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쿠와 우키요에, 그리고 에도 시절 - Art 020
마쓰오 바쇼 외 지음, 가츠시카 호쿠사이 외 그림, 김향 옮기고 엮음 / 다빈치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내가 처음 우키요에라는 것에 호기심을 가진 건 인상주의 책을 읽으면서였다. 워낙 좋아했는 인상주의 그림이라 그 그림에 대한 설명중 빠지지 않고 나오던 일본판화의 영향이란 것이 무엇인지 정말 궁금했었다. 그러나, 난 차마 찾아 볼 생각을 못했다. 그건 오히려 보고 별로면 어쩔까 하는 고민보다는 혹여 보다가 그 아름다움에 빠지면 어쩌지 하는 걱정이었다. 그건 어릴적 넌 왜 그렇게 착하지 못하니? 라든지 넌 왜 형보다 못하니 ? 또는 넌 여자잖니? 이런 말에 받은 충격에 그걸 피하려던 행동이 어른이 된후에도 습관으로 남아 나도 모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은 것이였다. 우리나라를 통째로 꿀꺽하고는 우리 조상들을 하염없이 못살게 했다는데 감히 그들이 이루어 놓은 예술세계를 음미할 자신은 없었다. 그러나 차차 일본이라는 상처를 극복하고 있는 중에 이 책이 눈에 들어 왔으니 어쩌면 사람 사이에도 인연이 있듯 사람과 책 사이에도 인연이란 것이 있나 보다.

일단 책은 최충희님의 '하이쿠란 무엇인가?' 와 강병직의 '에도 시대의 미술' 이란 짧은 설명으로 시작된다. 하이쿠에 대해서는 총 4장에 걸쳐, 에도 미술에 대해서는 총 10장에 걸쳐 짧게 설명되어 있어 아주 천천히 읽어도 30분이면 끝낼 분량이다. 그리고 나머지는 전부 하이쿠와 그에 어울리는 우키요에가 짝을 이루어 계절별로 나와 있다. 마지막에는 하이쿠를 지은 지은이에 대해 간략히 설명되어 있고 참고문헌과 이 책을 엮은 김향님의 후기가 적혀 있다. 설명은 적고 하이쿠와 우키요에가 다량으로 나와 있어 외려 감상용으로 적합하다 싶다. 

하이쿠란 5, 7, 5의 음수율을 지는 17자로 된 일본의 짧은 정형시라는데 같은 형식의 센류와의 차이점으로는 센류는 인간 행동에 대한 풍자나 해학에 역점을 둔다면 하이쿠는 자연을 소재로 하는 점에서 다르다고 한다. 따라서, 하이쿠에는 계절을 상징하는 계어가 들어 가고 또 기레지라는 잘라주는 역할을 하는 -이여, -로다, 구나 등의 말들이 있어 짧은 하이쿠에 여운을 남기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그런데, 특히 이 계어를 화투에 비유해 설명해 주는데 덕분에  이해가 쉬웠고 일본인의 자연에 대한 정서를 살짝 엿본 것 같은 묘한 기분이 느껴졌었다. (그런데 엮은이의 후기에는 '우키요'란 '근심스럽고 걱정으로 가득 찬 덧없는 세상' 이니 결국 덧없이 갈세상 맘껏 살아보자로 변화되어 우키요에의 주된 소재는 최첨단 풍속이나 유행인데, 하이쿠는 골계와 해학이 성행하던 시기가 있어 서로 다른 특성에 서정적인 것만 가리기 힘들었노라고 말하고 있었다. 그런데 센은 인간 행동을 해학적으로 하이쿠는 자연을 다뤘다는 앞부분의 내용이 기억나며 여기서 살짝 헷갈렸다. 계어까지 가질 정도면 주로 자연의 미를 다룬 것인데 자연이 해학적일까 싶어 다 읽고 나서 오히려 후기에 조금 궁금해졌다. )

우키요에에 대한 설명은 배경이 되는 에도 시대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후 에도시대의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다. 쇄국령전의 포루투칼 상인과의 교역으로 서양 미술에 영향을 받은데다 쇄국정책에 의해 오히려 외국에 대한 동경이 커져 서양화법에 대한 관심이 있었고, 교토에서 에도로 그 중심이 옮겨지며 문인화와는 별도로 발전하게 된 것, 또 상공업의 발달로 인해 대중적인 수요가 형성되고 출판의 발달로 인해 소설이나 안내책자에 삽화로 대량 간행된 점등 우키요에가 등장한 시대적 배경에 대한 설명이 잘 정리되어 있어 왜 우키요에가 그런 특징을 가지는지 이해가 쉬웠다. 그런데 정말 재미있는 건 문인화는 중국이나 우리나라나 일본이나 어찌나 비슷한지 덕분에 호기심은 생기지 않더라. 그래서 그냥 생각하게 된 것, 중국이나 일본과 구별되는 우리나라만의 전통미를 찾으려면 서민적이거나 생활과 밀접한 것부터 찾아보면 되지 않을까? 오히려 하찮게 취급되고 마는 소박한 그것들이 사실 타인의 눈에는 우리를 대표하는 뛰어난 아름다움이 아닐까? 잠시 생각해 보았다. 어쨌든 우키요에는 동양적인 여백과 그와는 반대로 알록달록 다채로운 색이 겹쳐 묘한 아름다움을 이루고 있었다.

함축적인 하이쿠와 여백이 아름답고 색이 고운 우키요에를 따라 계절이 가듯 그렇게 나 또한 그 발자취를 여운처럼 남기고 총총히 떠나 볼까 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6-10-15 15: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대도 전 우리나라 시조가 더 눈에 들어왔답니다^^;;;

카페인중독 2006-10-15 15: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론 시조는 시조만의 독특한 아름다움이 있죠... ^^;;;
그냥 아름다움은 그 고유의 특성이 있는 것 같아서요... 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