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섯째 아이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
도리스 레싱 지음, 정덕애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한 권을 읽고, 반드시 리뷰를 작성하고 다음 책으로 넘어가기로 규칙을 만들었었다.
다음 책으로 넘어 가지도 못하고 며칠을 대강 보낸 느낌이다. 리뷰쓰기가 난감하지만, 나름대로 정리를 해 본다.
아이에 대한 순수한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제목과 달리 내용은 조금 공포스럽다. 공포영화는 질색인데 공포영화를 책으로 본 느낌이다.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부부에게 다섯째 아이는 가장 불행한 가정의 씨앗이였다. 다섯째 아이로 인해 행복한 가정은 파탄나고 만다. 그렇다면, 다섯째 아이는 무슨 죄란 말인가?
사람은 본디 악하게 태어났고, 그 악한 심성을 잘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 순자의 주장이였던가? 그게 성악설이였나? 기억이 가물가물 한다. 암튼, 악한 심성을 잘 다스려 순연한 쪽으로 다스려야한다는 취지의 이야기도 아니다. 다섯째 아이는 악마가 사람의 탈을 쓰고 나온 것으로 이미 정해 놓은 듯하다. 아니, 엄마 뱃속에서부터 이미 악마였다. 인간의 사랑으론 극복할 수 없는 그 무엇, 바로 유전적으로 다섯째 아이는 그렇게 태어났다는 것이다. 맥빠지는 부분이다. 극복될 수 없는 아이의 운명.
아이의 엄마인 해리엇은 - 자신들이 더 나은 삶을 살고자 항상 노력하는 것에 대해 신이 내린 형벌일까 - 라고 반문한다. 역시 맥빠지는 부분이다.
이 책에서 명쾌한 해답을 찾기란 힘들다. 오히려 작자인 '도리스 레싱'를 이해하는 것이 답을 찾는 길일 듯하다. 작품 해설부분를 옮기며 리뷰를 마무리 한다.
186 인간에게는 미개적 집단 행동으로 역행하려하는 끊임없는 충동이 있어 인간이란 종족의 생존을 위협하는데, 레싱은 대중 운동과 집단 감정에 대처하기 위해서 우리는 집단 행동이 진화되어 나온 과정을 이해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본다. 작가란 관찰하고 검토하는 그 습관 때문에 이러한 집단의 감정으로 부터 자신을 분리시키기가 용이하며 이런 독립적인 시각을 유지하는 작가군이 형성될 때 사회는 올바른 생존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작가가 들쳐보이는 우리의 관습적 생각은 안이하여 그러한 작가가 보여주는 현실은 악몽과 같이 두려운 것이다. 레싱에게 주어진 <카산드라> 또는 <원시 종족사회에 있었던 주술적 마녀>라는 칭호가 참으로 적절한 것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