있었을 것 같은데요(그런데 이 사람이 아빠가 맞긴 한가...?)... 그래서 현실에는 도무지 존재할 것 같지가 않은, 이런 시적으로 아름다운 대답을 하는 자상한(비현실적인) 아빠의 모습을 미화해서 보여주고 싶었던 건 아닐까... 아, 내가 그때 이렇게 말해줬어야 했는데, 하고요. 


귀여워라 

감동받았어 

기발끝판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디의 우산 - 황정은 연작소설
황정은 지음 / 창비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름만 알던 작가. 잊고 있는 것들 굳이 생각하고 싶지 않은 것들은 다시 끄집어내 디밀어놓는 사람. 찌르고 파고드는 글. 때로 집요해서 놔달라고 말하고 싶어지는 문장. 그래도 생각나서 또 뒤돌아보게 만드는 무엇. 시간이 흐른 뒤 이 작가의 내면에서 더 익어갈 것이 무엇일지 궁금해지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삭히지도썩히지도말고' 라고 꼬리표를 달았지만 이제와서 보니 원래 하려던 말은 '못본척하지말고버리지말고썩히지말고' 쯤 됐었다. 감정은 어느 정도... 삭히는 게 맞는 것 같다. 삭히는 게 싫으면 조금 익혀도, 가공해도 좋을 것 같다. 다만 너무 날 것 그대로는 조금 지양하는 편이 낫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은 어른이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 적어내려간 이야기가 좋다. 책의 끄트머리에서 밝혔듯, 글쓴이가 어른으로서의 자기 생각을 전달하려고 하기보다 아이들이 자기 생각을 말하는 동시에 다른 사람의 생각을 듣는 연습을 하는 기회를 마련해주려고 애쓴 것이 읽힌다.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고 또 거기서 피드백을 얻어 자신을 성장시키는 동력을 가진 사람들. 

이런 이야기가 많이 모이고 많이 읽혔으면 정말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