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의 그림자 - 2010년 제43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민음 경장편 4
황정은 지음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숲에서 길을 잃은 여주인공 '은교'를 남자주인공인 '무재'가 뒤따라 가면서 소설은 시작된다.

 

'그림자가 일어섰다'

이 글귀가 이 소설을 설명하는 가장 적절한 문장이 아닐까 싶다.

다소 생소한 문장이 "무슨 뜻일까?" 한참을 생각하게 했다.

"환상을 보는 것이거나, 꿈을 꾸는 걸까?" 하지만 그렇지는 않았다. 소설 속 인물들은 모두 그림자가 일어선다는 말의 뜻을 알고 있거나 직접 경험을 했던 사람들이었다.

소설속에서는 '그림자가 일어서는...' 생소하고 환상같은 일이 어엿한 현실이었다. 

 

참 낯선 이야기였다.

흠.. 소설이 맞군. 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었다.

 

은교가 숲속에서 길을 잃었던 이유도 자신의 발끝에서 길게 드리워져 항상 내 행동을 따라해야 할 그림자가, 그림자 스스로 분리되어 일어나 홀로 걸어가는 걸 따라 가던 참이었다.

 

그림자가 일어선다.

 

정말 무슨 뜻일까?  소설을 읽는 내내 머리속에서 이해하려고 비슷하게라도 해석해 보려고 고민한다.

'영혼이 빠져나간다는 의미일까?'

'극도의 스트레스 혹은 정신적인 충격으로 멍한 상태에서 상상이나 환각을 본 걸까?'

 

삶의 무게가 힘겨운 한 가장의 경우는 그림자가 일어서는 걸 본 뒤로 이상한 사람이 되더니, 오래 살지 못하고 일찍 죽음에 이르렀다고 했다. 또다른 기러기 아빠의 경우도 그림자가 일어서는 걸 경험하고 그 그림자를 따라 갔다가 옥상에서 추락사를 당한다. 그런 비슷한 사례를 들며 또 다른 경험자는 은교에게 그림자가 일어서서 움직여도 '절대 따라가지 말라'고 충고한다.

 

소설을 다 읽을때까지 그 그림자가 뭘 의미하는지 정체가 뭔지 시원하게 알려주지는 않는다.

다만 그 한 줄기 문장이 등장인물들 간에 구심점 역할을 해서 각 구성원들의 짤막한 인생을 들려준다.

 

은교와 무재의 사랑이야기도 엿볼 수 있다. 같은 건물에서 일하고 있는 그들은 분명 사랑 하는 사이로 보여지는데 그 표현방법이 평범한 이들과는 조금 달랐다. 무심한 듯 묻고 대답하는 대화들에서 일상적으로 하는 연인들의 대화와는 다르게 느껴졌다.

 

스님의 대사처럼 선문답 하는 듯도 보인다. 내가 행간을 놓치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의구심도 들게 한다.  의미없어 보이는 평서문의 대화가 곱씹어 읽을 수록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었다. 

 

기발한 소재만큼이나 마음에 파고드는 특별한 울림이 있었다. 

딱 꼬집어 말로 표현하기 힘든 뭔가가 있다.

 

책이 두껍지 않아 쉽고 금방 읽히지만, 긴 여운이 책을 놓지 못하게 하는 매력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