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유대인 여인 가자가 원색적인 방식으로 ‘우리는 모두 죽는다‘ 라고 한 말은 축제 날 드넓은 초원에서 춤에 도취되어 삶의 즐거움을 표현하는 외침이기도 하고, 그날그날을 살아갈 뿐 앞일을 미리 걱정하지않는다는 사고의 표현이기도 하다. 반대로 죽음을 두려워한다는 것은항상 대비하고 계획해야 된다는 생각이며, 세계를 합리적이고 의지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사고를 가리킨다. 이것이 바로 현대성modernite이다.

-> 전통이 아니라 현대에도 관통하는 성질, 아래의 추가적인 설명이 이를 잘 드러냄

죽음의 친숙성으로 말미암아 죽음의 이미지는 이렇게 서민들의 언어에서 매우 초보적이고 천진난만한 삶의 기호가 되어 있었다.
"위험을 각오하고 죽음을 사유하느니 차라리 생각지 않는 편이 죽음을 견뎌내기 쉽다" 라고 파스칼이 말했다. 그런데 죽음을 생각하지 않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오늘날 기술 문명이 채택하고 있는방법, 곧 죽음 자체를 거부하고 금기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지금까지 보아온 대로 전통적인 사회에서 취했던 태도이다. 그것은 죽음에 대한 거부가 아니었다. 죽음이 이미 우리 가까이에 있고 일상생활의 일부로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의도적으로 몰입해서 사유하기가 불가능했을 뿐이었다. - P70

자연스럽고도 본능적으로 운명과 자연을 체념하고 받아들인다는태도, 즉 수천 년 동안이나 변함없이 지속되어온 죽음 앞에서의 태도...는 분묘를 비롯한 장의에 관련된 것들을 대하는 태도, 즉 무관심과 친숙함으로정의되는 죽은 자들 혹은 죽은 육신을 대하는 태도와 상응한다. 죽은자들에 대한 이러한 태도는 역사적으로 분명하게 한정되는 한 시기의특성이었다. 그것은 이전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시점인 기원후 5세기경에 나타났다가 18세기 말에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렸다. 결코 짧은 기간은 아니었지만 명확하게 한정되는 이 시기는 길들여진 죽음으로 정의되는 서구 정신사적 한 태도의 기나긴 연속성 내부에 그렇게 자리하고있다. - P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쟁터에서 그렇게도 용감하던 기사들은 기회가 있을때마다 정신을 놓아버린다. 이러한 남성적 감성 형태는 바로크 시대까지 계속된다. 그러다가 17세기 이후나 되어서야 비로소 남성들에게 감정을 제어하는 능력이 주어진다. 낭만주의 시대에 이르면 ‘실신‘은 여성들의 전유물이 된다. 게다가 그 당시의 여성들은 그것을 남용하는 경향도 없지 않았다. 오늘날에는 실신이 질병에 대한 임상적 징후일 뿐 그이상의 의미는 없다.
-> 감성을 둘러싼 남성성과 여성성의 구분은 근대의 산물 - P43

자연적인 징후와 초자연적인 징후를 구분한다는 것은 무의미한 노릇일 것이다. 사실 이 시대에는 자연성과 초자연성을 가르는 경계가 매우 불분명했다. 중세 시대에 임박한 죽음을 예고하기 위해 가장 빈번하게 동원된 징후들은 오늘날 ‘자연적‘이라고 정의되는 것들이다. 즉 일상적인 삶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평범하고 친숙한 사실들을 그저 단순하게 확인하는 정도를 벗어나지 않았다.
오히려 근대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는 동안 학자들이 예고적 현상들의 초자연적인 성격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이것들이 결국 대중적인 미신으로 간주되고 만 것이다.
-> 전대근적 미신도 근대의 산물, 자연적인 것을 초자연적인 것으로 전환해 미신화함 - P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에 대해 생각하기 - 오늘날 역사학에 던지는 질문들
사라 마자 지음, 박원용 옮김 / 책과함께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에 대해 생각하기는 그 부제처럼 오늘날 역사학에 던지는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질문은 6가지로 누구의 역사인가, 어디의 역사인가, 무엇의 역사인가, 역사는 어떻게 생산되는가, 원인이 중요한가 의미가 중요한가, 역사는 사실인가 허구인가 이다.
모두 현재까지 역사학을 둘러싼 가장 중요한 질문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질문에 대한 답을 이 책은 제시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이 질문에 대한 역사학을 둘러싼 논쟁을 소개하며 그 양쪽을 드러내며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것으로 역사에 접근하게 한다.

따라서 이 책은 결론에서 왜 역사를 공부하는가에 대해 "역사는 다른 학문이 할 수 없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한다는 것"이라 간단하게 정리한다. 물론 대답은 하나가 아니다. 열려있다. 오히려 질문하는 힘이 역사임을 강조한다. 즉 "역사가들은 해답을 제공할 수는 없지만 통시적으로 문제를 바라봄으로써 어떻게 올바른 질문을 하는지를 가르쳐줄 수 있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류세의 모험 - 우리가 만든 지구의 심장을 여행하다
가이아 빈스 지음, 김명주 옮김 / 곰출판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세를 지질학적인 용어로 정리한 인류세라는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살아있는 현장을 탐험하며 그 문제점과 현장에서의 극복 노력을 나름의 생각 속에 잘 녹여 놓은 책이다.


인류세의 원론적인 정의보다는 실제 세계 각 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인류세의 모습과 그 부정적, 긍정적 의미를 알 수 있는 대중서가 아닐까 한다.

글의 구성은 대기로부터 산, 강, 농경지, 바다, 사막, 사바나, 숲, 암석, 도시에 이르기까지 인간과 땔래야 땔수 없는 자연 환경을 중심으로 인류세 시기의 구체적인 삶의 현장을 전 세계 곳곳을 누비며 찾고 확인하고 또 현장에서 그 극복을 위한 사소한 노력에 주목하고 있다.

인류세가 어떤 것인지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고민하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류세에 여성들은 개발도상국 세계에서 수확량을 높이는 열쇠를 쥐고 있다. 그들은 전 세계 농업 노동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80% 이상을 차지하지만, 성차별적 정책과 문화적 관행이 그들의 잠재력을 저해한다. 예컨대 그들은 땅의 단 1%를 소유하고 있을 뿐이다. 만일 여성 농부들이 재원, 교육, 그 밖의 다른 자원에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다면 수확량은30%까지 오르고 영양실조는 17%가 떨어질 수 있다고 2011년에실시된 한 분석은 추정했다. - P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