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풍경을 나는 이제 사랑하려 하네 - 안도현의 노트에 베끼고 싶은 시
안도현 엮음, 김기찬 사진 / 이가서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시'를 읽었다.

시 보다는 산문이 이해가 쉽고 편하다고 느꼈었다. 시는 함축적이고 압축적인 글이 많아 난해할 거라는 선입견이 있었던게 사실이다. 시인에 따라, 어떤 시냐에 따라 다르기도 하겠지만 난해한 시도 많고,  독자들이 이해하는데 그닥 친절하지 않은 시들도 더러 있다. 

 

이 책을 엮은이도 시인으로 처음엔 직접 쓴 시로 이해하고 책을 빌려왔는데, 읽다보니 정작 안도현 시인이 쓴 시는 1편도 없다는 걸 알았다.  모두 다른 시인이 쓴 시를 말 그대로 한 권으로 엮어 놓은 '좋은 시' 모음집이다.

 

경쟁상대(?)로 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안도현 시인의 마음에 들어온 시는 어떤 것들 일까?

노트에 베끼고 싶을 정도로 소장하고 싶은 시들은 뭐가 좋았을까? 어디가 좋았을까? 하는 호기심에 읽어봐도 좋을 듯 하다.

 

나와 시와의 인연은 아주 짧다. 학창시절 크게 유행처럼 번졌던 '지란지교를 꿈꾸며(유안진)' 를 보며 자랐고, 신혼 초에는 '칼릴 지브란'이니 '메리 헤스칼'이니 하는 사랑을 노래하는 시를 더러 읽었다.  마음에 드는 시는 프린트해서 책상유리에 끼워 두기도 했었다. 그 후로는 별다른 기억이 없다.  시 이외의 책들을 읽기에도 시간은 항상 부족했으니...

 

예전의 내 느낌을 떠올리면서 시를 읽는다.  시인은 어떤 문장에, 어떤 부분에 마음을 뺏겼을까 하는 생각을 갖고 읽어나갔다.  한 줄, 한줄 충분히 음미하면서 천천히 읽어내려간다. 

친절하게도 선택된 하나의 시가 옮겨져 있고 그 옆에 엮은이의 평이 짧게 들어있다. 퀴즈를 풀 듯이 안도현시인의 마음을 유추해 갈 필요없이 정답이 바로바로 공개된 셈이다. 

 

시를 처음에 한 번 읽고, 짧은 서평의 글을 읽으며 다시 읽는다. 두 번째로 읽을때는 처음의 느낌과는 다르게 마음에 더 와 닿는다. 따뜻한 해설과 엮은이의 시선으로 다시 한번 읽으니 이해가 좀 더 쉽고 어떤 마음으로 시를 대해야 할지 감이 좀 왔다.

거기에 흑백사진이 주는 여운과 사진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상상하다 보면 책장이 쉬이 넘어가지 않는다.  봄이 주는 설레임이 책에서도 느껴진다.  마음을 은근하게 흔드는 느낌이 참 좋았다.

 

참 많은 시인이 등장하는데 부끄럽게도 내가 아는 시인은 손으로 꼽을 정도밖에 안되었다.

알고 있는 시인을 찾는 재미(!)도 있을 것 같다. 

느낌 있는 책을 찾고 있다면, 세월에 노출된 시간이 많은 사람이라면 마음에 여운이 길게 남을 '시'로 이 시집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