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을 찾아서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이는 장원두이다.  
첫 장면은 원두의 영원한 왕인 마사오의 부음을 받고, 오래전에 떠나온 고향을 찾아가는 길에서 시작된다.
고향을 찾아가면서 어렷을때의 기억을 더듬어 간다.  마사오 이야기, 한날 한시에 태어난 박재천의 이야기, 그리고 첫 사랑 세희에 대한 이야기 등 한 조각 한 조각씩 추억을 그리며 마사오의 마지막모습을 보러 가는 길이다.

지금은 ’대통령’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만, 원두가 떠나온 지역에서는 ’왕’ 이라는 용어로 통용이 된다.  단, 그 왕권은 그 지역에 한해서만 제한되는 권력이었다.  지역 밖을 벗어나면 무용지물인 우물안 개구리(?)들의 왕이라 하겠다.  보통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운 다른 용어로는 ’조폭’ ’폭력배’ ’건달’ ’양아치’ 등이 있겠다.

일제 식민지로부터 해방이 되고도 어쩐일인지 이름이 바뀌지 않는 ’마사오’.  한국식으로 이름을 바꾼다면 ’김정일’ 정도 되는데 김마사오라 불리지도 김정일로 불리지도 않고 마사오는 그냥 처음부터 마사오라 불리워졌다.  자연스럽게.

소문은 언제나 그렇듯이 출처가 불분명하고, 입에서 입으로 옮겨질수록 보태지고 부풀려지면서 내용이 진화를 한다.  마사오의 경우도 큰 힘 안들이고 자신의 경력이 적당히 미화되고 적당히 부풀려져서 군대에서 제대할쯤엔 자연스럽게 왕이 되어있었다.  또 그 명성에 걸맞게 지역내에서 분쟁이나 사건이 일면 몽둥이로 평등하게 판결을 내려주곤 했다.  

마사오가 왕으로 있을 당시엔 경찰도 필요없을 정도로 지역내에선 큰 문제가 없었다.  사람들 사이에서도 큰 불만없이 왕으로 군림했다.  마사오의 특징이라면 칼이나 총 이런 도구의 힘을 빌리지 않고 두꺼운 팔뚝에 의지해서 지역을 다스렸다는 거다.  큰 차이가 있을까 싶지만 좀 덜 잔인했을 듯 싶다.  영화에서 흔히 보여지는 장면들, 조폭 하면 떠오르는 상상들과는 조금 차이가 있겠다.  죽음에 이르는 조직간의 다툼 이런 것은 없었다.  마사오는 이렇다할 조직을 거느리지 않았고, 마사오가 건재할 당시는 누구도 그 자리를 넘보는 이가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점점 마사오가 힘을 잃어가고 있을때쯤 그 자리를 노리는 사람이 생기면서 눈에 보이는 듯, 보이지 않는 알력싸움이 일어난다. 2인자로 불리우는 이들이 후계자 후보로 오른다. 

지역의 왕이 되기 위한 조건이 뭐가 있을까? 

우선은 싸움을 잘 해야겠고, 야망도 있어야 하고, 언변도 좋아야겠고, 밑에 따르는 동생들도 많으면 좋겠다.  하지만 후보로 오른 이들은 각각 2%씩 부족했다.  야망이 없거나, 말만 번드르 하니 잘했고, 싸움은 잘 하는데 비겁하고... 저마다 약간씩 부족하다.  
왕이 될 만한 그릇은 못되는 사람이 있을 뿐이었다.  하지만 저마다 왕이 되고 싶어했다.  
그들이 서로를 깎아 내리고 자기 자신은 높이기 위한 소문들을 만들어 낸다.  소문을 제조하고 퍼트리는 일에는 말만 번드르한 2인자 재천의 강점이기도 했다.  작은 소문하나가 눈덩이가 되고, 집채가 되고... 소문은 때로 큰 권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과연 그는 왕이 될 수 있을까? 


성석제 작가 초기작품으로 절판되었다가 다시 출간된 책이다.  조폭들의 이야기라 잔인하거나 무서울거라는 상상은 접어두는게 낫다.  다른 작가라면 모르지만 성작가님의 책이라면 그런 느낌보다는 좀 더 해학적이고 유머가 있다.  진지하고 심각한 장면인데도 글을 읽다보면 ’피식~’ 웃음이 난다.  특유의 익살과 농담, 재미와 유머를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역시 성작가님 답다. ^^

작품도 괜찮았지만, 좋아하는 작가인 만큼 주저없이 별 다섯개. ★★★★★ 사심있게 평가한다.   ^_______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