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보슬비 > 히틀러가 그린 그림

그림들을 히틀러가 그렸다고 합니다

따스한 어머니의 품에 포근히 안겨있는 어린 예수의 모습. 과연 누가 그렸을까. 놀랍게도 이 그림을 그린 사람은 ‘2차 세계대전’을 야기한 독재자 ‘히틀러’다. 수 백 만 명의 유태인을 가스실에서 죽게 한 장본인인 그가 이런 그림을 그렸다고 누가 상상이나 할 수 있을는지.

히틀러는 역사책에서, 소설책에서, 그리고 만화책에서 전쟁을 일으킨 독재자로 설명되는 인물이다. 그러나 히틀러에 대한 기록을 자세히 살펴 보면 과거 히틀러가 화가가 되고자 해서 그림을 그렸고, 미대에 입학하려고 했던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전쟁광 독재자가 어린시절 화가를 꿈꾸었다니. 묘하고 또 아이러니한 느낌이다.

그렇다면 히틀러는 어떤 그림을 그렸을까?

히틀러가 그린 그림과 자료들은 심심찮게 인터넷상에 올라오곤 한다. 그림들을 살펴보면 히틀러가 수 백 만 명을 죽게 했던 ‘전쟁의 주범’이라는 느낌을 전혀 받지 못할 정도로 아름답고 서정적이다. 전문가들이 보는 그림의 가치는 다를 수 있으나 보통 사람들이 보기에는 전쟁의 광기에 사로잡힌 독재자와 아름다움을 붓으로 옮기고자 했던 화가와의 두 성격이 전혀 다른 것처럼 보인다.

히틀러가 그린 풍경화에는 주로, 멀리 보이는 아름다운 호수나 중세풍의 고성들이 등장한다. 풍경화 속에서는 전쟁의 광풍 속에 섰다가 자살로 마감한 악마의 느낌은 전혀 나지 않는다. 물론 보는 이에 따라 느껴지는 이미지는 조금 다를 수 있다.

네이버 블로거 ‘수플’님은 히틀러의 그림을 두고 “데생력은 있지만, 표현력은 좀 빈약하고. 음울하면서도 깊이는 부족한 그림이다.”라는 평을 내렸다. 또, ‘리리’님은 “그림 속에서 왠지 모를 어두운 악의 기운을 느껴지는 건 선입견 때문일까요.” 라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히틀러의 그림에 대한 평가는 엇갈려도, 모든 네티즌들이 히틀러에 대해 한가지로 입을 모으는 것이 있다. 바로, “히틀러가 젊은 시절 오스트리아에서 화가로 살았다면 아마 세상은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라는 점이다.
참고로, 히틀러는 1907년 빈 미술대학에 두 번이나 응시했지만 실패하고, 병상에 누운 어머니를 위해 화가의 길을 버린다. 대신 가족의 생계를 떠맡게 된다. 이렇게 해서 히틀러는 ‘전쟁광 독재자’의 길로 한발짝 다가서게 된다.



위의 '히틀러 그림'들은 이미 책이나 히틀러 전기를 통하여 알려진 것들이지만,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에 오르면서 네티즌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는 그림이 전하는 서정적 메세지와 나치 마크를 단 호전적 모습의 히틀러가 전혀 다른 인물로 보이기 때문인 듯 싶다. 어쩌면 히틀러의 서정적인 그림은 감방 창살에 앉아 '아침 햇살을 받는 비둘기의 아름다운 모습'을 본 사형수의 눈물 같은 것이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히틀러에 대한 책들은 서적으로 출판된것이 많다. 히틀러평전(요아힘 페스트 저), 안나마리아 지그문트의 '영혼을 저당잡힌 히틀러의 여인들(안나 마리아 지그문트 저 )', 히틀러의 정신분석( 월터 랑거 저) 등에서는 청년시절의 화가가 되고자 했던 히틀러의 고뇌를 엿볼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보슬비 > 황규백(黃圭伯)



