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차
미야베 미유키 지음, 박영난 옮김 / 시아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신용카드 무서운 줄 모르는 사람이라면 이 소설을 읽어라? 그렇다. 미야베 미유키 대표작 '화차'는 신용사회의 덫을 다루고 있다. 미스터리이자 범죄물치곤 독특한 소재다. 적어도 이 책이 나온 1992년 일본사회를 놓고 보면.  

하지만 10년하고도 7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 신용카드 문제는 신선한 소재가 아니다. 사채, 카드빚, 은행대출 등 부동산거품과 더불어 한국에도 광풍으로 몰아쳤고 무수한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17년 전 일본의 한 소설가의 경고가 무색하게도 카드 빚과 그로인한 범죄는 우리 사회에 한 일상으로 자리잡았다. 빚에 떠밀린 일가족 자살 소식은 낯설지 않고 모든 흉악범죄의 이면에도 카드 빚이나 사채가 도사리고 있다.

그럼에도 이 소설이 던지는 메시지는 여전히 유효하다. 시대를 초월에 인간 내면에 도사린 원초적인 욕망. 그것이 카드빚으로 구현되든, 흉악범죄로 표출되든, 그 원천적인 원인인 인간의 내면, 그리고 이를 부추기는 물신 사회에 있기 때문이다. 

좀더 최근작인 '모방범'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수많은 주변인물이 등장하지만 피해자와 가해자의 삶을 집중적으로 파헤치면서 그들 내면으로 접근해 간다. 모방범처럼 뚜렷이 정해진 답은 없다. 혼마 슌스케가 추리해 나가는 그 자체가 하나의 실마리일뿐이다. 여기에 피해자도 가해자도 아무런 대답이 없다. 이것이 이 소설의 매력인 듯도 하다.  

세상 일에 정답이 있을까? 용산 철거민 참사 같은 미스터리가 여전한 지금. 우리는 살아있는 진실에 최대한 접근하려 노력할 뿐, 그 정확한 정답을 유추하긴 어렵다. 단지 피해자와 가해자를 가르는 것만으로 해결되는 사건이 아니기 때문이다. 

17년 전 카드빚으로 인한 범죄처럼 2009년 1월 한국에 부동산과 개발독재 광풍에 쓰려져가는 민초들의 끔찍한 삶만이 남아있는지도 모른다.

                                                                                 *별빛처럼

2009.1.12-15 은평구립도서관 대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