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푸름을 닮은 야생동물 - 한국의 야생동물, 그 모든 이야기
유병호 지음 / 다른세상 / 2000년 10월
평점 :
품절


동식물 가이드북 중에서도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편에 속하는 이 책은 제목이 부적절한 것이 최대의 단점인 듯하다. 제목을 보나 부제를 보나 야생동물 전반 혹은 한국의 야생동물에 대한 막연한 해설서처럼만 느껴지게 지어놨으니 말이다. 책을 만들 때 제목 정하는 것은 거의 출판사 고위층의 고유권한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순전히 출판사 책임이다.

애매모호하기 짝이 없는 제목으로 위장한 이 책의 정체는 한국의 포유류 중 물짐승(기각목(물개, 물범 등)과 고래목)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에 대한 상당히 잘 씌어진 해설서다. 어찌 보면 인간에게 가장 친숙한 것이 포유류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인해 이를 제대로 다룬 책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데, 이 책이 바로 그 중 한 권이다. 여기에다가 '어쩌구 야생동물 저쩌구'라는 제목을 붙여놨으니... 새나 물고기도 다 야생동물인 줄은 초등학교 저학년생도 안다.

위에서 말한 사정들이란 이렇다. 우선 어느 나라가 됐건 포유류의 종 숫자는 그렇게 많지 않다. 조류, 심지어 곤충이나 식물과는 아예 비교도 되지 않는다. 한국의 경우 기각목과 고래목을 다 합쳐도 102종이라고 한다. 그나마 이 적은 종의 상당수는 이미 멸종되었거나 멸종위기종 신세로 몰리고 말았고, 나머지도 그다지 쉽게 관찰할 수가 없다. 워낙 인간을 피해다니기 때문이다.(이는 순전히 인간이 그들을 살육해온 탓이다.) 산과 들을 어지간히 쏘다녀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것이라고는 다람쥐와 청설모, 운이 좋아야 토끼와 고라니 정도에 그친다. 그리고 개체수가 적지 않은 나머지 종의 상당수는 사람들이 별로 반가와하지 않는 것들이다(쥐 종류와 박쥐 종류 등).

이렇다보니 가장 사람에게 친숙할 법한 포유류야말로 사람이 가장 관찰하기 어려운 대상이 되어버렸고, 그 결과 사람들의 관심이 줄어들고, 그에 따라 관련 서적을 찾아보기도 어렵고, 다시 그 결과 포유류에 대한 엉뚱한 오해만 무성하게 되어 더더욱 보호를 못 받고 멸종위기로 몰리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야외에서 늑대를 만나면 죽은 목숨이다, 멧돼지는 사람만 보면 돌진해온다, 박쥐는 사람을 물며 병을 옮긴다 등등.

그래서 이 책이 더욱 소중하다. 터무니없는 오해를 풀고 불쌍하기 짝이 없는 형편에 처해있는 이 땅 포유류들의 진실을 이만큼 쉽고 친절한 본문과 적당한 분량으로 전해주는 책도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분량의 대다수는 각각의 종에 대한 해설에 바치는 한편 한국의 포유류 전반에 대한 설명 및 그 가치, 보전방안 등이 앞뒤로 곁들여져있는 구성이며, 적지 않은 분량의 사진들도 올컬러로 수록되어있다. 각각의 종에 대한 해설도 지루하고 딱딱한 전공서적 분위기가 아니라 충분히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배려되어있다. 생물학적 특성, 서식현황, 그들에 얽힌 옛이야기, 발자국 모양, 그리고 관련속담 모음까지. 그야말로 중학생 이상의 누구에게나 추천할 만하다.

