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서재 활동을 활발하게 한 지 올해가 3년째인가.
예전에는 알라딘에 서재라는 공간이 있는지도, 이렇게 활발하게 운영되는지도 잘 몰랐다. 그런데, 서재 활동을 좀 하다보니 몇 가지 루틴이랄까 특정한 패턴이 보인다. 어떤 책이 한꺼번에 리뷰나 페이퍼에 등장하는 일이 잦을 때가 있다. 클릭해서 읽어보면 사람들이 좋아하는 작가의 신간이라 리뷰가 쏟아지는 경우도 많지만 그 책을 출판사로부터 증정받고 리뷰를 올려야 하는 기간의 마감일이 다가왔거나, 이따금 열리는 리뷰 대회 마감일이 가까워져서 그런 경우도 많았다.
또 한 가지는 알라디너의 선택에 올라가는 글은 보통 글의 '질'과는 아무런 상관없이, '신간'을 소개했을 때가 많은 것 같다. 나조차도 그다지 잘 쓰지 않은, 아니 글이라고 부르고 싶지도 않은데, 그저 단순히 신간을 언급했다는 이유로 알라디너의 선택에 올라간 적이 몇 번 있다. 예를 들어 레이 브래드버리 <멜랑콜리의 묘약> 책 표지 구리다고 쓴 글이나, <수용소군도세트> 관련 글 같은 것들 말이다. '알라디너'가 아니라 '알라딘'의 선택인 것이다.
아주 최근에도 바쇼의 하이쿠가 좋다고 글을 썼는데, 그 글이 알라디너의 선택으로 올라가면서는 리처드 플래너건의 <먼 북으로 가는 좁은 길> 표지가 대표 이미지로 올라가서 읭? 뭔 짓이야! 생각했던 일도 있다. 주객전도된 느낌이었달까. 아마 그 책이 요즘 밀어주는 신간이라서 그랬으리라.
<먼 북으로 가는 좁은 길>은 예스24에서 리뷰 대회를 하고 있다. 맨부커상 수상작인데다가 리뷰 대회도 있어서 겸사겸사 읽어보고 있는데, 어떤 부분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전쟁문학 특유의 한계가 보인다.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겸비하고 전장에서 일어날 법한 극한 상황의 묘사 이런 것들이 전형적이고 진부하다. 이제 80쪽 남짓 남았는데, 별 다섯 작품은 아닌 것 같다. 차라리 그의 다른 작품 <굴드의 물고기 책>이 더 흥미로워 보인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내가 읽은 책 가운데 정말 좋은 작품을 알려주고 싶거나,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서 리뷰를 올리기 시작했다. 그런데 가끔 나조차도 주객전도된 것은 아닐까 의문이 들 때가 있다. 리뷰 대회 적립금 욕심에 그냥 그랬던 책을 좋다고 쓴 건 아닌지, 양심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본다. 다행스럽게도 정말 아닌 책에 도저히 과한 칭찬을 한다거나 하지는 못하겠더라.
그럼에도 그 어느 것에도 휘둘리지 않는 진실된 리뷰를 쓰자고 다시 다짐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