황규백(黃圭伯) 1932 부산 출생 1968 파리의 에콜 드 루불, S. W. 헤이타 17 공방에서 수학 문 / 1998 / 32.5 x 27.5 두 지붕 / 1991 / 22.5x20 다리 / 1990 / 22.5x20 손 / 1990 / 22.5x20 꽃들 / 1991 / 22.5x20 종이, 꽃, 돌 / 1988 / 27.5x33.5 장미 / 1988 / 17.5x27.5 달과 꽃 / 1988 / 32.5x30 발레 / 1988 / 27.5x34 새와 코스모스 / 1988 / 27.4x34 나무와 양귀비 / 1988 / 22.5x20 찻잔과 바이올린 / 1988 / 30x32.5 모자 / 1988 / 22.5x20 편지 / 1988 / 22.5x20 나무와 네개의 의자 / 1988 / 32.5x30 담 / 1988 / 32.5x30 연주회 / 1988 / 27.5x34 음료수 / 1989 / 22.5x20 수박 / 1989 / 33.5x27.5 두개의 의자 / 1989 / 22.5x20 일기예보-N / 1978 / 34x30 잔디위에 / 1977 / 33x27 작은천막 / 1976 / 33x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보슬비 > Mark Fletcher의 작품

마크 플레쳐의 멋진 작품들


MARK FLETCHER, C.S.P.W.C., is an artist whose paintings tell us stories: stories learned through living in various communities across Canada while he was growing up. This diversity of background is reflected in the scenes he paints.

P align=center>



Ed"s Grannary





Moratorium Chairs





Summer Colours in the West





Old Boats in the Tidal Pool





Apple Cider





Rose Bush in Calf Feeder





Apples From Nova Scotia





The Flowers in the Old Calf





Model For Prairie Sailor





English Town Morning





Fin De Rue





Breeze Up





Granary Reflected





Ed"s Granary





Island & Iceberg





lslan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보슬비 > 이석주

이석주
1953 서울 출생
1976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1981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현재 동국대 교수.숙명여대 회화과 교수인 이석주씨는 정치한 묘사와

추상적 표현을 함께 화폭에 담은 [서정적 풍경]등을 선보이고 있다.

2회 아시아비엔날레 금상, 8회 선미술상 수상작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보슬비 > M. C. Escher의 세계


    
    
    에셔 (Maurtis Cornelis Escher 1896 ~ 1972)
    
    
    네덜란드의 판화가. 
    
    수학과 논리학의 난제를 다룬 독특한 작품 세계로 유명하다. 
    그는 교묘한 수학적 계산에 따라 작품 활동을 했는데 특히 
    '이상한 고리 (뫼비우스의 띠)는그가 가장 좋아하는 주제였다.
    
    미국의 인지과학자 호프스테터(D. Hofstadter)는 인간 지성의 
    한계를 다룬 "괴델, 에셔, 바흐"라는 책에서 에셔의 "이상한 고리" 
    괴델의 '불완전성의 정리', 바흐의 '무한히 상승하는 카논'을 묶어 
    "영원한 황금실"이라 불렀다.
    
    
            ....    진중권의 '미학오딧세이' 중 발췌..
    
    
    
    
    
    
    Eight Heads, 1922
    
    
    
    
    
    
    St. Peter, Rome, 1935
    
    
    
    
    
    
    Reptiles, 1943
    
    
    
    
    
    Eye, 1946
    
    
    
    
    
    Drawing Hands, 1948
    
    
    
    
    
    Relativity, 1953
    
    
    
    
    
    Liberation, 1955
    
    
    
    
    
    
    Bond Of Union, 1956
    
    
    
    
    
    Belvedere, 1958
    
    
    
    
    
    
    Circle Limit IV (Heaven And Hell), 1960
    
    
    
    
    
    Waterfall, 19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