제목 외에 한두 가지 결점이라면 기각목 및 고래목이 제외되어있는 것과 책의 성격상 편집도 한눈에 들어오는 도감식이 아니라 서술식이라는 것 정도지만, 이 정도야 충분히 양해되는 부분일 것이다. 이런 결점들을 완벽하게 보완해주고 있는 포유류 도감([한국의 포유동물], 동방미디어)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니 전공자나 보다 깊이있는 정보를 원하는 독자들은 그 책을 추가로 구입하면 될 것이다. 가격이나 내용 등 모든 면에서 대다수의 일반인에게는 이 책을 먼저 권하고자 한다. 나온지 6년이 되도록 1쇄도 다 안 팔린 모양이지만, 이대로 묻히기에는 너무 아까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나무 백가지
이유미 지음 / 현암사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유미 박사의 해박한 지식과 담백한 글솜씨는 익히 정평이 나있지만, 그 중에서도 나무를 다룬 이 책과 풀꽃을 다룬 [한국의 야생화]는 백미가 아닐까 한다. 동식물에 대한 해설서라면 자칫 딱딱하고 지루해지기 쉽건만, 어쩌면 이렇게도 자분자분 흥미로우면서도 알찬지 읽다가 감탄을 할 지경이다. '백 가지' 시리즈 중에서도 일부는 그저 도감의 설명글처럼 지리한 것도 없지 않은데, 그런 책의 저자들이야말로 이 책을 보고 배워야 한다. 나무의 모양과 생육특성 등 생물학적 지식과 유사종 구분법(분류학) 정도야 이 분야의 전문가라면 누구나 열거할 수 있을 것이다. 거기서 한참을 더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장점이다.

각각의 나무에 얽힌 옛이야기, 지금은 어떤 쓰임새가 있는지(조경용으로는 좋은지, 목재는 어떤지, 식용이나 약용으로는 또 어떤지), 외국에서는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어떻게 심고 가꾸면 되는지 등 일반인부터 관련분야 종사자까지 누구라도 귀담아듣지 않을 수 없는 이야기들이 하나가득하다. 이 좋은 내용들이 단정한 문체와 풍부한 생태적 감수성으로 자아내어져 있고, 더구나 풍부한 컬러사진 자료까지 첨부되어있으니 이보다 더 좋기도 참 어렵지 않을까 싶다.(구판은 사진과 본문이 따로 놀고 사진의 양도 부족했는데, 2005년 개정판이 나오면서 이 부분은 말끔히 개선이 되었다.)

정말이지 우리가 나무에 대해서 알기는 좀 알아야 한다. 당장에 목재를 사용하고 열매를 따먹으며, 가로수가 없는 도시와 숲이 없는 산은 상상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수많은 혜택을 받고 있음에도 많은 사람들은 플라타너스를 보고 느티나무라고 하고 전나무가 침엽수인지도 모르는 형편이다. 어디에서도 가르쳐주지 않았으니 그럴 수밖에 없는 일인데, 그렇다면 이런 책을 하나 사서 두고 가끔씩 들여다보면 될 일이다. 100가지 나무를 각각 해설한 것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야 하는 부담도 전혀 없다. 생각날 때마다 그때그때 필요한 부분을 펴보면 된다. 유일한 흠이라면 100가지'밖에' 안 다루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더불어 [한국의 야생화]도 쌍수를 들고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탐조여행 - 주남의 새 - 21세기 가족 레포츠 Bird Guide
최종수 지음, 이우신 감수 / 현암사 / 200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탐조여행에 대한 책도 되지 못했고, 주남저수지의 새에 대한 책도 되지 못했고, 물론 조류도감도 되지 못한 어정쩡한 책이다. 도감이 아닌 책이 도감을 대신하기는 어렵다. 양서파충류처럼 종류가 얼마 되지 않는 것도 아니므로 애초에 도감의 구실은 포기하고 들어갈 수밖에 없다. 대신 탐조여행과 주남저수지에 대해 훨씬 상세한 이야기들이 들어갔어야 했다. 하지만 탐조에 대한 기초상식이 고작 몇 쪽, 주남저수지에 대한 지극히 간략한 소개가 또 몇 쪽, 그리고는 주남저수지에서 볼 수 있는 새들에 국한된 조류도감이 대부분의 분량이다.

