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기능의 차이
기술인 연대의 이승호 중앙위원의 글중에서.......
------------------
武谷三男(다께히로 까즈)
기술(技術)의 본질은 '생산적 실천에 있어서 객관적 법칙성의 의식적 적용'이고, 그것을 물질화하고 대상화한 것이 기술의 모든 형태이다. 이에 비하여 기능(技能)은, '생산적 실천에 있어서 주관적 법칙성의 의식적 적용'이라고 말한다. 이상의 규정에서 밝혀졌듯이 기술과 기능의 차이는 기술이 객관적 법칙성의 적용인 것에 비하여 기능은 주관적 법칙성의 적용이라는 점이다. 여기에서 객관적이라든가 주관적이라는 것은 '기술은 객관적인 것이고 따라서 조직적 사회적인 것으로서 지식의 형태로 개인에서 개인에게로 전승할 수 있는 것'이지만, '기능은 주관적 심리적 개인적인 것이어서 숙련에 의하여 획득되는 것이다'라는 의미이다.
다음으로, 기술에 대하여 '객관적 법칙성'이라고 하여 '자연 법칙성'이라고 말하지 않는 것은 기능도 기술과 똑같이 자연 법칙성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능에 대하여는 주관적 법칙성이라는 말을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면, 금속 가공에서 끌을 사용하여 절단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가공품의 생산 목적에 따라 끌의 종류 구조 기능과 재료와의 관계, 끌을 잡는 모양과 가공재에 대는 방법, 망치를 잡는 방법, 망치로 끌을 치는 방법 등에 일정한 자연의 법칙이 있다. 다시 말하면 절단 작업이라는 실천은 일종의 자연의 법칙성에 따라 행해지고 자연의 법칙성이 이 실천을 보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법칙성에는 객관적 법칙성과 주관적 법칙성이 있다. 예를 들면, 이런 종류 구조 기능의 끌을 선정하고, 그것을 이렇게 쥐고, 가공재에 이러한 각도로 대어, .망치는 이렇게 잡고, 힘을 어떻게 가하여 망치를 이렇게 두드린다고 하는 것처럼 누구에게도 객관적으로 인식시키고 전하여 이해시킬 수 있는 법칙성이 있다. 이것을 '객관적 법칙성'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작업의 바른 방법은 그 일체가 반드시 남김없이 지식으로서 설명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거기에는 역시, 지식으로서 설명되지 않는 숨겨진 법칙성이 있다. 예를 들면, 끌이나 망치를 쥘 때 손의 촉감, 끌의 머리를 망치로 바르게 칠 때 손의 촉감 등 육체로 느끼지는 숨겨진 법칙성이 있다. 이러한 법칙성은 경험적 반복 훈련으로 쌓아올려서 개인 행위 속에서 파악될 수 있는 것이고 타인에게 객관적 지식으로 전할 수 없다. 그것은 그 개인만의 '주관적 법칙성'이다.
그런데 어떤 기능은 동일 작업에서만이 그 힘을 발휘하는 것이고, 작업의 장면이 전혀 새로운 것으로 되면 그 기능은 역할을 못하게 되는 수가 있다. 새로운 작업 조건에의 적응에는 기술의 힘에 의존해야 한다. 그러나 또한, '기능'은 '기술'로 끝내 파악되지 않은 감추어진 법칙성을 감각적으로 파악하여 생산적 실천 행위를 질서 있게 통일적으로 하여가는 점에서 기술을 보충하고 있다. 기능의 습득이 충분하지 않으면 생산적 실천은 원활히 행해지지 않는다. 이처럼 기술과 기능은 서로 다른 것을 매개로 하여 비로소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생산적 실천에 있어서는 일정한 기능과 일정한 기술이 존재하여 그 생산적 실천이 실현되는 것이다. 그 위에 이 '기능'과 '기술'은, 항상 주관적 개인적 기능이 객관화되어 '기술'로 바뀌어 가며, 그 새로운 기술에는 또 새로운 '기능'이 필요해지고, 이 기능이 다시 기술로 전환되어 발전해 간다고 하는 변증법적 관계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