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단비다 > 나의 숨어있는 책 방


나는 창덕궁의 나무들이 보이는 작은 방에 삽니다.

붉은 꽈리나무 가지가 걸린 창문 아래 작은 책상이 있고


그 곳에 나는 책을 읽습니다.


창문 너머 친구가 부르면 책을 던지고 나가서 놀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동키가 소개하는 장화신은 고양이'라는 제목으로 씨네 21에 실린 기사다.

어쩜 요리도 재미나게 썼을꼬. 책을 읽어도 영화를 봐도 '재밌다'  '감동적이다' 라는 말 이상

표현을 못 하는 내 표현력, 화법이 ㅠㅠ

표현이 아주 재밌는 글 또는 삶에서 건져올린 진솔한 글을 쓰고 싶다.

http://www.cine21.co.kr/kisa/sec-002500501/2004/06/040624132652032.html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ooninara 2004-06-24 2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재미있네요(이런 표현밖에 못하는 제가 미워요..)
 

*<작은것이 아름답다> 2004년 6월호에 실은 글 

어우러짐에 대한 기억

어쩌면 그보다 더 어렸을 때에도 '함께 하니 참 좋구나'하고 느꼈던 때가 있었는지 모르지만, 어우러짐에 대한 내 최초의 기억은 대학 1학년 때 갔던 춤 전수다. 1학년 겨울방학에 나는 마당극을 하는 동아리 사람들과 함께 경남 고성으로 춤 전수를 갔었다. 전수회관에는 다른 대학 동아리도 여러 팀이 와서 일주일 동안 함께 고성오광대 춤을 배웠다.


강습 시간엔 사부님한테 더 잘 배우기 위해 자리 경쟁도 하고, 어느 동아리에 누가 더 잘 하는지 곁눈질로 보며 질투도 했다. 그리고 연습할 때나 밥 지어먹을 때 동아리 사람들끼리 모여서 하느라 끼리끼리 경계를 세우기도 했다. 하지만 며칠 지나지 않아 서로 얼굴 익히고 말 한마디 건네기 시작하면 경계는 슬그머니 허물어졌다. 누가 더 춤을 잘 추느냐보다는 춤을 배우러 왔다는 '같은' 마음에 누구하고나 쉽게 친하게 됐다.


전수 마지막 날엔 그동안 배운 춤으로 각 동아리마다 공연을 올렸다. 다른 동아리 공연을 보며 웃고 박수 치고 격려하다가도 어느 팀이 더 잘하나 또 경쟁하고… 모든 팀의 공연이 끝나면 모두 둥글게 서서 기본무를 추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었다. 일주일을 함께 지낸 사람들이 일제히 같은 춤을 추는 모습, 수십 명의 사람들이 지금 이 순간 저마다 자신의 춤에 빠져 한 덩어리로 움직이는 모습은 아주 황홀했다. 그때 나는 사람들이 어떤 경계도 없이 함께 어우러지는 모습에 짜릿함을 느꼈다.


그 짜릿한 어우러짐은 동아리 사람들과는 함께 한 많은 일들에서 다시 느낄 수 있었다. 마당극을 만드느라 함께 밤을 새면서, 공연을 올리고 관객들과 동아리 사람들과 뒷풀이를 하면서, 여름에 여러 동아리가 모여 농활을 준비하면서 우리는 함께 어우러졌다. 농활 마지막 날 지역주민들과 잔치를 벌이는 자리도 어우러짐의 묘한 흥겨움이 사람들을 취하게 만들었다. 어느 여름 연극학교에 갔을 때도 처음 만난 사람들과 연극을 배우고 놀면서 또 어우러짐에 푹 빠져 일주일을 보냈다.


그렇게 나는, 춤 전수에서 처음 느꼈던 그 자연스럽고 신명나는 어우러짐을 사람들과 함께 하는 시간에 다시 느끼고 느끼며 좋아했던 것 같다. 어쩌면 그 순간이 그리워 계속 찾아다닌 건 아닐까? 저마다 흥이 나서 머리가 아닌 몸으로 함께 있음을 느끼는 순간, 사람들 사이의 경계가 허물어져 어우러지는 순간을 말이다. 시간이 흘러도 마음 한편에 또렷이 남아 빛나는 참 아름다운 시간이다.


