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케이트디카밀로의 에드워드툴레인의 신기한 여행을 읽었다.우화같이 읽히는 이 책이 한동안 계속 생각이 날꺼같다.우울하지만 사랑하고 사랑받는 애달픔을 절절히 느끼게한다. 고작 도자기 토끼 인형일뿐이던 에드워드가 주인과 함께 배를 타고 떠나는 중에 바다에 빠져 또 다른 주인을 만난다. 그 기다림의 과정 그 어두운 바다 속에 아무것 할 루 없는 자신을 느끼고 기적적으로 어부에게 발견돼 수잔나라는 이름으로 살아간다. 로렌스 부부의 딸에 의해또다시 쓰레기장에 버려진 에드워드는 루시라는 개에 이끌려 길고 긴 방랑의 말론으로 살아간다.수잔나와 말론으로 살면서 에드워드는 사람들의 말을 주의깊게 듣는 법을 알게되고 진정으로 그들의 말을 듣길 원한다.말론 역시 숨어 자던 열차속에서 밖으로 던져지게되고 클라이드라는 이름으로 까마귀 쫓는 허수아비 신세가 된다. 애빌린의 할머니가 얘기해준 공주 이야기는 사랑을 모르며 살다가 멧돼지가 되어 사람에게 잡혀먹은 비극적인 이야기인데 에드워드는 자신에게 빗댄 이야기란걸 점점 깨닫게된다.허수아비인 에드워드를 다시 사랑받는 장난감 쟁글스로 만들어준건 사랑없는 아빠로부터 동생을 지켜주는 오빠 브라이스. 병을 앓는 동생을 기쁘게 해줄 인형으로 에드워드를 가져다 주는데 동생인 사라는 쟁글스에게 사랑을 나눠주고 쓰러져간다.돈을 벌 요량으로 에드워드와 공연을 하다 식당주인에게 던저져 박살난 에드워드를 브라이스는 인형수리공에 대가를 바라지 않는 조건으로 넘겨준다.사랑을 얻고 사랑을 잃고 체념과 무관심 기다림의 시간이 지나는 날 속에 옆자리로 온 백년이 넘은 인형은 기대를 가져야한다는 말을 남기고 떠나간다.과연 어느 여자아이와 눈이 마주친 에드워드는 얼어붙은 마음을 열어 볼 생각을 가지고 누군가 올거라는 기대를 한다.아이가 엄마에게 토끼인형을 말하고 돌아 본 순간 그 옛날 에드워드의 회중시계를 목에 건 애빌린이 서 있다. 나중에 아이가 조금 더 크면 한장 한장 같이 읽고 싶은 이야기다. 아프지만 그래도 사랑하는 열린마음을 가져야 한다. 사랑주고 사랑받는 세상이 아니라면 정말 공주가 멧돼지가 된다한들 비극을 비극인지도 모르고 살아 갈 일 아닐까. 무덤덤히 집어들었던 책에 마음이 부서지는 책이었다. 그리고 한걸음 한걸음 깊은 삶 속으로 들어가게 해주던 에드워드를 만났다.