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때 나는 도자기를 보는 방법을 하나 배웠고,
그것은 내 세상살이의 무슨 지침처럼
지금까지 뇌리에 새겨져 있다.
"도자기 진짜 가짜를 어떻게 구별합니까?"
초짜는 부끄러움을 감추고 물었다.
"그건 간단하지."
선생의 대답에 나는 귀를 세웠다.
"우선 그 골동을 사다놓고 오래도록 지켜보는 걸세."
아까운 돈을 투자한 도자기를 오래오래 지켜보고 있으면,
결국 싫증이 나는 것과 싫증이 안나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

                                 - 윤후명의 <나에게 꽃을 다오 시간이 흘린 눈물을 다오> 중에서 -



아무리 지켜봐도 싫증 나지 않는 것,
오랜 시간 곁에 두고 봐도 질리지 않는 것,
이것이야말로 진짜인 것이다. 

도자기도, 그림도, 음악도, 글도...  그리고 사람에게까지도 적용되는 기준이다. 
그래서 저자도 세상살이의 무슨 지침처럼 지금까지 간직하고 있다고 했나보다. 

우리가족이 한참 직소퍼즐에 미쳐(?) 있을 때, 여러작품을 그것도 1,000 피스 짜리로만 맞추는 작업을 했었다. 
주로 추운 겨울에 따뜻한 거실에서 잡담을 하며 맞추던 기억.  행복한 기억으로 남아있다. 
여러 작품들 중에 주로 풍경화나 정물화의 종류가 많았고, 점차 명화로 관심이 옮겨가고 있을 즈음에 선택한 명화.
바로 이 아이였다. 


처음엔 주연이도 보고, 어머니도 볼 거고... "넘 야한거 아냐?"  해서  고민을 많이 했었다. 
마음의 결정을 하고 한 조각 한 조각 맞춰가면서 보면 볼 수록 마음에 드는게 그때 처음 느꼈더랬다. 

"
아~  이런게 명화구나!  이래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는 거구나!"  

볼 수록, 시간이 갈 수록 더 좋아지는 것.  싫증 안나는 것.  오래 지켜보면 실체가 제대로 드러난다.

그때의 생각이 나서 더 크게 저자의 얘기가 마음에 와 닿았다. 

그림도, 사진도, 글도, 음악도, 도자기도 모든 것에 적용이 되는 문장!
바로 [오래 지켜보기]  이다.   나도 마음에 새겨두고 싶은 문장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