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림 - 1994-2005 Travel Notes
이병률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1994년부터 2005년까지 ...
배낭하나 메고 카메라 들고 세계 여러나라를 다니며 남긴 기록들이다.

한 곳에 뿌리내리지 못하고, 나그네처럼 떠도는 느낌이 드는건 왜일까?
내가 한 가정을 꾸리고 나름대로 안정적이고 편안함에 안주한 때문인가?

그리움, 사람에 대한 호기심, 쓸쓸함, 기다림 이런 단어들이 떠오른다.
또 시인이 말했듯이,
그 많은 곳들을 다니면서 그냥 다닌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쉬임없이 끄적이며 써야했던 일들이
열정이 없이는 하지 못할 일들이라 ’열정’이란 단어도 추가해본다. 

   
 

 사랑은 그런 의미에서 기차다.
함께 타지 않으면 같은 풍경을 나란히 볼 수 없는 것.
나란히 표를 끊지 않으면 따로 앉을 수밖에 없는 것.
서로 마음을 확인하지 않았다면 같은 역에 내릴 수도 없는 것.
그 후로 영원히 영영 어긋나고 마는 것.

 

 

 

 
 
   
 
 신발이 낡았다고 생각하는 순간, 언젠가 신발을 사야겠다는 생각을 하죠.
하지만 당장은 사지 않아도 될 거라는 생각을 자주 하게 해요.

몇 달쯤, 적어도 한 달은 이 신발로 너끈히 버틸 수 있다고도 생각하잖아요.
근데 어느날, 신발을 사요. 단순히 기분 때문에 날씨 때문에 혹은 시간이 남아서
일 수도 있겠죠. 새 신발을 사서 신고 나면 신고 있던 신발은 얼마나 시시해요?
죽을 것 처럼 시시하죠. 시시하고, 도무지 시시한 거예요.  그러니 누군가는 돌리는 내 등짝을 바라보면서 얼마나 시시했겠어요? 시시한 게 싫다고 시시하지 않은 걸 찾아 떠나는 사람 뒷모습은 상상만으로도 얼마나 시시해요?

처음에 시시하지 않을 것 같아 시작했는데 시작하고 보면 시시해요, 사랑은.
너무 많은 불안을 주고받았고, 너무 많이 충분하려 했고 
너무 많은 보상을 요구했고, 그래서 하중을 견디지 못해요.
그래서 시시해요, 사랑은.
 
   

시시해 라는 제목으로된 윗 글에서 한참을 머물렀다.
작가가 나한테 해주는 얘기도 아닌데, 신던 신발에 나를 견주어 보며 뜨끔해진다.
나도 누군가에게 아니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이런 시시한 등짝을 보였는지...

혼자 하는 여행이라 외로움도 묻어난다.
여행은 좋아하지만, 낯을 많이 가리고 외국어를 못하는 나로서는 그저 부러울 뿐이다.

내 상상속에서의 여행은 친절하고 깨끗하고 여유롭고 자유로운 여행인데,
실상은 힘들고 배고프고, 속상하고, 억울하고, 불친절과 더러움 그런것들도 함께하는게 여행이다.

그래도 가보고 싶고 경험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