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일]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제7일
위화 지음, 문현선 옮김 / 푸른숲 / 2013년 8월
평점 :
죽음 그 이후의 시간을 상상해 본 적이 있다. 아주 어렸을 때와 최근. 옛날동화에서 단골소재로 쓰이는 저승 이야기는 어린 나로 하여금 어떤 모습이 저승의 진짜 모습일까를 상상하게 했고, 여기 저기 읽은 것을 한데 모아 나름의 그림을 그려보기도 하였던 기억이 있다. 그때는 호기심 반, 두려움 반의 감정으로 저승을 생각했었는데, 엄마 말을 잘 듣는 착한 사람은 나중에 저승에 가서도 천국으로 배정받아 선녀들과 함께 행복하게 지낼 수 있을 거라며 강조하던 엄마의 모습이 떠오른다. 나는 천국에 가기 위해 그 때부터 엄마 말에 무조건 충성하는 착하디 착한 딸이 되었다. 지금은 다른 의미에서 착한 딸이 된 나는 이제 ‘저승’하면 시끄러운 이승과 달리 조용하고 홀가분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최근 2-3년 사이에 할머니,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셨다. 살아있다는 것과 죽었다는 것이 종이 한 장 차이임을 그때 깨달았다. 또한 죽음 이후에는 서러움도 미움도 슬픔도 그 어떤 감정도 소용없다는 것을 알았다. 오히려 죽음 이후에는 소용돌이치는 감정들을 포함한 모든 것을 내려놓기에 어쩌면 편안할 수도 있겠구나, 혹은 공허할 수도 있겠구나 생각했었다. ‘죽음 그 이후의 이야기’를 그렸다는 <제 7일>을 목전에 두고 떠올려 보았던 생각들이다.
그렇다. 이 작품은 죽음 그 이후, 이승과 저승 사이에서의 7일을 시간적,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해 두고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러나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이런 배경이 이 소설의 모든 것을 말해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즉, 이 소설은 죽음 그 이후의 시간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작가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하나의 효과적인 장치를 한 셈이라 생각한다. 이런 배경 설정으로 인해 이 작품은 마치 ‘꿈 길을 걷는 듯한’ 효과를 내고 있다. 또한 이승에서 있었던 모든 일들을 한 발자국 떨어져 지난 이야기로 듣기에 ‘너그러움’을 가질 수도 있었다.
그렇다면 이 작품에서 그려내고자 한 바는 무엇일까. 크게 두 가지라 보는데, 그 첫 번째는 사랑이 아닐까 한다. 작가는 여러 형태의 사랑에 대해 그려내고 있는데, 뚜렷하게 기억에 남는 사랑은 연인에 대한 사랑, 부모자식간의 사랑이었다.
양페이는 자신을 버리고 다른 남자를 선택한 리칭을 평생 가슴에 품고 사랑해 왔다. 리칭 또한 양페이를 사랑하면서도 자신의 야망 때문에 다른 남자를 선택해야만 했다. 서로를 진심으로 사랑하면서도 떠날 수 밖에 없어서, 또는 보낼 수 밖에 없어서 눈물로 헤어졌던 그들은 죽음 이후에 재회하고, 또 한 번 사랑을 나눈다. 그러나 또 다시 헤어짐을 맞이한다.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던 삶의 방식의 차이로 인해.
또 하나 기억에 남는 사랑은 양페이와 양페이 아버지 양진바오의 이야기, 즉 부모와 자식간의 사랑이었다. 개인적으로 이 이야기가 <제 7일>의 가장 큰 줄거리가 아닐까 생각하는데,그만큼 작가가 공을 들여 쓴 것이 느껴졌다. 평범하지 않은 탄생으로 부모를 잃고 힘든 삶을 살 뻔 했던 양페이는 양진바오를 만나면서 행복하고 따뜻한 유년시절을 보내게 된다. 양페이를 위해 자신의 결혼까지 포기하며 양페이의 아버지로서의 삶을 선택했던 양진바오, 그는 마지막 순간까지도 자신의 아들 양페이를 위해 희생하는 삶을 산다.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 그 깊은 이야기로 작가는 끝없는 감동을 끌어내고 있었다.
‘사랑’이라는 감동적인 큰 줄기로 작품을 이어가는 가운데, 작가는 곳곳에서 중국 내부의 문제점에 대해 고발하고 있었다. 우습지만 결코 웃을 수 없는 상황으로.
사고로 죽음을 맞은 양페이는 빈의관(화장터)으로 오라는 메시지를 받는다. 빈의관에 도착한 그는 죽음도 권력따라 대우 받는 ‘쓴 웃음’이 나오는 상황과 직면한다. 쓴 웃음이 나오는 부분은 이뿐만이 아니다. 정부의 강제 철거 피해자들이 ‘불알’을 내 놓으라며 시위하는가 하면, 아이폰 4s 짝퉁을 선물받고 자살하는 이의 이야기가 등장하기도 한다. 모두 현실의 한 단면들이다. 그래서 이런 어이없는 상황에도 웃을 수 없다.
이런 현실의 썩어빠진 모습을 정면으로 그려낸 것은 ‘영아 시체를 의료 쓰레기’로 치부하며 처리하는 의료 종사자들의 모습이 그려진 장면이었다. 너무도 당연하다는 태도로 나름의 논리를 세워가며 말하는 이들의 모습에 구토가 일만큼, 리얼하고 세밀하게 그려내고 있었다.
역시 위화 라는 말이 나올 만큼 이 작품은 수작이었다. 책을 덮은 후에도 긴 여운이 남는 이 작품은 감동과 생각거리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작가의 솜씨가 돋보이는 다시 보고 싶은 책이었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