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기초 : 연인들 사랑의 기초
정이현 지음 / 톨 / 201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에 '기-승-전-결'이 있다면, 이 책은 그 네 가지 모두를 담고 있다.

 

소개팅으로 첫 만남을 가진 남과 여 둘이서 어떻게 친해지고, 어떻게 사랑에 빠지는지... 

영원할 것 같던 행복의 클라이막스 순간을 지내다... 

점차 오해가 쌓이고, 기대 조금씩 허물어 지면서 삐걱대다가, 끝내는 이별에 이르는...   

처음과 끝이 모두 들어있는 연인의 이야기다.

 

'민아'와 '준호' 두 사람 다 연애가 처음은 아니다.

비슷 비슷한 스토리를 연애 경험으로 간직하고 있는 보통의 평범한 사람들이다.

호기심과 호감으로 시작해 열정과 기쁨의 순간으로 확~ 타올랐던 사랑이, 시간이 지나면서 색이 바랜 허름한 벽지처럼 초라해 지고 결국 이별이라는 수순을 밟는 게 사랑의 사이클 이라는 걸 경험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그들은 다시 시작되는 사랑을 크게 믿지 않는다. 영원하리라는 믿음으로 시작지만 이별이라는 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영원이란 말을 다시는 '사랑'이란 단어 옆에 두지 않으리라 다짐한다.

 

그런 조금은 닫힌 마음을 가진 두 사람이지만, 상대를 처음 본 순간, 함께 나누는 대화를 통해 그들은 이전의 지나간 사랑과는 다른 느낌다. 떠난 사랑의 고통을 잊을 만큼, 자신들이 세운 '사랑의 정의'를 무시할 만큼 서로에게 빠져든다. 천생연분! 딱 맞는 맞춤형 옷을 입은 듯이 대화가 잘 통하고, 취향과 좋아하는 것도 많이 일치한다. 첫 만남에서 공통점이 많다는 건 연인이 될 확률이 높다는 말과 같은 뜻이리라. 그렇게 그들은 짧은 시간에 사랑하는 연인이 되었다. 

 

그런 그들에게 무슨 일이 있었기에 틈이 생긴 걸까? 

어디서부터 오해가 쌓이기 시작했을까? 

정말 영원한 사랑이란 없는 건가?

 

 

소설은 민아와 준호의 시점으로 서로 번갈아 가며 이야기를 들려준다. 상대를 보며 생각하는 것과 느들을 자신의 입장에서 들려준다.  

싸움이 일어난 현장에서 중재를 해야 한다면, 누군가의 부탁으로 카운셀링을 해줘야 한다면,  

이쪽, 저쪽 모두의 의견을 듣고 최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조언을 해줘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소설은 민아의 얘기와 준호의 얘기를 동시에 들려주고 독자로 하여금 어떤 조언을 해줄지 판결을 기다리는 것 같다.

"자! 두 사람 얘기 잘 들으셨죠?  당신은 어떤 조언을 해건가요?"

"민아는, 준호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랑이 미지근함을 넘어 차가운 온도로 치닫고 있는 연인들게 어떤 얘기를 해줘야 할까?

 

이렇다 저렇다 할 조언을 하진 않으련다. 두 사람이 쓰는 역사에 끼어 들어서도 안되고, 주제넘게 충고랍시고 해줄 얘기도 딱히 없다. 그저 재미난 타인의 '러브 스토리'를 걸로 만족한다.

 

소설은 역시 재미가 있어야 한다. 짧은 시간에 휘릭~ 읽어 버린 정이현의 소설 <사랑의 기초> 였다. 

이제 알랭드 보통이 쓴 사랑의 기초를 읽어봐야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