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사상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른셋 무라카미 하루키는 아테네에서 첫 풀코스를 달렸고 난 서울에서 다섯번째 풀코스를 달렸다
 

표지에 나온 무라카미 하루키의 뒷모습은 전형적인 마라토너다. 크지않은 키에 근육질이 아닌 비교적 마른 체형, 가는 발목에 탄탄한 다리. 42.195km를 달리는 데 아주 경제적인 몸매다.  

사실 그처럼 가벼운 걷기와 조깅으로 시작해 5km, 10km, 하프, 풀을 끊고 울트라마라톤이나 트라이애슬론까지 도전하는 과정은 '마스터스'라 불리는 아마추어 마라토너들에겐 거의 통과의례에 가깝다. 하지만 환갑이 되도록 25년 넘게 매년 풀코스 완주에 성공한 이라면 이 바닥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다. 꾸준함이 미덕인 마라톤에선 세계신기록 제조기인 게브르셀라시에 못지않게 귀한 존재인 셈이다.  

세계적인 작가 반열에 오른 그가 마라토너란 사실은 솔직히 이 책을 보고 처음 알았다. 10여년 전 <상실의 시대(노르웨이의 숲)>을 읽은 뒤 한때 무라카미 소설에 빠진 적도 있지만 그동안 내게 있어선 '과거'일 뿐이었다. 그런 그가 다시 내게 다가왔다. 소설도 아닌 달리기 이야기로. 

사실 이 책 역시 내가 마라토너가 아니였다면 쉽게 접하지 못했을 것이다. 공교롭게도 나 역시 무라카미 하루키와 비슷한 나이(33세)에 달리기를 시작해 지난 3년 동안 풀코스 5번을 완주했다. 기록도 3시간 30분대인 한창 때 그에겐 못 미치지만 '서브4'는 어렵게 달성했다. 

이 책은 그의 달리기 인생에 관한 글이자, 글쓰기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나는 소설 쓰는 방법의 많은 것을 매일 아침 길위를 달리면서 배워왔다"는 4장 제목이 이를 압축한다. 전혀 비교할 게 못되지만 역시 '글쓰는' 직업을 가진 사람으로서, 달림이로서 이 책을 보는 감회는 남다르다. 바로 '공감'이다.  

왜 그렇게 힘들게, 때론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까지 달리냐고 묻는 이들에게 그는 이렇게 말한다. 

"주어진 개개인의 한계 속에서 조금이라도 효과적으로 연소시켜 가는 일,  그것이 달리기의 본질이며, 그것은 또 사는 것의(그리고 나에게 있어서는 글쓰는 것의) 메타포이기도 한 것이다"(128쪽)

그가 말했듯 글쓰는 데 필요한 재능도, 꾸준한 성실함도 갖추지 못한 나 같은 이들에게 마라톤은 이처럼 달리는 것 이상의 많은 가르침을 준다.  

사실 내가 이책을 읽기 전 난 6개월 가까이 달리기를 중단한 상태였다. 하루키처럼 '러너스 블루' 같은 거창한 이유도 아니다. 지난해 3월 동아마라톤에서 최고기록 달성 이후 목표 잃은 기러기처럼 달리기를 조금씩 일상에서 밀어내고 있었다. 

물론 갖다댈 핑계는 많다. 이사온 뒤로 마땅히 뛸만한 조깅코스도 없고, 매주 일요일 훈련하는 한강과의 거리가 2배는 멀어졌다. 하지만 핑계는 핑계일 뿐. 덕분에 그간 몸무게는 3kg 늘었고, 얼마전 자전거 타고 언덕을 오른 뒤 하늘이 노래지고 숨이 막힐듯한 빈혈증세까지 다시 찾아왔다. 

이래선 안되겠다 싶었다. 마침 이 책을 접했다. 그리고 오늘 다시 조깅을 시작했다. 
주어진 한계 속에서 조금이라도 나를 효과적으로 연소시키기 위해...

                                                                      *별빛처럼

2009.3.2-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