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입은 남자
이상훈 지음 / 박하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 이상훈의 한복 입은 남자를 읽었다

예전에 오세영의 베니스의 개성 상인 역시 3권으로 됐던 책으로 부제가 한복 입은 남자 였던거 같다 . 그래서 이 책은 책갈피만 갈아 입은 개정판인줄로만 알고 뒤늦게 왜? 했더니 작가가 달랐다.

그런데 루벤스가 그 시절에 조선인을 그린건 정말이지 신기하긴 하다. 학계의 정설은 일본에 의해 끌려간 노비가 외국으로 가게됐다 로 알려져 있다는데

그런 사실을 뒤로하고 팩션을 이끄는 장치들이 여럿 있었다. 조선 초의 한복의 복식에 대한 연구 자료가 모이고 정화라는 명나라의 항해가와 더불어 세종시절의 천재 장영실이 이야기로 엮어진다.

사실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까지가 소설인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지만 장영실이 이탈리아의 다빈치의 스승일 수도 있다는 견해가 그럴듯하게 읽혔다. 꽤 두꺼운 분량도 소설속 피디의 친구가 번역해내는 옛 장영실의 비망록을 따라감이 마치 독자가 장영실의 일년일년을 같이 밝혀내는 기분을 들게했다.

비천한 관기의 아들로 태어난 노비 장영실이 동래현에서 수차를 만들어 가뭄을 해갈하고 여러 발명품들로 세종에게 총애를 받아 대호군이란 종3품의 벼슬에까지 이른다. 명나라 유학길을 몇번이나 오르며 서양바다길을 6번이나 오간 정화 대장을 만나 교류하게 되는데 그 만남이 나중에 죽음에서 살아지게되는 끈이 된다.

측우기 물시계 해시계도 중요한 발명품이지만 책에서 중요했던 건 신기전과 칠정산으로 그발명으로 인해 명나라에 쫓기게되고 결국 장영실이 임시로 만든 가마가 부서져 세종이 낙상했다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으로 장영실은 역사 실록에서 조차 사라진다.

실록은 조정의 관리들의 죽음일시등이 정확한데 반해 장영실은 노비이지만 세종의 총애를 받았고 종3품이란 높은 벼슬까지 했음에도 갑자기 사라진 연유를 소설에서는 세종이 일부러 사건을 만들어 탈출하게 한건 아닐까 로 썼다.

정화와 함께 갖은 고생끝에 도착한 유럽에서 교황을 만나게 되고 동양의 문물과 기술을 합함으로써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증명하기에 이르는데 아직 갈릴레오도 나오기전 세상의 중심은 지구이고 지구는 끝에 엄청난 절벽이 있을꺼라 믿던 중세의 로마인들은 한낮 동양 사람하나가 떠드는 소리에 사탄이 왔다는 말까지 하기에 이른다.

이른바 르네상스가 시작될 무렵 메디치가의 후원을 받게되고 어린 다빈치를 알아 스승으로서 알고있는 지식을 전수하게 되는데

실제로 다빈치의 비행기 설계도나 시계 화포의 스케치가 장영실이 만들어낸 것과 너무나 비슷한것이다.

과연 다빈치는 장영실을 배웠을까.. 소설을 읽고나면 진짜 그럴지도 모를 일이지 하게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