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김초엽 지음 / 허블 / 2019년 6월
평점 :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에서 <관내분실>을 처음 접했을 때, 좀 읽다 말았다. 별다른 이유는 없었다. 대상과 가작을 동시에 받은 김초엽 작가가 대체 누굴까 궁금했지만, 마인드 도서관이란 소재가, 한국 과학소설에 대한 오랜 편견을 깰 만큼 호기심을 자극하진 않았다.
김초엽 작품을 제대로 읽은 건 단편들을 묶은 단행본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 나온 뒤다. 가장 먼저 <관내분실>에 재도전했다. 읽고 나서야 알았다. 그의 작품은 지금까지 내가 막연히 생각했던 한국 SF가 아니라는 걸. 물론 마인드 업로딩이나 데이터 인덱스 같은 정보기술이 작품에서 중요한 뼈대인 건 맞지만, 이런 기술적 요소를 빼더라도 이야기 자체의 완성도와 재미가 돋보였다.
‘모성’을 둘러싼 어머니와 딸의 갈등이 마인드 도서관을 매개로 해소되는 과정이 담긴 <관내분실>부터, 냉동수면기술과 우주행성간 이동 기술의 획기적 변화로 생이별한 가족이란 방대한 이야기를 우주정거장이란 작은 무대 위에 올린 듯한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손에 잡히는 감정’ 상품화가 불러온 사회 현상을 ‘우울·엽기·발랄’ 버전으로 묘사한 <감정의 물성>까지 읽고 나서 마음이 따뜻해졌다.
김초엽의 작품은 일부러 소설에 과학기술을 입혔다기보다는, 과학기술이 발달한 가까운 미래나 이상한 세계에서 보내온 소설을 읽는 느낌이었다.
한국인 최초 우주비행사 이소연씨의 빛과 그림자가 떠오르는 <나의 영웅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다. 우주 저편으로 보내기 위해 인간을 사이보그처럼 개조하는 과학기술이 이야기 뼈대지만, 그 안에는 백인 남성 중심 사회에서 아시아계 여성이 겪는 편견, 영웅 만들기에 가려진 진실 등 지금도 충분히 벌어질 법한 이야기들이다.
개인적으로 과학소설과 판타지소설 경계를 오가는 듯한 작품을 좋아한다. 색채 언어를 사용하며 ‘환생’을 거듭하는 외계생명체와 인간이 소통하는 과정을 (이 책 표지 같은) 한 폭의 수채화로 그린 <스펙트럼>과, 애니메이션 영화 ‘인사이드 아웃’처럼 외계 생명체의 존재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접근한 <공생 가설>이 대표적이다.
특히 판타지 소설에서 튀어나온 듯 마을 공동체에 숨은 비밀을 파헤치자 유전자 편집 기술이 바꾼 미래 사회상이 드러나는 <순례자들을 왜 돌아오지 않는가>는 모험소설처럼 흥미진진하다.
어릴 적 외계생명체를 통해 본 외계 행성의 모습을 잊지 않고 그림으로 남긴 <공생 가설> 의 주인공 류드밀라처럼, 김초엽 작가도 이상한 나라에서 보고 들은 이야기를 오늘날 우리에게 전하고 있는 건 아닐까.
*별빛처럼
"의미는 맥락 속에서 부여된다. 하지만 때로 어떤 사람들에게는 의미가 담긴 눈물이 아니라 단지 눈물 그 자체가 필요한 것 같기도 하다." - P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