그래서일까? 함께 어우러졌던 사람들은 아주 오랜만에 연락이 닿아도 어색하지 않다. 이 글에 쓸 사진을 찾으려고 동아리 사람 몇에게 아주 오랜만에 연락을 해봤다. 전화기 저편의 반가운 목소리들. 안부를 묻고 소식을 전하며 서로의 마음이 잠시 닿았는데 행복하다. 어우러진 기억과 함께 내 인생에 든든한 지원군 같은 사람들. 각자 자기 자리에서 또 아름답게 어우러져 있겠지? 다시 만나면 또 한판 신나게 어우러져요, 우리!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kongal 2004-06-24 15: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시 어우러진다는 것. 함께한다는 것...
그건 사람이 서로 사랑하며 살아가며 나눌 수 있는 것임을 이글을 읽으며 드는생각이네요..^^
나눔....
어릴적 누군가 내게 주던 사랑...선물들.... 주는것을 덥석 받기만을 고집했었는데
언젠가부터
내가 무언가를 누구에게 줄 수 있을 때 가장 행복하기 시작했습니다...
진정한 나눔의 기쁨을 알아가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지난 월요일, 전에 한 번 글을 실었던 잡지사에서 짧은 글을 써달라는 전화를 했다.

함께 해서 좋은 것에 대해 A4 반 장 분량의 글을 써달라고.

전화를 받았을 때 떠오르는 장면이 하나 있었고 지난 주 내내 그것을 품어 글로 뱉어내려고 종종거렸다.

마음 속에 각인된 그 장면은 명확해서 글을 시작했는데 결론 부분이 참 안 맺어져서 애를 먹었다.

기자를 꿈꾸고 글쓰기에 대해 막연히 동경했었는데 글쓰는 일을 조금 현실적으로 보게 됐다.

생각이 무르익지 않아 설익은 밥 같은 글을 보내고 휴~ 한숨을 쉬었다.

느낌대로 생각대로 글이 잘 풀리지 않을 땐 참 힘들지만 그래도 글쓰기는 매력적인 일이다.

이번에 쓴 글은 <작은 것이 아름답다> 다음달 호에 실린다.

<작아>는 생각이 맞아 올해부터 구독하는 잡지인데 내 글이 실리게 될 줄이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chim2 2004-06-21 1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하네 친구..^^

이누아 2004-06-21 2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원고 청탁을 받으시는구요. 어떤 글인지 궁금하면 잡지를 구독해야만 하는 건가요? 이곳에서 볼 수는 없나요?
 

이름을 새로 짓고, 여름이라 산뜻하게 집 지붕도 바꿨다.  좋군~

나는 사수자리다.

사수자리는 호기심이 많아 새로운 것을 좋아하고 돌아다니는 것도 좋아한다. 방랑운이 있다.

나는 호기심이 많은 건 맞는데, 호기심을 드러내는 것을 꺼려했다.

그래서 저건 왜 그렇지, 저 사람은 왜 그렇게 생각하지 하며 물음표는 많은데

막상 내 호기심을 드러내고 물어보려는 순간엔 주저하곤 한다.

 

사수자리 운을 타고 났으데 스스로 그걸 누르고 있으니 답답한 때가 많다.

이제 나를 자꾸 사수자리라고 불러서 내 타고난 기운을 펼쳐줘야겠다.

두려워하지 말고 세상과 만나자, 사수자리 Sun

행복의 물음표들을 혼자 속으로만 던지지 말고 밖으로 던지고 나눠보자.

올해 3월에 별자리점을 보러 갔었던 카페 <13층>에서

궁금하던 것들을 이것 저것 물으며 많은 얘기를 듣고 나를 이해하게 되어 좋았다.

그 날의 기분을 자주 떠올리며 자신감을 가지자!

까페 <13층 >  http://www.13thfloor.co.kr/myastro.php?idx=9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누아 2004-06-04 19: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음표 떼고 사수자리로 간판도 바꾸시고, 31번째 리뷰도 쓰시고...부지런한 나날을 보내시는군요. 앞으로도 기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