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 박스 세트 - 전2권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정명의 바람의 화원을 읽었다.


추천을 받기전부터 읽고 싶던 책이기는 했으나 처음으로 대했던 책이 좀 까다롭게 읽혔기도 해서
좀 머뭇거렸던 점이 없지 않아 있었다. 하지만 읽고나서 보니 그런 선입견이 통쾌할 정도로 깨지게 했다. 


고급스러운 표지며 속지에 글자체까지 평소에 봤던 소설책의 편집이 아니라 그대로 화집이라 해도 될 정도의 장정이 책에 빠져들기에 충분했다. 장마다 전해지는 윤복이와 김홍도간의 그림들이 절묘하게 편집돼 소설속 이야기 그대로 그림대결을 펼치는 것 처럼 보여지는 면에 흠뻑빠지다 보니 그림배경부터 신발 머리끝까지 그 형태며 표현들을 기억하기에 바빴다. 





물론 그림의 한면한면의 묘사를 사진보듯 시적으로 표현하는작가의 글도 글이지만
색없는 여백만으로도 한밤의 풍정을 알게한다거나 바쁘게 지나가거나 
따라가는 사람의 묘사에서도 그들의 지금 사정을 다 알게 하는 글로 그림읽기에 
즐거움을 더해주었다. 


윤복이가 도화서에 적응하기까지 복잡한 마음을 뒤로하고 그의 능력을 알아본 
스승 김홍도의 적절한 도움으로 위기에서 벗어나기도 하지만 천재가 천재를 알아봤을때의 
그런 긴장감이 느껴지는 반면 그것대로의 존경심과 질투심도 그대로 느끼게 되는 식이라 
아 정말 이 이야기 진짜인것 같다 . 몇번이나 그렇게 말했기도 했다. 


2권에서 특히 윤복이의 출생의 비밀이 전해지며 아비의 누명과 억울한 죽음을 밝히게 되는데
이치에 맞지않으나 그림에 표현된 그림들을 글자로 나타내 그림 읽어 내는 법에 대해 설명하며
결국 그 독화법으로 살인자를 알아맞히게 되는 기막힌 연출이 대단해 보였다. 
심미안이 있기도 했겠지만 그러한 인문학적 지식과 연결되며 또다른 사건을 해결하는 모습 또한 
김홍도의 천재성을 다시한번 보게하는 사건이기도 하다. 


정향과 윤복이의 사랑도 2권을 읽어가며 어떻게 결말을 맺을까 궁금한 부분이었는데
그 사랑은 그 사랑대로 흘러가듯 두고 정향의 새로운 살길을 열어 준 것과
정향이라 믿었던 미인도를 윤복이의 미인도로 자신있게 보여주며 집중하게 했던 점이 
읽고나서 보니 훨씬 멋진 결말인듯 했다.


그저 신윤복은 단오풍경이나 미인도처럼 옛 그림중 특히 예쁜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 정도로 생각했던 화가였는데 칼춤을 추며 싸우는 기생이라든지
산으로 강으로 놀러다니는 양반들 달빛아래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는 애틋한 손길을
떠올리게 해 주는 화가가 되었다. 



아마 이책을 읽지 않았다면 조선시대의 천재 화가로 남아있겠지만.. 
책을 읽고나니 왠지 신윤복과 김홍도가 어딘가에서 대결하며
여전히 훨훨 그림 그리고 있을것같다.

우리 화가들의 그림들이 외국의 유명한 화가들에 못지 않은 천재성을 확인하게 해주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