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스캔들 - 한 편의 드라마 같은 예술가들의 삶과 사랑
박은몽 지음 / 책이있는풍경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5. 박은몽의 인문학스캔들을 읽었다. 
 
스캔들을 말할때 보통의 불륜관계를 떠올리게 마련인데 인문학 스캔들이란 제목은 좀 생뚱맞기도 해 가만 들여다 보니 역사적 인물들에 대한 스캔들 내지는 사랑이야기로 이루어진 책이었다. 
 
1800년대 말에서부터 1900년대 중반에 걸친 유럽과 미국 우리나라의 유명했던 스캔들을 인문학적으로까지 짚어 낸 책이라고 해서 조금 지루할까 지레짐작 하면서도 어쩐지 고루함보다는 뭔가 뒷담화느낌의 사랑이야기일꺼같아 기대하며 읽기 시작했다. 
 
문학사적으로 미술사적으로 유명한 관계들에서부터 전혀낯선 관계들 조차 생생한 대화와 현장감 있는 사건들을 재현해낸 글로 19말 20세기 초의 역사 속을 다녀간 기분도 들었다. 
 
니체와 루살로메 관계에서는 정신적사랑이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집필하게 했고 릴케와의 사랑은 그에게 있어서 보다 수준 높은 시들의 창작하는 자양분이 돼주었다. 특이한 점은 정신적 교제를 함에 있어서 경제적으로 지배받거나 도움 받지 않았던것이고 한세기전에 이런 사랑과 삶을 살아냈단게 대단해보였다. 
 
사르트르와 보부아르의 계약결혼,  조지아오키프와 스티글리츠, 하이데거 한나아렌트, 쇼팽과 조르주상드, 클라라와 브람스,이사도라덩컨과 세르게이에세닌, 에디트피아프의 마지막 사랑, 로댕과 카미유클로델, 실비아플라스와 테드휴즈, 랭보와 베를렌,프리다칼로와 디에고리베라,윤심덕과 김우진, 모딜리아니와 쟌에뷔테른, 유치환과 이영도,존레논과 오노요코 까지  
 
많은 문학작품 미술작품 또는 노래와 춤에 대한 오래전 이야기가 전해지고 생겨나게 된 과정은 이 모든 사람들의 사랑과 이별의 결과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특히 프랑스 예술가들의 자유롭고 깨어있는 정신같은것들은 여성들에게 어떤 이미지로 남겨져 후대사람들의 지금 생활에도 자유로운 사랑방식과 생활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듯하다. 
 
모든 관계들이 시작되는 두근거림에서의 기쁨과 즐거움을 읽을 수 있었지만 천재적인 감각에 반해 술 마약 쉽게 취약해지는 예미한 성격으로 불우한 결말을 맞는 공통점도 읽을 수 있었다. 
 
그럼에도 그런 고통과 불우한 삶을 겪어내고 이겨낸 예술활동과 작품활동을 보면 역시 훌륭한 작품과 고통은 어쩔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가 아닌가도 생각해본다. 
 
특히 조지아오키프, 프리다칼로, 에디트피아프등 사랑이 끝나감에도 끊임없이 열정을 쏟아낸 단단한 자기애를 볼 수 있어 스캔들의 취약한 구조속(?) 에도 더 생각이 났다. 
 
사랑이 있어 살아가지만 사랑이 없어짐을 두려워한 모딜리아니의 부인 쟌에뷔테른과 윤심덕과 김우진 유치환과 이영도 또한 이뤄지지 못한 사랑을 지켜보는것이 가슴아팠다.  
 
하긴 생각해 보면 사랑이 이뤄진다라는게 꼭 결혼인건 아니니 가슴아파 할일이 아니기도 하다. 결혼을 한다는게 모든 사랑의 완결점이 아니다란게 이 책 전체를 관통해서 하고 싶은 말이 아닌가한다ㅡ 
 
수많은 사람이 오늘도 내일도 궁금하고 끌리는 사랑이 대체 뭣이기에 이렇게 사람들을 애끓게 하는지...;;; 
 
재밌게 읽은 책의 사이 사이 그 사랑 가득한 눈빛의 젊거나 나이든 예술가들의 오래된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 이 책의 본분을 다한 것 같기도 하다. 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