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끄는 부모 미는 부모 - 허영림 교수의 자녀교육 특강
허영림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제목에 이끌려 책을 선택했다. 끄는 부모? 미는 부모? 책 제목만 보고서는 주연이가 묻는다.
"엄마! 끄는 부모가 좋은걸까? 미는 부모가 좋은걸까?"
"글쎄~ 아직 읽어보진 않았지만, 두개가 다 반반씩 섞이면 좋지 않을까? 부모니까 앞에서 이끌어 주는 부분도 필요하고, 뒤에서 서포트 해주는 부분도 반드시 있어야 하니까!"
하지만 내가 생각한 것과는 달리 저자가 말하는 끄는 부모란?
서두르고 미리 개입해서 뭔가 통제하고 아이에 많은 영향을 주는 부모를 말한다. 그런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는 수동적이고 무기력한 아이로 자라게 된다고 한다. 반면에 아이가 흥미있어 하는 것에 또 배우고 싶어하는 시점에 아이를 교육시키고, 밀어주는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는 적극적이고 자기 주체적인 행복한 아이로 자라게 된다는 것이다.
누가 뭐라고 해도 이 세상에서 아이를 제일 잘 아는 것은 부모이다. 그런 부모는 내 아이를 잘 관찰하고 어느 부분이 강점이고, 어느 부분이 약점인지를 잘 파악해서 약점을 보완하기 보다는 강점을 더 크게 키워주는 노력을 해야한다. 아이가 공부는 좀 못하더라도 다른 쪽에 소질을 보이면 부모는 소질이 있는 쪽으로 함께 관심을 옮겨가야 한다. 하지만 보통의 부모는 학교 공부가 뒤쳐지는 것을, 친구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 하지 못하는 것을 힘들어 하고 못견뎌 한다. 조금만 밀어주면, 좋은 선생님을 붙여주면 정상궤도에 오를 수 있을거라는 믿음을 버리지 못한다. 그래서 억지로 학원이다 개인과외다 돈을 들여가며 아이를 억압하고 강제한다. 그런 과정에서 부모와 자식간의 불화가 생기고 신뢰가 무너진다. 양쪽 모두가 행복하지 않은 것이다.
가끔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라는 프로를 본다. 그 프로그램을 보다보면 하나의 공통점이 있는데, 문제 있는 아이가 있는게 아니라, 문제 있는 부모 밑에서 아이가 성장을 해서 때로는 극단적인 행동을 하고 이상징후를 보인다는 거다. 옛날 우리 부모세대처럼 아이를 낳기만 하고 특별한 교육없이도 잘 성장하는 시기에서 이제는 부모도 교육을 받아야 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