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돈나
오쿠다 히데오 지음, 정숙경 옮김 / 북스토리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올해 책을 폭발적으로 읽으면서 알게 된 작가 오쿠다 히데오!
그의 작품 <마돈나>를 봤다. <걸>과 느낌이 비슷하다. <걸>에 캐리어우먼이 등장하고 그녀들의 시각으로 소설이 이루어졌다면, 이 책 <마돈나>는 중년남자의 시각에서 쓰여진 소설이다.
1. 마돈나
2. 댄스
3. 총무는 마누라
4. 보스
5. 파티오
각 장에 나오는 남자들은 공통적으로 결혼해서 아내와 자식이 있고, 한 부서의 책임자로 있는 평범한 중년의 샐러리맨들이다.
우리나라의 남자들과 크게 차이가 나지도 않고, 회사의 문화도 비슷해 보인다. 실제 생활에서 보통 간부급의 샐러리맨에서 충분히 느낄 수 있는 고민과 스트레스에 직장인이라면 고개를 끄덕일 만한 내용이다. 한번쯤 겪을 수 있는 일이고, 누군가는 절실하게 경험하고 있는 소재여서 많이들 공감하는 것 같다.
마돈나
참하고 여성스러운 부하사원이 어느날 전배를 온다. 상사로 있는 오기노 하루히코 과장은 그러면 안되는 줄 알면서 그녀를 짝사랑하게 되고, 짝사랑을 들키지 않으려 애쓰면서 소심하게 때로는 집요하게 그녀로부터 다른 남자들을 떼어놓는다. 과장의 권력으로.
도모미의 사소한 말 한마디에도 천국과 지옥을 오락가락하는 오기노 과장. 그녀의 속마음은 도대체 뭘까? 오기노 과장의 몽상과 현실 사이의 줄다리기가 재미있다. 오다쿠히데오의 문체로 유쾌하게 읽는 마돈나.
댄스
샐러리맨의 힘든노고와 직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요시오과장의 몸부림이 안타깝게 느껴진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누구나 한번쯤 겪는 일들이 적나라하게 나온다. 상사의 눈에 밉보이지 않기 위해 30분이나 일찍 출근해 눈도장을 찍어야 하고, 싫은 자리에도 억지로 가서 기쁨조 노릇을 해야하고, 궂은일도 마다하지 않아야 한다. 그런 조직생활에서도 제멋대로인 사람이 꼭 있게 마련이니, 요시오 과장과 동기이기도 한 아웃사이더 아사노과장이다. 처음 요시오는 아사노의 일거수일투족이 모두 마음에 안들었지만, 어느새 그를 두둔하고 있는 자신을 보게된다. 윗 사람에게 아부해야하고, 억지로 좋은 척 해야하는 직장생활에 환멸을 느낀걸까?
총무는 마누라
영업부에서 잘나가는 온조과장은 더 높은 곳으로의 승진을 앞두고 잠시 총무부에 근무를 하게된다. 그 회사는 승진시키기전에 한가한 부서에 몇년간 근무를 하게 하는 관례가 있다. 그러나 온조과장은 총무부가 생기고부터 있었던 업체와 총무부간의 부정과 비리를 알게 된다. 온조과장의 성격상 찌질하고 쩨쩨한, 그들이 말하는 사소한 부수입거리를 그냥 보아넘길 수가 없다.
" 내가 신나게 한번 휘저어줄까? "
총무부와 마누라는 적으로 만들면 안된다고 하는 그들의 논리에 맞서 싸울것인가? 아니면 전임자들처럼 조용히 '좋은게 좋은거라고' 그냥 받아들일 것인가?
보스
한국사회와도 비슷한데 일본도 한 부서의 대장역할은 남자가 해왔다. 통상적으로, 관례적으로. 사회란게 어차피 남자들이 세운 세상이니까. 그런 대기업에 여자보스가 그것도 해외에서 전격적으로 영입한 해외파영업 베테랑이 들어온다. 부장직에서 밀리고 여자를 상사로 모셔야 하는 다지마과장. 다지마과장의 속내와 질투심, 지고싶지 않지만 모든점에서 완벽한 그녀를 매번 이길수가 없다.
여자라면 통쾌하게 읽을 수 내용이지만, 내가 요코부장이라면 그렇게 무리하게 개선하고 싶지는 않은데... 하는 부분도 있다.
파티오
도쿄에 사는 노부히사와 그가 일하는 빌딩에 항상 책을 읽으며 유유자적하는 70대의 멋진 노신사가 주인공이다. 서로 상대방을 보며 각자의 아버지와 아들을 연상해 호감을 느끼지만 프라이버시를 침범하고 싶지 않아 가까이 다가가지 못한다.
깔깔대며 웃을 정도의 책은 아니지만, 재밌고 유쾌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그의 책은 한국의 성석제 작가 만큼 기분을 좋게 만드는 뭔가가 있는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