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득이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영화 예고편을 보고 이 책이 보고 싶어졌다.  그래서 일부러 예약신청까지 하며 빌려온 책이다.

영화를 보기전에 책으로 먼저 만나보고 싶어서, 언제부터인가 영화를 먼저 보는 것보다 책으로 먼저 만나보는게 더 좋아졌다. 책을 바탕으로 하기는 하나 감독이 촬영 하면서 영화의 흐름을 위해 내용이 빠지기도 하고 추가되기도 하는 터라, 원작을 먼저 만나보는게 순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과의 차이점을 찾아가는 재미도 있고, 책과 영화에서 느껴지는 감동이 서로 달라서 둘 다를 동시에 느끼는 기분. 나쁘지 않다.

 

<완득이> 참 유쾌하다.  똥주선생과 완득이의 티격태격 대사들이 웃음난다.  선생과 제자라 상대적으로 완득이가 당하는 것처럼 보이기는 한다. 말빨로도 항상 밀리고, 선생이라는 위치도 '깨갱' 하게 만든다. 이를 바득바득 갈며 완득이가 찾아가는 곳은 어울리지 않게도 동네 작은 교회다.  완득이가 선택한 소심한 복수는 하느님께 똥주를 죽여달라고 기도하는 것이다. 크크크. 조금 격하고 극단적인 소망이라 섬뜩할 것 같지만... 웃음이 난다.

 

완득이와 비슷한 환경과 조건을 가진 인물이 등장하는 영화를 보면 대개 주인공의 성격이 심하게 삐뚤어지거나 나쁜 길에 서 있기 일쑤였다. 완득이는 그런 흔한 주인공들과 달리 자신의 내부로 내부로 숨는 성격이었다. 눈 뜨면 학교 가고, 해 지면 다시 집에 와서 자고, 어른이 되도 비슷한 생활을 하며 서로 피해 안 주고 조용히 살다 죽는 게 장땡이라고 생각하는 완득이.

 

남의 일에는 전혀 관심없고, 친구도 없으며, 세상에 나서기 보다 숨을 곳을 먼저 찾는 완득이. 숨어지내다 들키면 다른 곳을 찾아 다시 숨는 방식을 택하다, 동주선생을 만나면서 숨바꼭질 놀이가 싫어졌다. 동주한테서 매일 들키는 숨바꼭질 놀이보다 조금은 더 재밌는 꺼리를 발견한다.  킥복싱.  킥복싱을 하면서 세상에서 숨을 필요가 없구나! 하는 생각을 한다. 세상에서 내가 할 수 있는, 하고 싶은 뭔가가 생긴것이다.

 

가볍게 웃고 그치기에는 또다른 뭔가가 있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멸시, 외국인 노동자들이 받는 차별적인 대우들이 간접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재밌게 웃다가 끝에 남겨지는 찐한 여운 같은 것들이 있다.

 

영화는 더 재밌고 찡하고 감동적일 것 같다.  예고편을 짤막하게 본 터라 완득이로 배우 유아인과 똥주선생으로 배우 김윤석이 나와서 책 읽는 내내 함께 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