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을 바꾸는 책 읽기 - 세상 모든 책을 삶의 재료로 쓰는 법
정혜윤 지음 / 민음사 / 2012년 6월
평점 :
2주가 넘은 것 같다. 책도 영화도 못 볼 정도로 일이 몰려 매일같이 자정이 다 되어서 퇴근길에 오르는 생활을 한게. 몸이 피곤한 상태에서 책을 접해서 였을까? 이 책 생각보다 별로다. 정혜윤 저자의 책을 읽어보지는 않았으나 여기저기서 좋은 평을 내렸기에 기대를 너무 많이 했었나보다. OTL
몸이 피곤한 탓으로 책임 전가를 하기엔 어딘가 석연찮다.
책이 나에게 감동을 줬다면 두 말할 필요도 없겠지만,
동감이나 공감이 있을때도 우린 엄지 손가락을 치켜 세우며
"와! 좋다!"
"재밌다!"
하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다. 그런 맥락에서 보면 큰 공감을 느끼지 못해 이 책은 와닿지가 않았다. 큰 감흥을 느끼지 못하겠다.
- 먹고 살기도 바쁜데 언제 책을 읽나요?
- 삶이 불안한데도 책을 읽어야 하나요?
- 책이 정말 위로가 될까요?
- 책이 쓸모가 있나요?
답이 궁금해지는 여러가지 질문아래 저자가 생각한 답이 이어진다.
물음표로 끝나는 질문들을 보는 순간 나도 궁금했다. 어떻게 명쾌한 답을 내렸을지가. 그래서 더 관심을 가졌었다. 당연하게도 너무 뻔한 답을 풀어놓지는 않았을거라는 믿음이 있었다. 그럼 누구나가 생각할 수 있는 진부한 답 말고 어떤 지혜로운 이야기가 있을까 기대치가 높았다.
풀어가는 과정은 각 질문에 해당하는 적합한 책 속의 구절들을 인용하며 나름대로 고민한 답을 내놓기도 한다. 그 인용한 책이 대부분 고전이었고, 저자가 외국인이 훨씬 많았다. 대부분 내가 접하지 못한 책들이어서 낯설었다. 그래서 더 함께 마음을 나누지 못했다. 고개 끄덕이지 못했다. 저자가 하는 말들이 마음속에 들어가지 못하고 겉을 빙빙 도는 듯한 느낌이어서 이 책은 나에게 어렵고 조금 지루했다. ㅠㅠ
서평을 쓰기전에 이 책을 리뷰한 사람들의 평점을 눈으로 훑어봤다.
대부분 호평이 많아서 살짝 고민에 빠지기도 했으나, 흠... 어쨌든 이 리뷰는 나의 것이다.
한 가지 동일한 사건을 보고도 해석이 모두 다르듯이, 책도 그럴 수 있다. 좋은 평이 있으면, 안티평도 있을 수 있다. 내 마음대로 쓰는 리뷰니까 용기를 내고 올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