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학교 - 달콤한 육아, 편안한 교육, 행복한 삶을 배우는
서형숙 지음 / 큰솔 / 2006년 9월
평점 :
이 세상에 내 아이가 건강하게 잘 자라고 훌륭한 사람이 되는 걸 바라지 않을 부모가 있을까? 그렇다면 모든 부모가 똑같은 소원을 갖고 있고 그렇게 키우기 위해 불철주야 노력을 할텐데 왜? 아이들은 모두 바라는 모습으로 성장하지 않을까?
내가 일상적으로 아이한테 말하고 행동하는 것들이 나도 모르게 어긋나고 있는 잘못된 육아방식은 아닐까?
매일 같이 아이한테 잔소리 하고 야단치고 싸우는 경험을 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있는 거라고 생각된다.
엄마학교를 이끌고 있고, 두 아이를 훌륭하게 키워낸 저자는 좋은 엄마 되는 건 참 쉬운 거라고 말한다. 끊임없이 사랑하고 칭찬해주고 아이를 이끌려고 하지 말고, 잘 자라는지 지켜보기만 하면 된다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쉬운 일이라고 한다. 아이는 엄마가 믿는 양만큼 자란다고 하니 믿음을 듬뿍듬뿍 준다면 더 잘 자란다고 말한다.
밥 짓는 법을 모르는 사람은 그 방법을 배워야 하듯이, 엄마 되는 법을 모른다면 엄마학교에 입학해서 배워야 한다. 엄마라면 아침마다 세수하듯이 마음 닦는 연습을 매일같이 해야한다.
책을 읽으면서 생각한 건 저자는 부처나 예수처럼 성인군자가 아닐까 하는 점이다. 이런류의 책이 비슷한 공통점이 있는데, 많은 것을 참고 인내하며 감싸 안아야 한다는 거다. 아이의 요구가 있으면 항상 들어줘야 하고 웃는 얼굴로 맞이해야 하고, 실수를 하거나 잘 못해도 기다려 줘야 하고... 엄마로 하여금 정말 많은 끈기와 인내심을 요구한다.
온 방을 난장판으로 만들어 놓고 그걸 치울생각에 짜증이 확 일어 소리를 ’빽’ 하고 지르게 되는 나같은 엄마에겐 불편한 진실로 다가온다. 머리속에 정보들은 많아서 ’참! 고의가 아닌 실수한거는 화내면 안되는데...’ 하며 뒤늦은 후회를 해도 아이는 이미 상처를 받았고 주눅이 들어있는 상태다. 엄마도 화가 난 상태이니 감정수습을 하고 나서야 아이를 어루만져 줄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타이밍이 한참 늦어진다. 이런 상황이 아이가 어릴때는 하루에도 몇번씩 발생하는데 이런 고비들은 어떻게 슬기롭게 넘겼는지 그런 내용은 아쉽게도 없다. 아이가 어릴때는 엄마도 육아에 초보고 무엇보다 엄마몸은 무척 피곤하다. 잠도 부족하고 아이 키우는 소소한 하나까지 모두 엄마의 손길이 필요한 것들 투성이다. 하지만, 그런 보통의 힘든 과정을 씩씩하게 누구보다 잘 견뎌냈기에, 화를 삭이며 웃어줬기 때문에 지금의 저자가 있지 않겠나 하는 생각도 든다.
엄마학교를 만들어 이런 아이 키우는 좋은 노하우들을 널리 퍼뜨리는 건 참 좋다. 시행착오를 지금도 겪고 있는 힘든 엄마들에게 큰 도움이 될 거라 믿는다. 저자 같은 엄마가 여러명이고, 그 손에서 자란 우리의 아이들이 더 좋은 사람으로 자라 그 아이의 아이들이 계속해서 점점 더 좋아질 것을 생각하니 가슴이 뿌듯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