과연 탐조에 대해 쓸 이야기가, 주남저수지에 대해 할 이야기가 이것밖에 없었을까? 멀쩡한 조류도감이 여러 권 나와있을텐데 굳이 일부만을 반복할 이유가 있었을까? 애초부터 기획을 잘못 하고 들어간 책이라고밖에는 생각할 수 없다. 어느 쪽도 만족시키지 못한 이상한 모양새가 되고 말았다. 탐조여행에 관한 책으로는 [그곳에 가면 새가 있다](동양문고), 조류도감이라면 [한국의 새](LG상록재단), 새들에 관한 이야기로는 원병오 박사의 [날아라 새들아]나 [새들이 사는 세상은 아름답다] 등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곤충 백가지
김진일 글, 이원규 사진 / 현암사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아마도 이 책의 최대결함은 나비와 개미들을 쏙 빼놓았다는 점일 것이다. 저자는 서문에서 "다른 책들이 이미 많이 나와있어서"라고 이유를 밝혔지만, 그냥 다른 책이 아니라 같은 출판사의 같은 시리즈물로 이미 나온 것이 있어서라고 이해하는 편이 정확할 것 같다.

이것은 이점도 되고 단점이 될 수도 있다. [~우리 나비 백 가지]까지 다 사면 장장 200종의 곤충에 대한 해설서가 마련되는 셈이니 말이다. 곤충의 생태에 관한 해설서는 여러 가지가 나와있지만 200종씩이나 다룬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신 싸지도 않은 책을 두 권 사야 한다는 점이 걸릴 수도 있다. 그렇다면 이 시리즈물보다는 김정환씨의 책들([곤충의 사생활 엿보기]와 [토박이 곤충기])을 알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듯하다.

이 문제를 제외한다면 훌륭한 책이다. 도감과는 전혀 다른 맥락에서 갖가지 곤충들의 생태, 습성 등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쉽고도 흥미있게 잘 서술해주고 있다.([~우리 나비 백 가지]도 마찬가지다.) 인간과는 워낙 다른 생물체다보니 이네들의 살림살이 이야기를 하나하나 알아가는 것만도 흥미로운 일이며, 그러다보면 발 밑에 꿈틀거리는 작은 생물체 하나도 소홀히 할 것이 없다는 소중한 깨달음에 이를 수도 있을 일이다. 추천할 만하다.(단, 어린이용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색 한국거미도감
김주필 지음 / 아카데미서적 / 2002년 1월
평점 :
품절


아마도 이 출판사에서 '원색 ~ 도감' 시리즈를 내다보니 제목이 이렇게 붙은 모양이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전혀 원색이 아닌 책이다. 요즘 동식물도감이라면 사진으로 실었든 세밀화로 실었든 당연히 올컬러로 된 것을 기대하기 마련이다. 하물며 제목에 '원색'이라고 되어있으니 그렇게 믿고 주문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속는 셈이 된다. 컬러사진은 책 맨앞부분에 고작 몇 페이지가 나올 뿐이며, 나머지 본문은 모두 올흑백이다. 더구나 그림조차 제대로 묘사된 것이 아니어서 과연 도감으로서의 기본구실을 해낼 수 있을지 심히 의문이다.

저자는 거미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져있고, 글의 내용 자체는 일반적인 도감의 그것을 충족시키고 있다. 하지만 도감을 출판할려면 출판사는 제대로 된 생태사진가로부터 사진을 얻어다 쓰던지, 그것이 여의치 않다면 세밀화 작가에게라도 의뢰를 했어야 했다. 그렇게 하자니 돈이 너무 많이 들어 안되겠다면 책을 내지 말아야 옳다. 도감으로서의 기본이 결여된 책이라고밖에 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