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사라진 역사
성삼제 지음 / 동아일보사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기 얼마전에 이덕일의 교양한국사 1편을 읽었다. 우리나라 역사에 관해서 조금 깊게 쓰여진 책을 한번 읽고 싶던 참에 이 책이 묵직하게 들어와서 골라 읽기를 시작했었다. 전 3권으로 이뤄진책으로 고대사 중세사 근대사로 나누었는데 아직 1권밖에 읽지를 못 했다. 시리즈물인 이 책 읽기가 중단됐던 이유는 다른 무엇보다 1권에서의 우리나라 고대사 부분에 대한 궁금증이 무척 커졌기 때문이다.

 이유를 생각해보니 고등학교 때 국사시간에 배운게 갖고 있는 국사지식의 전부인 나로서는 국사시간에 들을 수 없던 고조선의 영역에 관한 문제와  단군과 단군의 나라에 대한 실체에 대한 논란을 읽고보니 그것에 대한 궁금증과 또 다른 관점으로 적힌 책이 읽어보고 싶었던 것이다.

이 책은 역사학자가 아닌 공무원이 쓴 책이었다. 그래서 전문적이지 못하다고 생각 될 수 있지만 일본 역사 왜곡 대책반의 일을 위해서는 치우치지 않는 시각을 유지하는것이 중요했다. 왜곡은 관점에 따라 타당하게 인식될 수도 있기때문에 정부의 요구에 대해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듣는것이 중요했고 외국학자의 의견도 참고를 했다고 한다. 대립되는 여러가지 의견을 들어보고 또 그에 따른 논리적인 반박을 위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첨부된 지도, 사진 등이 일목요연하게 정리가 되어 있어 객관적인 시점을 유지하게 해 주었고 오히려 그러한 점이 학계의 일반적인 관점만 보는 역사서가 아니라 그동안 무시됐던 부분들까지 짚어내거나 실질적인 연구과제로의 제안으로 옮겨 가는 진행을 보게 해 줘 역사를 대하는 바람직한 태도에 대해서 생각 해보게도 되었다.

물론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부분을 전적으로 다 받아 들이는건 위험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왜곡이 있다는 걸 알면서도 그에 대한 과학적인 판단 기준을 놔두고도 모호한 논쟁만 일삼고 의심되는 결론만 내놓는 교과서와 학자들을 보니 부끄럽단 생각이 들었던것도 어쩔 수 없는 사실이었다.

역사왜곡의 중요한 부분은 우리나라의 고대사 부분이었다. 삼국유사의 여러부분이 조선총독부에 의해 변조되었고 또 고조선의 영역또한 지금의 압록강 위치가 아니라 중국의 난하나 요하가 국경이라는 주장을 펼친다. 또 연나라의 명도전이라는 화폐가 고조선의 화폐일꺼라는 주장, 단군릉에서 발견된 5000년 된 유골, 고인돌과 청동기와 고조선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를 듣다보면 그동안 압록강유역의 곰과 호랑이의 나라가 아닌 강한 영향력으로 넓은 지역을 호령하는 청동기의 나라가 떠오른다.

중국의 동북공정, 일본의 역사왜곡 또한 이러한 부분을 중심으로 공동의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어진다면 역사에 대한 이해의 폭이 좁혀질 수 있고 그렇게 될때 역사적인 연구가 각 나라의 또 다른 협력의 형태를 가져올지도 모른다고도 한다. 이런 이유로 고대사 논쟁은 계속 되어야 한다고 작가는 말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