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들의 전쟁 (하)
닐 게이먼 지음, 장용준 옮김 / 황금가지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닐 게이먼 판타지의 매력은 친근함이다. 굳이 먼 미래나 가상 세계를 창조하지 않고 현실 세계와 판타지 세계를 자유자재로 넘나든다. '스타더스트'가 평범한 현실 세계와 월 너머의 마법 세계, '네버웨어'가 런던 지상세계와 지하세계를 넘나들었다면, '신들의 전쟁'은 미국에 동화된 과거의 신들과 그 내면에 깃든 신화세계를 넘나든다. 

과거 이주민을 통해 신대륙에 건너왔지만 이제 인류에게조차 잊혀진 과거의 신들. 믿음과 숭배를 잃은 그들은 미국 곳곳에서 평범한 인간의 삶을 살고 있다. 그들 앞에 웬즈데이(오딘)가 나타나 새로운 신들, TV 인터넷 신용카드 등등과 맞서 '전쟁'을 벌여야 한다고 독려하고, 우리 평범한 주인공 섀도가 그 신들의 싸움에 끼어들게 되면서 이야기는 흥미진진하게 전개된다.  

이젠 숭배받지 못하는 옛 신화 속의 신과 현대인의 숭배를 받는 물신(物神)의 전쟁. 왠지 환상적이고 웅장한 분위기가 느껴지지만 소설 속 싸움은 지극히 현실적이다. 마피아 같은 갱단들의 피의 대결에 가까울 정도다.  

웬즈데이에게 고용된 섀도는 새로운 신들의 '추파'를 피해가며 다양한 신들을 만난다. 그들을 통해 신과 종교의 의미는 무엇인지, 믿음이 사라진 신들의 삶이 얼마나 초라할 수 있는지, 속속들이 보여준다.

중간중간 '막간'을 이용한 신들의 신대륙 이주사도 색다른 읽을거리다. 오랜 항해 끝에 인디언과 조우한 바이킹 이야기, 유럽에서 죄를 짓고 팔려온 여자 죄수, 아프리카 노예선을 타고 온 주술사... 언뜻 줄거리와 동떨어져 보이지만, 신의 존재와 믿음(숭배)의 가치라는 전체 흐름에 이어진다.   

영화로 제작된다면 로드무비에 가까울 정도로 낯선 이방인의 눈에 비친 미국 대륙의 일상 모습을 함께 지켜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닐 게이먼이 영국인이었기에 그냥 지나치지 않았을 미국인의 일상이 보다 현실감있게 다가온다.   

                                                                                          *별빛처럼

 2009.3.14-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