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맞벌이 부부 아이는 서울대에 못간다?
이형미 지음 / 이미지박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맞벌이 부부는 아이를 가까이서 돌 볼 수 없기 때문에,
학원으로 계속 돌리고, 돈으로 뭔가를 때우려 하고, 엄마들과의 정보교류가 힘들어 명문대에 못 보낼 것이다.
상식적으로(!) 생각되는 위 생각을 틀렸다고 말하는 책이다.
저자 이형미는 신문기자로 20년간 맞벌이 생활을 하면서
아들을 고려대에 입학시킨 장본인으로 본인의 노력과 아들을 어떻게 교육시켰는지 그 노하우가 담긴 책이다.
소위 SKY 대라고 말하는 명문대는 잘 알고 있는 것처럼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이다.
큰 줄기로 보면 맞벌이 부부 뿐 아니라 전업주부들이 읽어도 손색이 없을 것 같다.
이 책은 크게 4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1. 맞벌이 주부로 산다는 것
2. 직장 맘의 노하우 자녀 교육에 활용하기
3. 명문대로 가는 차별화 전략
4. 명문대 합격, 그 절반은 엄마의 몫
직장다니면서 못 하는 일에 발 동동 구르며 이러저러한 핑계로 합리화 하지 말고,
워킹맘이 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아 적극적으로 파악하고 활용하라는 게 주요 내용이다.
또한 아이가 고등학교에 들어가면 엄마도 각종 대학의 입시정보에 대해 함께 공부하고
관련정보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정성을 들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요즘 아빠의 경제력과 엄마의 정보력이 아이를 명문대에 들여보낸다는 우스개가 있다.
강남에 한달에 많은 돈을 투자해서 비싼과외와 유명한 학원으로 돌리며 아이들을 지원하는 부모도 있지만,
그렇게 지원을 해도 아이의 적성이 그것과 맞지 않다면 안 한 것만 못한게 된다.
그렇게 못 해주는 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관하고, 무리해서 그 대열에 끼려고 하지말고
가까운 주위에서라도 아이와 맞는 학원을 선택해 효과를 극대화 하라고 강조한다.
엄마들 중에는 학원 개수로 공부의 결과가 결정되는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공부는 학원선생이나 과외선생이 시켜주는게 아니라 결국은 본인이 해야만 하는 것이다.
책을 보면서 주연이가 나중에 크면 시켜보고 싶은 활동은...
- 엄마가 신문을 먼저 꼼꼼하게 읽은 다음에 아이에 맞게 신문 사설이나 칼럼을 하나씩 오려
노트에 붙여준다. 그럼 아이는 엄마가 스크랩한 글을 읽고 자신의 느낌이나 때론 요약본을 글로 써본다.
매일 매일 꾸준히 숙제로 내준다고 한다.
효과를 수치적으로 증명할 순 없겠지만,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참 좋은 방법 같아 써먹어 보기로 한다. 나중에 중학교 들어가면서 부터 시작해볼까? ^^
주위에 초등생들이 논술학원을 다니는데, 주연인 따로 하는게 없다.
책을 많이 읽어야 좋은 글을 쓸수 있다는 게 내 생각이라 논술을 잘 하기 위한 기술을 가르쳐 줄 것 만 같아서 별로
안 좋을 거 같다. 나중에 필요하면 단기적으로 보낼 생각은 하고 있다.
글은 자기가 좋아서 써야, 쓰고 싶을때 써야 좋은 글이 나오는 것 같다.
그런 훈련을 위해 아직은 책을 많이 읽으라고만 하고 있다. 다행히도 책을 좋아하긴 한다. ^.^
옛말에 ’한 해 농사 망친 것이야 1년 농사지만 자식 농사는 100년 농사’ 라는 말이 있다.
자식 교육은 잘 가르쳐 내 노후에 호강을 받으려고 투자하는게 아니지 않은가?
아이 스스로 좀 더 좋은 학교에 들어가 원하는 일을 선택할 때,
그 선택의 폭을 다양하고 넒게 만들어줘서 여유있게 골라 갖을 수 있는 먼 훗날을 위해,
아이를 잘 관찰해서 불필요한건 줄여주고, 필요한 걸 하나라도 더 해주는게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